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 소개(4명)

이전

저 : 김성동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김성동
관심작가 알림신청
KIM, SUNG-DONG,金聖東, 호:시은(市隱)
1947년 음력 11월 8일 충청남도 보령에서 태어났다. 내림줄기 있는 유가에서 어릴 때부터 우국지사 유학자 할아버지한테 한학 가르침을 받고 자랐다. 해방 바로 뒤 뒤죽박죽과 한국전쟁 소용돌이 속에 아버지와 큰삼촌은 우익한테 외삼촌은 좌익한테 처형당하고 '아버지'와 '집'을 빼앗긴 채 유·소년기를 줄곧 전쟁난리와 이데올로기가 남긴 깊은 흉터 속에서 헤맸다. 1954년 옥계국민학교 입학, 1958년 서대전국민학교로 전학, 1960년 삼육고등공민학교 입학, 1964년 서라벌고등학교 2학년 2학기로 편입했고 1965년 3학년 1학기에 (3월쯤) 자퇴서를 내고 도봉산 천축사로 (5월쯤) 출가·입산해서 지효대선사(智曉 大禪師) 상좌(上佐)가 됐다. 법명 정각(正覺). 산문(山門) 안에서는 산문 밖을 산문 밖에서는 산문 안을 그리워했다. 1975년 《주간종교》 종교소설 현상 공모에 사흘밤낮 걸쳐 쓴 200자원고지 120장짜리 단편소설 「목탁조(木鐸鳥)」가 김동리 선생 선정·당선해서 활자화됐으나, 불교계를 악의적으로 비방하고 전체 승려를 모독했다는 조계종단 몰이해로 만들지도 않은 조계종 승적을 빼앗겼다.

■1976년 늦가을 하산해서 1978년 '《한국문학》 신인상' 현상공모에 중편소설 「만다라」가 당선하였다. 이듬해인 1979년 이를 장편으로 고쳐 펴내어 문단과 독서계에 커다란 메아리를 불러일으켰다. 이후 섬세하고 빈틈없이 느긋하게 독장치는 '조선 문체'로 한국 근·현대사 생채기와 구도(求道) 나그넷길에서 '있어야 할 까닭'을 더듬어 찾는 문제작들을 널리 알려왔다. 1998년 《시와 함께》에 고은 선생 추천으로 시 「중생」 외 10편을 발표하며 시작(詩作)활동도 하였다.

■1983년 해방전후사를 밑그림으로 하는 장편소설 『풍적(風笛)』을 《문예중앙》에, 1960·1970년대 학생운동사를 다룬 장편소설 『그들의 벌판』을 《중앙일보》에 이어싣다가 좌익 움직임을 다룬 속뜻과 반미적 속뜻이 문제되어 각각 2회·53회 만에 중동무이되었다. 1983년 중편소설 「황야에서」로 <소설문학 작품상>을 받게 되었지만 문학작품을 상업적으로 써먹으려는 주관사 측 속셈에 맞서 수상을 뿌리쳤다. ▲소설집 『피안의 새』(1981), 『오막살이 집 한 채』(1982), 『붉은 단추』(1987), 『그리운 등불 하나』(1989), 『민들레꽃반지』(2019), 『눈물의 골짜기』(2020) 등 ▲장편소설 『만다라』(1979), 『집』(1989), 『길』(1991), 『꿈』(2001), 『국수(國手)』(2018) 등 ▲우의(寓意)소설 『김성동의 죽고 싶지 않았던 빼빼』(1981), 『염소』(2002) ▲산문집 『부치지 않은 편지』(1981), 『그리고 삶은 떠나가는 것』(1987), 『미륵의 세상 꿈의 나라』(1990), 『김성동 생명에세이』(1992·원제 『생명기행』), 『미륵의 세상, 꿈의 나라』상권(1993), 『김성동 천자문』(2004·2022), 『현대사 아리랑-꽃다발도 무덤도 없는 혁명가들』(2010), 『한국 정치 아리랑』(2011), 『염불처럼 서러워서』(2014) 등이 있다.

■신동엽창작기금(1985), 행원문화상(1998), 현대불교문학상(2002)을, 단편 「민들레꽃반지」로 제1회리태준문학상(2016), 소설집 『민들레꽃반지』로 요산김정한문학상(2019)을 받았다.

■2021년부터 2년 못 되게 충청북도 충주에서 살면서 빼어나게 아름다운 '김성동체'로 글과 글씨와 깨끗한 마음과 아름다운 세상을 짓고자 애를 태웠고, 2022년 9월 25일 일요일 오전 이 세상을 떠났다.

김성동의 다른 상품

죽고 싶지 않았던 빼빼

죽고 싶지 않았던 빼빼

22,500 (10%)

'죽고 싶지 않았던 빼빼' 상세페이지 이동

김성동 천자문 (큰글자도서)

김성동 천자문 (큰글자도서)

39,000

'김성동 천자문 (큰글자도서)' 상세페이지 이동

김성동 천자문

김성동 천자문

19,800 (10%)

'김성동 천자문' 상세페이지 이동

아름다운 우리말 365

아름다운 우리말 365

16,200 (10%)

'아름다운 우리말 365' 상세페이지 이동

눈물의 골짜기

눈물의 골짜기

18,000 (10%)

'눈물의 골짜기' 상세페이지 이동

민들레꽃반지

민들레꽃반지

11,700 (10%)

'민들레꽃반지' 상세페이지 이동

대한민국 청소년에게

대한민국 청소년에게

10,800 (10%)

'대한민국 청소년에게' 상세페이지 이동

국수사전

국수사전

13,500 (10%)

'국수사전' 상세페이지 이동

저 : 공선옥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공선옥
관심작가 알림신청
孔善玉
1963년 전라남도 곡성 출생. 전남대학교 국어국문학과를 중퇴하고 1991년 「창작과 비평」 겨울호에 중편 '씨앗불'을 발표하며 작가로 활동을 시작하였다. 1992년 여성신문학상, 1995년 제13회 신동엽창작기금수여, 2004년 제36회 오늘의 젊은 예술가상, 2005 제2회 올해의 예술상 문학부문 올해의 예술상, 만해문학상, 요산김정한문학상을 수상하기도 하였다. 우리 사회의 소외된 이웃의 모습과 가난의 문제를 현실적으로 다뤄온 작가 공선옥. 특히 여성들의 끈질긴 생명력과 모성을 생동감 넘치는 언어로 표현해 내는 소설가이다.

"근대에 태어났지만 전근대적인 삶을 살았다"고 전하는 작가의 음성은 유년시절 아버지는 밖으로 나돌고, 세 자매가 생존을 위해 뛰어야 했던 상황에서 둘째 딸의 책무를 지닌 채 "같은 연배 또래들이라고 해서 같은 시대를 사는 것은 아님"을 깨닫는다. 참외 파는 소녀이기도 했으며, 입학만 한 상태에서 무학점 학생으로 남아야 했고, 빚에 쫓겨 다니는 아버지, 몸이 불편한 어머니의 병간호가 작가 공선옥에게 주어진 삶의 조건이었다.

공장을 떠돌며 위장 취업자가 아닌, 대학생 출신 생계 취업자였으며, 나중에는 고속버스, 관광버스, 직행버스를 전전하며 안내양을 하던 어느 날 “나의 궁핍한 시절이 글이 될 수도 있다는 생각”을 떠올리며 작가의 길로 접어들게 된다. 소설가 공선옥은 작품 활동을 시작한 이후, 「목마른 계절」 「우리 생애의 꽃」 등 개성있는 작품을 잇따라 발표하며 가진 자에게는 눈물의 슬픔을, 없는 사람들에게는 희망의 기쁨을 안겨 주는 작가이다.

화려한 정원에서 보호받고 주목받는 꽃보다는 눈에 잘 띄지 않는 바람 부는 길가에서 피었다 지는 작은 꽃들에게 눈길을 보내온 작가는 작품 속에서 주로 우리 사회의 소외된 이웃들의 삶, 특히 여성들의 끈질긴 생명력과 모성을 섬세하면서도 생동감 넘치는 언어로 담아내고 있다. 2002년 『멋진 한세상』이후 5년만에 내놓은 소설집 『명랑한 밤길』역시 그녀의 작품 경향을 그대로 보여준다. 이 소설집 역시 전작들과 마찬가지로 세상의 중심이 아닌 변방에서 버둥거리는 여성들의 이야기를 다루었다.

『내가 가장 예뻤을 때』는 국내 최초로 온라인 독자 커뮤니티 문학동네에 일일연재되어, 화제를 모았으며, 가장 아픈 시대를 가장 예쁘게 살아내야 했던 젊은이들의 고뇌를 생생하게 그려내었다. 스무 살 시기의, ‘사람들이 많이 죽어간 한 도시’에서의 쓸쓸함과 달콤함에 관한 이야기이다. 『영란』에서는 가족의 빈자리를 견디며 꿋꿋이 살아가야 하는 인물들을 중심으로 그들이 일궈낼 수 있는 삶의 행복한 순간을 유려하고 따뜻하게 그려냈으며, 『꽃 같은 시절』은 삶의 터전을 위협받는 사람들, 철저하게 이 사회의 '약자'로 살아가고 있는 그들의 꽃 같은 싸움을 담고 있다.

소설집 『피어라 수선화』, 『내 생의 알리바이』, 『멋진 한세상』, 『명랑한 밤길』, 『나는 죽지 않겠다』, 장편소설 『유랑가족』, 『내가 가장 예뻤을 때』, 『영란』, 『꽃 같은 시절』, 『그 노래는 어디서 왔을까』 등이 있다.

공선옥의 다른 상품

잊을 수 없는 밥 한 그릇

잊을 수 없는 밥 한 그릇

15,300 (10%)

'잊을 수 없는 밥 한 그릇' 상세페이지 이동

선재의 노래

선재의 노래

12,600 (10%)

'선재의 노래' 상세페이지 이동

춥고 더운 우리 집 (큰글자도서)

춥고 더운 우리 집 (큰글자도서)

27,000

'춥고 더운 우리 집 (큰글자도서)' 상세페이지 이동

춥고 더운 우리 집

춥고 더운 우리 집

13,500 (10%)

'춥고 더운 우리 집' 상세페이지 이동

은주의 영화 (큰글자도서)

은주의 영화 (큰글자도서)

25,000

'은주의 영화 (큰글자도서)' 상세페이지 이동

푸른 연금술사

푸른 연금술사

14,400 (10%)

'푸른 연금술사' 상세페이지 이동

은주의 영화

은주의 영화

12,600 (10%)

'은주의 영화' 상세페이지 이동

그 노래는 어디서 왔을까 2 (큰글자도서)

그 노래는 어디서 왔을까 2 (큰글자도서)

19,000

'그 노래는 어디서 왔을까 2 (큰글자도서)' 상세페이지 이동

저 : 한창훈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한창훈
관심작가 알림신청
여수시 삼산면 거문도에서 세상에 나왔다. 세상은 몇 이랑의 밭과 그것과 비슷한 수의 어선 그리고 넓고 푸른 바다로만 되어 있다고 생각했다. 일곱 살에 낚시를 시작했고 아홉 살 때는 해녀였던 외할머니에게서 잠수하는 법을 배우기도 했다.

사십 전에는 기구할 거라는 사주팔자가 대략 들어맞는 삶을 살았다. 음악실 디제이, 트럭운전사, 커피숍 주방장, 이런저런 배의 선원, 건설현장 막노동꾼, 포장마차 사장 따위의 이력을 얻은 다음에 전업작가의 길로 들어섰다. 그 뒤로는 한국작가회의 관련 일을 하고 대학에서 소설 창작 강의를 하기도 했다. 그러는 동안에도 수시로 거문도를 드나들었다.

현대상선 컨테이너선을 타고 두바이와 네덜란드 로테르담까지 갔으며 쇄빙연구선 아라온호에 승선해 베링해와 북극해를 다녀오기도 했다. 지금도 종종 그 항해를 떠올리며 먼 곳으로 눈길을 주곤 한다. 그리고 문득 고향으로 돌아갔다. 원고 쓰고, 이웃과 뒤섞이고, 낚시와 채집을 하며 지내고 있다.

1992년 대전일보 신춘문예에 소설이 당선되면서 작품 활동을 시작했다. 그동안 바다와 섬을 배경으로 한 변방의 삶을 소설로 써왔다. 소설집 『바다가 아름다운 이유』, 『가던 새 본다』, 『세상의 끝으로 간 사람』, 『청춘가를 불러요』, 『나는 여기가 좋다』, 『그 남자의 연애사』, 장편소설 『홍합』, 『열여섯의 섬』, 『섬, 나는 세상 끝을 산다』, 『꽃의 나라』 등이 있고, 산문집 『내 밥상 위의 자산어보』, 『내 술상 위의 자산어보』, 『한창훈의 나는 왜 쓰는가』 등을 냈으며 어린이 책으로는 『검은 섬의 전설』, 『제주선비 구사일생 표류기』 등이 있다. 한겨레문학상, 요산문학상, 허균문학작가상 등을 받았다.

한창훈의 다른 상품

홍합

홍합

12,420 (10%)

'홍합' 상세페이지 이동

낙엽

낙엽

9,500 (5%)

'낙엽' 상세페이지 이동

멜랑콜리 해피엔딩

멜랑콜리 해피엔딩

12,600 (10%)

'멜랑콜리 해피엔딩' 상세페이지 이동

네가 이 별을 떠날 때

네가 이 별을 떠날 때

11,700 (10%)

'네가 이 별을 떠날 때' 상세페이지 이동

이해 없이 당분간

이해 없이 당분간

10,800 (10%)

'이해 없이 당분간' 상세페이지 이동

그래요 문재인

그래요 문재인

11,700 (10%)

'그래요 문재인' 상세페이지 이동

공부는 이쯤에서 마치는 거로 한다

공부는 이쯤에서 마치는 거로 한다

11,700 (10%)

'공부는 이쯤에서 마치는 거로 한다' 상세페이지 이동

행복이라는 말이 없는 나라

행복이라는 말이 없는 나라

12,600 (10%)

'행복이라는 말이 없는 나라' 상세페이지 이동

저 : 김현영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김현영
관심작가 알림신청
1973년 경기도 안양에서 태어나 명지대 문예창작과를 졸업했다. 1997년 『문학동네』 하계문예공모에 단편소설 「여자가 사랑할 때」가 당선되어 작품활동을 시작했다. 소설집 『냉장고』가 있다. 1999년 대산문화재단 창작지원금을 받았다.

김현영의 다른 상품

하루의 인생

하루의 인생

11,700 (10%)

'하루의 인생' 상세페이지 이동

사랑해, 눈

사랑해, 눈

10,800 (10%)

'사랑해, 눈' 상세페이지 이동

까마귀가 쓴 글

까마귀가 쓴 글

7,650 (10%)

'까마귀가 쓴 글' 상세페이지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