저자 소개(2명)

이전

저 : 제임스 네어모어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제임스 네어모어
관심작가 알림신청
James Naremore
제임스 네어모어James Naremore는 미국 인디애나 대학교의 커뮤니케이션과 문화학부 및 영문학부의 명예 교수다. 저서로는 ≪밤 그 이상: 필름 느와르의 컨텍스트More Than Night: Film Noir in its Contexts≫, ≪오슨 웰스의 마술 세계The Magic World of Orson Welles≫, ≪영화에서의 연기Acting in the Cinema≫, ≪빈센트 미넬리의 영화The Films of Vincente Minnelli≫ 등이 있다.

역 : 정헌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역 : 정헌
관심작가 알림신청
중부대학교 엔터테인먼트학과 교수이자 영화평론가다. 2007년 중앙대학교 첨단영상대학원에서 석사학위를 받았고, 2014년 오스트레일리아 시드니대학교에서 “디지털 버추얼리즘의 영화미학(The Cinematic Aesthetics of Digital Virtualism)”으로 영화예술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1995년부터 2004년까지 영화프로덕션과 IT 회사에서 일했다. 연구 주제는 디지털 영상 미학, 역사, 기술, 산업 등이다. 특히 영화의 현재와 미래를 좌우할 디지털 시네마 미학에 깊은 관심을 갖고 있다. 저서로 『영화 역사와 미학』(2013), 『영화 기술 역사』(2013), 『영화와 사회』(공저, 2012) 등이 있고, 역서로 『큐브릭: 그로테스크의 미학』(2016), 『디지털 영화 미학』(2012) 등이 있다. 논문으로 “들뢰즈의 운동-이미지와 디지털 미학”(2017), “포스트모더니즘과 디지털 영화 미학의 상관관계 연구”(2016), “디지털시네마의 정보미학적 특성에 관한 고찰”(2016), “앙드레 바쟁의 리얼리즘 이론에 대한 재론: 디지털 가상성 미학의 관점에서”(2015), “Indexicality, Imagination and Digital Virtuality”(2014), “가상과 허위의 시대에 다시 읽는 벤야민”(2007) 등이 있다. 현재 『디지털 콘텐츠의 영상 예술과 이미지 미학』(가제)이라는 저서를 준비 중이다. 디지털 영상 미학의 대중화를 위해 주요 일간지와 잡지 등에서 할리우드 SF 장르 영화를 비롯한 다양한 문화 콘텐츠 비평 활동을 하고 있다. 접기 최근작 : 영화 역사와 미학,영화 기술 역사,영화와 사회 … 총 8종

정헌의 다른 상품

디지털 가상성, 영상예술과 이미지 미학의 모색 큰글씨책

디지털 가상성, 영상예술과 이미지 미학의 모색 큰글씨책

35,000

'디지털 가상성, 영상예술과 이미지 미학의 모색 큰글씨책' 상세페이지 이동

디지털 가상성, 영상예술과 이미지 미학의 모색

디지털 가상성, 영상예술과 이미지 미학의 모색

22,000

'디지털 가상성, 영상예술과 이미지 미학의 모색' 상세페이지 이동

필름크래프트 세트

필름크래프트 세트

220,000

'필름크래프트 세트' 상세페이지 이동

영화 역사와 미학

영화 역사와 미학

12,000

'영화 역사와 미학' 상세페이지 이동

영화 기술 역사

영화 기술 역사

12,000

'영화 기술 역사' 상세페이지 이동

디지털 영화 미학

디지털 영화 미학

28,000

'디지털 영화 미학' 상세페이지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