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 소개(2명)

이전

저 : 신정일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신정일
관심작가 알림신청
辛正一
문화사학자 신정일은 사단법인 우리 땅 걷기의 대표로 현재 우리나라에 불고 있는 걷기 열풍을 이끈 선구자다. 40여 년간 우리나라의 역사와 문화의 현장을 종횡무진으로 걸어서 우리나라에서 가장 많이 걸은 사람으로 알려져 있다. 도보 여행가이자 현대판 김정호, 현대판 김삿갓, 현대판 이중환, 방외지사 등으로 불리며 역사와 문화 관련 저술 활동을 전개하고 있는 작가이다. 1981년 가을 간첩 혐의를 받아서 안기부에 끌려가 모진 고문을 받았고, 그 상처를 치유하기 위해 우리 국토를 걷기 시작했다. 1980년대 중반 황토현문화연구소를 발족하여 동학과 동학농민혁명을 재조명하기 위한 여러 가지 사업을 펼쳤다. 1989년부터 문화유산답사 프로그램을 만들어 현재까지 진행하고 있으며 1994년 동학농민혁명 100주년 기념사업회에 참가했다. 또한 동학농민혁명의 지도자였던 김개남, 손화중 장군 추모사업회를 조직하여 덕진공원에 추모비를 세우는 데 노력하기도 했다. 한국의 10대 강과 조선시대의 옛길 도보 답사를 기획해 답사 후 책을 펴냈다. 소백산 자락길과 변산 마실길 등을 만드는 데 기여했으며, 서해안과 남해안, 휴전선 길을 걷고 500여 개의 산을 올랐다. 다음 카페 〈길 위의 인문학 우리 땅 걷기〉에 지속적으로 글을 올리면서 우리나라 옛길의 재발견을 위해 심혈을 기울이고 있는 저자는 문화재청 문화재위원과 산림청 국가 산림문화자산 심의위원을 지내며 대기업과 지자체 등에서 강연을 하고 있다. 저서로 『신정일의 신 택리지』(전 11권)와 『왕릉 가는 길』, 『길을 걷다가 문득 떠오른 것들』, 『나는 그곳에 집을 지어 살고 싶다』 1~2권, 『조선의 천재들이 벌인 참혹한 전쟁』, 『천재 허균』, 『그토록 가지고 싶은 문장들』, 『지옥에서 보낸 7일』, 시집 『꽃의 자술서』 등 107여 권이 있고, JTV 전주방송에서 〈신정일의 천년의 길〉을 오랫동안 진행했다.

신정일의 다른 상품

전주 완주 (큰글자도서)

전주 완주 (큰글자도서)

35,000

'전주 완주 (큰글자도서)' 상세페이지 이동

길 위에서 만나는 쇼펜하우어

길 위에서 만나는 쇼펜하우어

16,200 (10%)

'길 위에서 만나는 쇼펜하우어' 상세페이지 이동

신정일의 신 택리지 - 명당과 길지

신정일의 신 택리지 - 명당과 길지

19,800 (10%)

'신정일의 신 택리지 - 명당과 길지' 상세페이지 이동

아직도를 사랑하는 까닭은

아직도를 사랑하는 까닭은

9,000 (10%)

'아직도를 사랑하는 까닭은' 상세페이지 이동

해파랑길 인문 기행

해파랑길 인문 기행

15,300 (10%)

'해파랑길 인문 기행' 상세페이지 이동

신정일의 신 택리지 - 충청

신정일의 신 택리지 - 충청

19,800 (10%)

'신정일의 신 택리지 - 충청 ' 상세페이지 이동

지옥에서 보낸 7일

지옥에서 보낸 7일

14,400 (10%)

'지옥에서 보낸 7일' 상세페이지 이동

전주 완주

전주 완주

14,400 (10%)

'전주 완주' 상세페이지 이동

저 : 최영준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최영준
관심작가 알림신청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지리과와 미국 루이지애나 주립대학교 대학원을 졸업(지리학 Ph.D.)하였다. 고려대학교 사범대학 지리교육과 교수와 문화재위원을 지냈으며, 지금은 고려대학교 명예교수이다.
지은 책으로 한길사에서 펴낸 『국토와 민족생활사』『한국의 짚가리』『담론과 성찰 1』(공저) 가 있고 『영남대로』『용인의 역사지리』(공저)『경기지역의 향토문화』『경상남도의 향토문화』,『개화기의 주거생활사』등이 있다. 옮긴 책으로는 『문화지리학원론』(윌리엄 노튼, 공역)이 있다. 주요 논문으로는 「풍수와 택리지」「무카디마를 통해 본 이븐 할둔의 지리학」「천수만 지역의 어업환경 변화와 어촌」「18~19세기 서울의 지역분화」「중국 황토고원의 요동주거」등이 있다.

최영준의 다른 상품

개화기의 주거생활사

개화기의 주거생활사

23,400 (10%)

'개화기의 주거생활사' 상세페이지 이동

홍천강변에서 주경야독 20년

홍천강변에서 주경야독 20년

16,200 (10%)

'홍천강변에서 주경야독 20년' 상세페이지 이동

담론과 성찰 1

담론과 성찰 1

13,500 (10%)

'담론과 성찰 1' 상세페이지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