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 소개(3명)

이전

저 : 성석제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성석제
관심작가 알림신청
成碩濟
1960년 경북 상주에서 태어났으며, 연세대학교 법학과를 졸업했다. 1986년에 [문학사상]에 시 「유리닦는 사람」을, 1995년 [문학동네] 여름호에 단편 「내 인생의 마지막 4.5초」를 발표하면서 본격적인 소설가로서의 작품활동을 시작했다.

평론가 우찬제는 그를 거짓과 참, 상상과 실제, 농담과 진담, 과거와 현재 사이의 경계선을 미묘하게 넘나드는 개성적인 이야기꾼이며, 현실의 온갖 고통과 참을 수 없는 존재의 무거움을 올바로 성찰하면서도 그것을 웃으며 즐길 줄 아는 작가라 평했다. 또한 평론가 문혜원은 “성석제는 어디까지가 사실이고 어디까지가 허구이고 농담인지 구별하기 어려운 이야기를 막힘없이 풀어놓으며 "마치 무협지의 고수들처럼" 과거와 현재를 자유롭게 넘나들며 입담을 펼친다.”라고 전한다. 이런 평론가들의 말처럼 성석제는 미묘한 경계선을 거닐면서 재미난 입담으로 이야기를 펼치는 작가이다.

그의 대표작 『소풍』은 흥겨운 입담과 날렵한 필치가 빛나는 산문집이다. 저자는 음식을 만들고 먹고 나누고 기억하는 행위가 곧 일상을 떠나 마음의 고삐를 풀어놓고 한가로운 순간을 음미하는 소풍과 같다고 말한다. 음식은 “추억의 예술이며 오감이 총동원되는 총체예술”이며, “필연코 한 개인의 본질적인 조건에까지 뿌리가 닿아 있다”는 지론은 곧 우리 세대가 잃어버린 사람살이의 다양한 세목을 되살려온 성석제 소설세계와 상통한다. 십수년간 각종 매체에 연재하며 갖가지 음식 속에서 ‘이야기’를 이끌어낸 작업이 ‘음식의 맛, 사람의 맛, 세상의 맛’을 함께 음미하게 한다.

단편집 『황만근은 이렇게 말했다』는 모든 면에서 평균치에 못 미치는 농부 황만근의 일생을 묘비명의 형식을 삽입해 서술한 표제작 「황만근은 이렇게 말했다」를 포함하여, 한 친목계 모임에서 우연히 벌어진 조직폭력배들과의 한판 싸움을 그린 「쾌활냇가의 명랑한 곗날」, 돈많은 과부와 결혼해 잘살아보려던 한 입주과외 대학생이 차례로 유복한 집안의 여성들을 만나 겪는 일을 그린 「욕탕의 여인들」, 세상의 경계선상을 떠도는 괴이한 인물들의 모습을 담은 「책」, 「천애윤락」,「천하제일 남가이」등 2년여 동안 발표한 일곱 편의 중 · 단편을 한 권으로 엮었다. 이번 작품집도 예외없이 세상의 통념과 질서를 향해 작가 특유의 유쾌한 펀치를 날리는데, 비극과 희극, 해학과 풍자 사이를 종횡무진한다.

『어머님이 들려주시던 노래』는 『황만근은 이렇게 말했다』 이후 성석제가 3년간 발표한 단편들을 모았다. 혼기에 이른 맏딸을 염려하는 어머니의 이야기와 딸이 어머니에게 읽어드리는 옛이야기를 교차 시키며 유려하게 텍스트를 직조해낸 표제작을 비롯, 제49회 현대문학상 수상작인 '내 고운 벗님' 등 총9편의 단편이 실려있다. 기성의 통념과 가치를 뒤집는 화려한 수사와 “웃음의 모든 차원을 자유자재로 열어놓는 말의 부림”으로 우리 주변에 있음직한 각양각색 인물들의 삶을 흥미롭게 보여주고 있다. 소설의 표면에 드러나는 유쾌한 재미와 해학, 풍자 밑에는 세상을 보는 날카로운 통찰이 번뜩이기도 하고 그리움이나 인간을 향한 건강하고 따뜻한 시선이 은근히 깔려 있다.

이외의 소설집으로 『그곳에는 어처구니들이 산다』 『새가 되었네』 『재미나는 인생』 『아빠 아빠 오, 불쌍한 우리 아빠』 『호랑이를 봤다』 『홀림』 『지금 행복해』 『첫사랑』 『번쩍하는 황홀한 순간』 『참말로 좋은 날』 『이 인간이 정말』 『믜리도 괴리도 업시』 『사랑하는, 너무도 사랑하는』 등과 장편소설 『왕을 찾아서』 『궁전의 새』 『순정』 『인간의 힘』 『도망자 이치도』 『위풍당당』 『투명인간』 『왕은 안녕하시다』(전2권) 등, 산문집 『소풍』 『성석제의 농담하는 카메라』 『칼과 황홀』 『꾸들꾸들 물고기 씨, 어딜 가시나』 『근데 사실 조금은 굉장하고 영원할 이야기』 등이 있으며, 명문장들을 가려 뽑아 묶은 『성석제가 찾은 맛있는 문장들』이 있다.

1997년 단편 「유랑」으로 제30회 한국일보문학상을, 2000년 「홀림」으로 제13회 동서문학상을 수상했고, 2001년 단편「황만근은 이렇게 말했다」로 제2회 이효석문학상, 같은 작품으로 2002년 제33회 동인문학상을 받았으며, 2004년 「내 고운 벗님」으로 제49회 현대문학상을 수상하였다.

성석제의 다른 상품

잊을 수 없는 밥 한 그릇

잊을 수 없는 밥 한 그릇

15,300 (10%)

'잊을 수 없는 밥 한 그릇' 상세페이지 이동

한국 단편소설 베스트 37

한국 단편소설 베스트 37

14,220 (10%)

'한국 단편소설 베스트 37' 상세페이지 이동

느낌 그게 뭔데, 문장

느낌 그게 뭔데, 문장

13,500 (10%)

'느낌 그게 뭔데, 문장' 상세페이지 이동

낯선 길에 묻다

낯선 길에 묻다

9,000 (10%)

'낯선 길에 묻다' 상세페이지 이동

내 생애 가장 큰 축복

내 생애 가장 큰 축복

11,700 (10%)

'내 생애 가장 큰 축복' 상세페이지 이동

근데 사실 조금은 굉장하고 영원할 이야기

근데 사실 조금은 굉장하고 영원할 이야기

12,600 (10%)

'근데 사실 조금은 굉장하고 영원할 이야기' 상세페이지 이동

말 못하는 사람

말 못하는 사람

11,700 (10%)

'말 못하는 사람' 상세페이지 이동

왕은 안녕하시다 2

왕은 안녕하시다 2

13,050 (10%)

'왕은 안녕하시다 2' 상세페이지 이동

저 : 손혜원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손혜원
관심작가 알림신청
브랜드 디자이너. 홍익대 미대 응용미술학과와 동 대학원에서 시각디자인을 전공했다. 현대양행, 판 디자인, 디자인포커스를 거쳐 86년 크로스포인트의 창립 멤버로 출발, 90년부터 현재까지 대표 디자이너로 일하고 있다. 식물나라, 처음처럼,콩豆, 종가집김치, 레종, 딤채, 위니아, 엑스캔버스, 힐스테이트 등의 브랜드를 개발하였다. 2009년 현재 서울디자인센터 이사와 농촌홍보포럼 이사, 모새골 이사 등으로 활동 중이다. 저서로는 '브랜드와 디자인의 힘'(2006) 이 있다.

손혜원의 다른 상품

브랜드와 디자인의 힘

브랜드와 디자인의 힘

18,000 (10%)

'브랜드와 디자인의 힘' 상세페이지 이동

편 : 김창남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편 : 김창남
관심작가 알림신청
金昌南
서울대학교 경영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 신문학과(현 언론정보학과)에서 석사와 박사 과정을 마쳤다. 1980년대부터 문화평론가로 활동하며 월간 『말』, 『사회평론』 등 여러 잡지의 기획위원과 편집위원을 지냈고 한국대중음악학회 회장, (사)우리만화연대 이사 등을 역임했다. 현재 성공회대학교 미디어콘텐츠융합자율학부와 문화대학원 교수로 재직하며 한국대중음악상 선정위원장, (사)더불어숲 이사장으로 활동하고 있다.

『삶의 문화 희망의 노래』, 『대중문화와 문화실천』, 『대중문화의 이해』, 『나의 문화편력기』, 『신영복 평전』(공저) 등의 책을 썼고, 『현대사회와 매스커뮤니케이션』, 『문화, 일상, 대중』, 『문화 이론 사전』 등의 집필과 번역에 참여했으며, 『김민기』, 『대중음악의 이해』, 『노래운동론』, 『대중음악과 노래운동, 그리고 청년문화』, 『아름다운 인생의 승부사들』, 『통하면 아프지 않다』, 『가는 길이 내 길이다』 등 여러 책들을 엮었다.

김창남의 다른 상품

김민기 Kim Min-gi

김민기 Kim Min-gi

27,000

'김민기 Kim Min-gi' 상세페이지 이동

민중의 시대

민중의 시대

20,700 (10%)

'민중의 시대' 상세페이지 이동

대중문화의 이해

대중문화의 이해

26,500

'대중문화의 이해' 상세페이지 이동

한국 대중문화사 (반양장)

한국 대중문화사 (반양장)

36,000

'한국 대중문화사 (반양장)' 상세페이지 이동

상상력으로 미래를 연습하다

상상력으로 미래를 연습하다

22,000

'상상력으로 미래를 연습하다' 상세페이지 이동

한국 대중문화사 (양장)

한국 대중문화사 (양장)

49,000

'한국 대중문화사 (양장) ' 상세페이지 이동

질문이 답이 되는 순간

질문이 답이 되는 순간

22,500 (10%)

'질문이 답이 되는 순간' 상세페이지 이동

김민기 Kim Min-gi

김민기 Kim Min-gi

38,000

'김민기 Kim Min-gi' 상세페이지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