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 소개(6명)

이전

저 : 정채봉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정채봉
관심작가 알림신청
丁埰琫
1946년 순천의 바닷가 마을에서 태어났다. 1973년 동아일보 신춘문예 동화 부문에 〈꽃다발〉로 당선의 영예를 안고 등단했다. 그 후 대한민국문학상(1983), 새싹문화상(1986), 한국불교아동문학상(1989), 동국문학상(1991), 세종아동문학상(1992), 소천아동문학상(2000)을 수상했다.

‘성인 동화’라는 새로운 문학 용어를 만들어 냈으며 한국 동화 작가로서는 처음으로 동화집 『물에서 나
온 새』가 독일에서, 『오세암』은 프랑스에서 번역 출간되었다. 마해송, 이원수로 이어지는 아동 문학의
전통을 잇는 인물로 평가받으며 모교인 동국대, 문학아카데미, 조선일보 신춘문예 심사 등을 통해 숱한 후학을 길러 온 교육자이기도 했다.
동화 작가, 방송 프로그램 진행자, 동국대 국문과 겸임 교수로 열정적인 활동을 하던 1998년 말에 간암이 발병했다. 죽음의 길에 섰던 그는 투병 중에도 손에서 글을 놓지 않았으며 그가 겪은 고통, 삶에 대한 의지, 자기 성찰을 담은 에세이집 『눈을 감고 보는 길』을 펴냈고, 환경 문제를 다룬 동화집 『푸른수평선은 왜 멀어지는가』, 첫 시집 『너를 생각하는 것이 나의 일생이었지』를 펴내며 마지막 문학혼을 불살랐다. 평생 소년의 마음을 잃지 않고 맑게 살았던 정채봉은 2001년 1월, 동화처럼 눈 내리는 날 짧은 생을 마감했다.

정채봉의 다른 상품

첫 마음 (큰글씨책)

첫 마음 (큰글씨책)

26,000

'첫 마음 (큰글씨책)' 상세페이지 이동

너를 생각하는 것이 나의 일생이었지

너를 생각하는 것이 나의 일생이었지

9,000 (10%)

'너를 생각하는 것이 나의 일생이었지' 상세페이지 이동

첫 마음

첫 마음

11,700 (10%)

'첫 마음' 상세페이지 이동

오세암 (큰글자도서)

오세암 (큰글자도서)

23,000

'오세암 (큰글자도서)' 상세페이지 이동

창비아동문고 대표동화 35권 세트

창비아동문고 대표동화 35권 세트

314,730 (10%)

'창비아동문고 대표동화 35권 세트' 상세페이지 이동

학교에 간 할머니

학교에 간 할머니

9,000 (10%)

'학교에 간 할머니' 상세페이지 이동

푸른 수평선은 왜 멀어지는가

푸른 수평선은 왜 멀어지는가

8,820 (10%)

'푸른 수평선은 왜 멀어지는가' 상세페이지 이동

꽃그늘 환한 물

꽃그늘 환한 물

10,450 (5%)

'꽃그늘 환한 물' 상세페이지 이동

등저 : 피천득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등저 : 피천득
관심작가 알림신청
皮千得. 호 : 금아琴兒
평범하고 일상적인 소재를 특유의 섬세하고 간결한 언어로 표현하여 남녀노소 모두에게 고른 사랑을 받고 있는 시인이자 수필가. 2007년 우리 곁을 떠났지만 그의 작품은 여전히 대중들에게 감동으로 남아 전해지고 있다.

1910년 서울 출생. 호는 금아琴兒이다. 상해 호강대학에서 영문학과를 졸업하고 미국 하버드 대학에서 영문학을 연구했다. 경성대학 예과 교수, 서울대학교 문리대 및 사법대 교수를 역임했다. 1910년 [신동아]에 ‘서정소곡’을 발표하면서 문필 생활을 시작하였다. 그의 시는 자연과 동심이 소박하고 아름답게 녹아 있다는 평을 얻었고, 섬세하고 간결한 언어로 그려진 그의 수필은 남녀노소에게 고른 사랑을 받아 대표작 ‘인연’을 비롯하여 ‘수필’ ‘플루트 플레이어’ 등이 교과서에 실리기도 하였다.

금아 피천득의 수필은 백 마디 천 마디로 표현해야 할 것을 될 수 있는 대로 적은 수표의 언어 안에 함축시키는 절제가 돋보인다. 그리움을 넘어서 슬픔과 애닯음과 아름다움을 동시에 느끼게 하는 피천득의 미문美文은 언제, 어느 때 읽어도 마음의 고향과도 같은 느낌을 준다. 작품으로 『꿈』『편지』등의 시와 『여성의 미』『모시』등의 수필 외 다수가 있고, 시문집으로 『산호와 진주』『생명』이 있다.

유명 작가의 길을 걸었으되, 장식품 하나 없는 작은 아파트에서 소탈하면서도 충일한 삶을 살았던 그는 ‘앵두와 어린 딸기 같은’ 오월에 태어나 오월에 떠난 ‘영원한 오월의 소년’으로 우리의 가슴속에 머물고 있다.

피천득의 다른 상품

피천득 문학 전집 7

피천득 문학 전집 7

23,400 (10%)

'피천득 문학 전집 7' 상세페이지 이동

피천득 문학 전집 6

피천득 문학 전집 6

16,200 (10%)

'피천득 문학 전집 6' 상세페이지 이동

피천득 문학 전집 5

피천득 문학 전집 5

19,800 (10%)

'피천득 문학 전집 5' 상세페이지 이동

피천득 문학 전집 4

피천득 문학 전집 4

19,800 (10%)

'피천득 문학 전집 4' 상세페이지 이동

서영이와 난영이

서영이와 난영이

10,800 (10%)

'서영이와 난영이' 상세페이지 이동

창덕궁 꾀꼬리

창덕궁 꾀꼬리

10,800 (10%)

'창덕궁 꾀꼬리' 상세페이지 이동

엄마

엄마

10,800 (10%)

'엄마' 상세페이지 이동

장난감 가게

장난감 가게

10,800 (10%)

'장난감 가게' 상세페이지 이동

등저 : 이청준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등저 : 이청준
관심작가 알림신청
Lee Chung Joon,李淸俊
1939년 전남 장흥에서 태어나 서울대학교 독어독문학과를 졸업했다. 1965년 '퇴원'으로 [사상계] 신인문학상 공모에 당선되어 문단에 등단했으며 1966-72년 월간 [사상계] [아세아] [지성] 편집부 기자로 재직하였고, 1999년에는 순천대학교 문예창작학과 석좌교수로 활동하였다.

작품으로는 『병신과 머저리』, 『굴레』, 『석화촌』, 『매잡이』, 『소문의 벽』, 『조율사』, 『들어보면 아시겠지만』, 『떠도는 말들』, 『이어도』, 『낮은 목소리로』, 『자서전들 쓰십시다』, 『서편제』, 『불을 머금은 항아리』, 『잔인한 도시』, 『살아있는 늪』, 『시간의 문』, 『비화밀교』, 『자유의 문』, 『별을 보여 드립니다』, 『가면의 꿈』, 『당신들의 천국』, 『예언자』, 『남도 사람』, 『춤추는 사제』, 『흐르지 않는 강』, 『낮은 데로 임하소서』, 『따뜻한 강』, 『아리아리 강강』, 『자유의 문』 등 여러 편의 소설과 소설집이 있으며 수필집 『작가의 작은 손』, 『사라진 밀실을 찾아서』, 『야윈 젖가슴』 등을 비롯해, 희곡 『제3의 신』등이 있다.

그 밖에 동화 『할미꽃은 봄을 세는 술래란다』를 비롯하여 판소리 다섯마당을 동화로 풀어 쓴 『놀부는 선생이 많다』, 『토끼야, 용궁에 벼슬 가자』, 『심청이는 빽이 든든하다』, 『춘향이를 누가 말려』, 『옹고집이 기가 막혀』를 포함한 많은 작품이 있다.

어렸을 때 아버지와 큰형, 아우의 죽음은 이청준을 문학의 길로 이끌었다. 벽촌이던 고향에서 광주로 고등학교를 진학하여 고향 사람들의 자랑거리였다. 법관이 될 거라는 기대를 뒤로 하고 그는 문학의 세계에 눈을 돌리고 독문학과에 진학했다. 우리 현대소설사에서 가장 지성적인 작가로 평가 받는 이청준은 그의 소설에서 정치·사회적인 메커니즘과 그 횡포에 대한 인간 정신의 대결 관계를 주로 형상화하였다. 특히 언어의 진실과 말의 자유에 대한 그의 집착은 이른바 언어사회학적 관심으로 심화되고 있다.

그의 소설들 중에는 영화화된 작품이 많은데, 1972년 정진우 감독의 ‘석화촌’을 시작으로, 세계적인 컬트 감독으로 추앙받는 김기영 감독의 ‘이어도’(1977), 맹인 목사 안요한의 일대기를 그린 이장호 감독의 ‘낮은 데로 임하소서’(1982), 국내 최초로 100만 관객을 돌파했던 임권택 감독의 ‘서편제’(1993)와 ‘축제’(1996), ‘천년학’(2006), 삶의 의미와 구원의 문제를 탐색케 하는 칸영화제 수상작인 이창동 감독의 ‘밀양’(2007), 그리고 2008부산국제영화제 폐막작으로 상영됐던 윤종찬 감독의 ‘나는 행복합니다’(2008) 등이 모두 이청준의 소설을 원작으로 한 영화들이다.

또한 그는 동화쓰기에도 힘을 기울여 『할미꽃은 봄을 세는 술래란다』를 비롯하여, 판소리 다섯마당을 동화로 풀어 쓴 『놀부는 선생이 많다』『토끼야, 용궁에 벼슬 가자』『심청이는 빽이 든든하다』『춘향이를 누가 말려』『옹고집이 기가 막혀』를 집필하기도 했다. 동인문학상, 한국일보 창작문학상, 이상문학상, 중앙문예대상, 대한민국문학상, 이산문학상, 대산문학상, 제비꽃 서민 소설상 등을 수상했으며, 사후에 금관문화훈장이 추서되었다.

초기에는 상징적이고 관념적인 성격의 소설을 많이 썼으나 1980년대 접어들면서 보다 궁극적인 삶의 본질적 양상에 대한 소설적 규명에 나섰다. 2007년 폐암을 선고받고 항암치료 중 병세가 악화돼 입원치료를 받다 2008년 7월 31일 유명을 달리했다.

이청준의 다른 상품

석화촌 (큰글씨책)

석화촌 (큰글씨책)

22,900

'석화촌 (큰글씨책)' 상세페이지 이동

가해자의 얼굴

가해자의 얼굴

15,300 (10%)

'가해자의 얼굴' 상세페이지 이동

이청준 판소리 동화 세트

이청준 판소리 동화 세트

48,600 (10%)

'이청준 판소리 동화 세트' 상세페이지 이동

심청가

심청가

9,900 (10%)

'심청가' 상세페이지 이동

춘향가

춘향가

10,800 (10%)

'춘향가' 상세페이지 이동

흥부가

흥부가

9,000 (10%)

'흥부가' 상세페이지 이동

옹고집 타령

옹고집 타령

9,900 (10%)

'옹고집 타령' 상세페이지 이동

등저 : 정채봉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등저 : 정채봉
관심작가 알림신청
丁埰琫
1946년 순천의 바닷가 마을에서 태어났다. 1973년 동아일보 신춘문예 동화 부문에 〈꽃다발〉로 당선의 영예를 안고 등단했다. 그 후 대한민국문학상(1983), 새싹문화상(1986), 한국불교아동문학상(1989), 동국문학상(1991), 세종아동문학상(1992), 소천아동문학상(2000)을 수상했다.

‘성인 동화’라는 새로운 문학 용어를 만들어 냈으며 한국 동화 작가로서는 처음으로 동화집 『물에서 나
온 새』가 독일에서, 『오세암』은 프랑스에서 번역 출간되었다. 마해송, 이원수로 이어지는 아동 문학의
전통을 잇는 인물로 평가받으며 모교인 동국대, 문학아카데미, 조선일보 신춘문예 심사 등을 통해 숱한 후학을 길러 온 교육자이기도 했다.
동화 작가, 방송 프로그램 진행자, 동국대 국문과 겸임 교수로 열정적인 활동을 하던 1998년 말에 간암이 발병했다. 죽음의 길에 섰던 그는 투병 중에도 손에서 글을 놓지 않았으며 그가 겪은 고통, 삶에 대한 의지, 자기 성찰을 담은 에세이집 『눈을 감고 보는 길』을 펴냈고, 환경 문제를 다룬 동화집 『푸른수평선은 왜 멀어지는가』, 첫 시집 『너를 생각하는 것이 나의 일생이었지』를 펴내며 마지막 문학혼을 불살랐다. 평생 소년의 마음을 잃지 않고 맑게 살았던 정채봉은 2001년 1월, 동화처럼 눈 내리는 날 짧은 생을 마감했다.

정채봉의 다른 상품

첫 마음 (큰글씨책)

첫 마음 (큰글씨책)

26,000

'첫 마음 (큰글씨책)' 상세페이지 이동

너를 생각하는 것이 나의 일생이었지

너를 생각하는 것이 나의 일생이었지

9,000 (10%)

'너를 생각하는 것이 나의 일생이었지' 상세페이지 이동

첫 마음

첫 마음

11,700 (10%)

'첫 마음' 상세페이지 이동

오세암 (큰글자도서)

오세암 (큰글자도서)

23,000

'오세암 (큰글자도서)' 상세페이지 이동

창비아동문고 대표동화 35권 세트

창비아동문고 대표동화 35권 세트

314,730 (10%)

'창비아동문고 대표동화 35권 세트' 상세페이지 이동

학교에 간 할머니

학교에 간 할머니

9,000 (10%)

'학교에 간 할머니' 상세페이지 이동

푸른 수평선은 왜 멀어지는가

푸른 수평선은 왜 멀어지는가

8,820 (10%)

'푸른 수평선은 왜 멀어지는가' 상세페이지 이동

꽃그늘 환한 물

꽃그늘 환한 물

10,450 (5%)

'꽃그늘 환한 물' 상세페이지 이동

등저 : 이해인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등저 : 이해인
관심작가 알림신청
李海仁
올리베따노 성 베네딕도 수녀회 수녀. 1945년 강원도 양구에서 태어나 삼 일 만에 받은 세례명이 ‘벨라뎃다’, 스무 살 수녀원에 입회해 첫 서원 때 받은 수도명이 ‘클라우디아’이다. ‘넓고 어진 바다 마음으로 살고 싶다’는 뜻을 담은 이름처럼, 부산에 있는 바닷가 수녀원의 ‘해인글방’에서 사랑과 위로의 메시지를 전하고 있다. 수십 년간 폭넓은 독자층의 사랑을 받고 있는 그의 시는 교과서에도 여러 편 수록되어 있고 전국의 산과 공원에 수많은 시비로도 새겨져 있다.

수도자로서의 삶과 시인으로서의 사색을 조화시키며 기도와 시를 통해 복음을 전하는 수녀 시인. 1945년 강원도 양구에서 태어나 필리핀 성 루이스 대학 영문학과와 서강대 대학원 종교학과를 졸업했다. 현재 부산 성 베네딕도회 수녀로 봉직중이다. 1964년 수녀원(올리베따노 성 베네딕도 수녀회)에 입회, 1976년 종신서원을 한 후 오늘까지 부산에서 살고 있다.

1970년 『소년』지에 동시를 발표하며 등단했으며, 첫 시집 『민들레의 영토』를 출간한 이후 『내 혼에 불을 놓아』 『오늘은 내가 반달로 떠도』 『시간의 얼굴』 『서로 사랑하면 언제라도 봄』 『다른 옷은 입을 수가 없네』 『작은 위로』 『꽃은 흩어지고 그리움은 모이고』 『작은 기쁨』 『희망은 깨어 있네』 『작은 기도』 『이해인 시 전집 1· 2』 등의 시집을 펴냈고, 동시집 『엄마와 분꽃』, 시선집 『사계절의 기도』를 펴냈다. 산문집으로는 『두레박』 『꽃삽』 『사랑할 땐 별이 되고』 『향기로 말을 거는 꽃처럼』 『기쁨이 열리는 창』 『풀꽃 단상』 『사랑은 외로운 투쟁』 『꽃이 지고 나면 잎이 보이듯이』, 시와 산문 을 엮은 『필 때도 질 때도 동백꽃처럼』 등이 있다. 기도시 그림책 『어린이와 함께 드리는 마음의 기도』, 동화 그림책 『누구라도 문구점』을 냈다. 그밖에 마더 테레사의 『모든 것은 기도에서 시작됩니다』 외 몇 권의 번역서 와, 프란치스코 교황의 짧은 메시지에 묵상글을 더한 『교황님의 트위터』가 있다. 그의 책은 모두가 스테디셀러로 종파를 초월하여 많은 독자들의 사랑을 받고 있으며 초·중·고 교과서에도 여러 시들이 수록되어 있다. 제9회 새싹문학상, 제2회 여성동아대상, 제6회 부산여성문학상, 제5회 천상병 시문학상을 수상했다.

첫 시집 『민들레의 영토』(1976)를 펴내고 “고독의 진수를 깨며 내가 꽃으로 피어나야 할 땅”을 호명하며 우리 곁에 다가온 수녀는 수도자임에도 꾸준히 대중적인 인기를 이어가는 비결에 대해 ‘일상과 자연을 소재로 하는 친근한 시적 주제와 모태 신앙이 낳아준 순결한 동심과 소박한 언어 때문’일 거라고 표현하기도 한다.

넘치는 사랑과 정갈한 자기 반성이 읽는 이까지 물들이고, 일으켜 세우는 수녀 시인. 수녀는 시집 『작은 위로』에서 가슴에 빗금을 그으며 내리는 빗줄기를 보고 “진정 아름다운 삶이란 떨어져 내리는 아픔을 끝까지 견뎌내는 겸손”임을, “함께 사는 삶이란 힘들어도 서로의 다름을 견디면서 서로를 적셔주는 기쁨”임을 이야기한다. 때로는 “당신을 용서한다고 말하면서/사실은 용서하지 않은/나 자신을 용서하기/힘든 날이 있습니다”라는 고백도 털어놓았다.

이해인 수녀의 시를 읽다보면, 우리가 왜 시를 찾고 시를 읽는가를 생각하게 한다. 이해인 수녀는 지상의 모든 대상들과 “기도 안에서 만나고, 편지로서 만나고, 그리움으로서 만”난다. 그리하기에 수녀의 시는 기도로서, 편지로서, 그리움으로서 다가온다. “뒤틀린 언어로 뒤틀린 세계를 노래”한 시들이 줄 수 없는 “위안, 기쁨, 휴식, 평화”를 주기에 종파를 초월하여 많은 독자들의 사랑을 받는다. 또한 이해인 수녀는 악기의 소리로 시를 쓴다. 우리가 불안해하지 않고, 고통스러워하지 않고 감동과 전율로 그녀의 시를 읽는 까닭이 여기에 있다. 그 리듬에는 “사기(邪氣)”도 “불화”도 없다. 오묘한 화성의 조화, 부드럽고 아름다운 멜로디로 가득하다. “평생을 죄지은 자, 상처받은 자들을 감싸 안아 성모 마리아의 마음으로 사랑해온 수녀님의 순결한 영성이 뒷받침되지 않았다면” 결코 나올 수 없는 소리다. 그리하여 수녀의 글을 받는 이들은 “행복하다.”

한편 이해인 수녀는 어머니 1주기(2008년 9월 8일)를 기념한 열 번째 시집의 원고를 탈고하자마자 뜻밖의 암 선고를 받았다. 곧바로 대수술을 받고 잠깐 동안의 회복 기간을 거쳐 다시 항암치료를 시작한 이해인 수녀는 “어머니를 보내드리고 아픈 걸 다행으로 생각” 한다고 말했다. 어머니를 생각하는 이같은 마음은 열 번째 시집 『엄마』에 잘 담겨 있는데, 어머니가 손수 만들어 해인 수녀에게 선물로 주신 도장집, 꽃골무, 괴불주머니 등 어머니의 유품 사진들과 잔잔한 사연을 함께 담고 있다.

시인으로서 40년, 수도자로서 50년의 길을 걸어온 이해인 수녀는 오늘도 세상을 향해 시 편지를 띄운다. 삶의 희망과 사랑 의 기쁨, 작은 위로의 시와 산문은 너나없이 숙명처럼 짊어진 생활의 숙제를 나누는 기묘한 힘을 발휘한다. 멀리 화려하고 강렬한 빛을 좇기보다 내 앞의 촛불 같은 그 사랑, 그 사람을 잃지 말라는 메시지는 ‘조금씩 사라져가는 지상에서의 남은 시간들’, 아낌없는 사랑의 띠로 우리를 연결 짓게 한다.

이해인의 다른 상품

소중한 보물들

소중한 보물들

19,800 (10%)

'소중한 보물들' 상세페이지 이동

이해인의 햇빛 일기

이해인의 햇빛 일기

14,400 (10%)

'이해인의 햇빛 일기' 상세페이지 이동

인생의 열 가지 생각 (큰글자도서)

인생의 열 가지 생각 (큰글자도서)

26,000

'인생의 열 가지 생각 (큰글자도서)' 상세페이지 이동

인생의 열 가지 생각

인생의 열 가지 생각

14,400 (10%)

'인생의 열 가지 생각' 상세페이지 이동

모든 순간이 다 꽃으로 필 거예요

모든 순간이 다 꽃으로 필 거예요

11,400 (5%)

'모든 순간이 다 꽃으로 필 거예요 ' 상세페이지 이동

우리 가족 최고의 식사

우리 가족 최고의 식사

12,600 (10%)

'우리 가족 최고의 식사' 상세페이지 이동

고운 마음 꽃이 되고 고운 말은 빛이 되고 (큰글자책)

고운 마음 꽃이 되고 고운 말은 빛이 되고 (큰글자책)

27,000

'고운 마음 꽃이 되고 고운 말은 빛이 되고 (큰글자책)' 상세페이지 이동

[예스리커버] 꽃잎 한 장처럼

[예스리커버] 꽃잎 한 장처럼

16,200 (10%)

'[예스리커버] 꽃잎 한 장처럼' 상세페이지 이동

등저 : 배창호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등저 : 배창호
관심작가 알림신청
연세대학교 경영학과를 졸업하고 현대종합상사 케냐 지사에서 근무하다 <바람 불어 좋은 날>(이장호, 1980)의 조감독으로 영화계에 입문했다. <꼬방동네 사람들>(1982)로 감독으로 데뷔해 <적도의 꽃>(1983), <고래사냥>(1984), <깊고 푸른 밤>(1985) 등 일련의 흥행작들을 내놓으며 최고의 흥행 감독으로 입지를 다졌고, <황진이>(1986)를 기점으로 <기쁜 우리 젊은 날>(1987), <안녕하세요 하나님>(1987), <꿈>(1990) 등 자신이 추구하는 테마와 자신만의 독창적인 영상 스타일을 심화시켜 나갔다. 1994년 배창호프로덕션을 설립해 <젊은남자>(1994), <러브스토리>(1996), <정>(2000)을 직접 제작하기도 했고, <흑수선>(2001), <길>(2006), <여행>(2010)을 거쳐 그의 영화를 향한 길 찾기 여정은 지금도 계속되고 있다.

산호세주립대학교 방송영화학과 석좌교수, 건국대학교 영화예술학과 교수 등을 역임했으며, 대종상 신인감독상(<꼬방동네 사람들>), 감독상(<깊고 푸른 밤>), 백상예술대상 영화부문 신인감독상(<꼬방동네 사람들>), 감독상(<깊고 푸른 밤>, <천국의 계단>), 한국영화평론가협회상 감독상(<꼬방동네 사람들>, <고래사냥>), 각본상(<기쁜 우리 젊은 날>, <러브스토리>), 황금촬영상 감독상(<안녕하세요 하나님>), 아시아태평양영화제 감독상(<적도의 꽃>), 최우수작품상(<깊고 푸른 밤>), 프랑스 낭트3대륙영화제 심사위원 특별언급(<그해 겨울은 따뜻했네>), 프랑스 베노데국제영화제 심사위원 특별상, 최우수관객상(<정>), 이탈리아 우디네극동영화제 최우수관객상(<정>), 미국 필라델피아영화제 최우수작품상(<길>)을 비롯해 기독교문화상(1985), 서울시문화상(1985), 대한민국문화예술상(2003), 한국영화문화상(2004) 등 다수의 상을 수상했다. 주요 저서로 『기쁜 우리 젊은 날: 배창호 스크린 에세이』(우석, 1992), 『창호야 인나 그만 인나: 배창호 감독의 영화 이야기』(여백미디어, 2003) 등이 있으며, 2018년부터 2022년 7월까지 울주세계산악영화제 집행위원장으로 활동했다.

배창호의 다른 상품

배창호의 영화의 길

배창호의 영화의 길

18,000 (10%)

'배창호의 영화의 길' 상세페이지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