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 소개(2명)

이전

저 : 안대회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안대회
관심작가 알림신청
성균관대학교 한문학과 교수로, 현재 문과대학 학장을 맡고 있다. 전통시대의 문화와 문헌을 학술적으로 엄밀히 분석하면서도 특유의 담백하고 정갈한 문체로 풀어내 독자들에게 고전의 가치와 의미를 전해왔다. 대동문화연구원장과 한국18세기학회 회장, 한국한문학회 회장 등을 역임하였고, 한국명승학회 회장으로 봉사하고 있다. 제34회 두계학술상과 제16회 지훈국학상, 2023년도 SKKU-Fellowship을 수상했다.

지은 책으로는 『한양의 도시인들』, 『조선의 명문장가들』, 『벽광나치오』, 『정조의 비밀편지』, 『궁극의 시학』, 『선비답게 산다는 것』, 『담바고 문화사』 등이 있고, 옮긴 책으로는 『채근담』, 『택리지』(공역), 『해동화식전』, 『한국산문선』(공역), 『소화시평』, 『북학의』, 『녹파잡기』 등이 있다.

안대회의 다른 상품

한국 시화사

한국 시화사

40,000

'한국 시화사' 상세페이지 이동

한양의 도시인

한양의 도시인

14,400 (10%)

'한양의 도시인' 상세페이지 이동

궁핍한 날의 벗

궁핍한 날의 벗

14,400 (10%)

'궁핍한 날의 벗' 상세페이지 이동

채근담

채근담

27,000 (10%)

'채근담' 상세페이지 이동

만오만필

만오만필

34,200 (5%)

'만오만필' 상세페이지 이동

문장의 품격 (큰글씨책)

문장의 품격 (큰글씨책)

32,000

'문장의 품격 (큰글씨책)' 상세페이지 이동

택리지 평설

택리지 평설

15,300 (10%)

'택리지 평설' 상세페이지 이동

한국 산문선 세트

한국 산문선 세트

162,000 (10%)

'한국 산문선 세트' 상세페이지 이동

저 : 박제가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박제가
관심작가 알림신청
조선 후기 실학자로 연암 박지원과 함께 18세기 북학파의 거장이다. 본관은 밀양, 자는 차수(次修)·재선(在先)·수기(修其), 호는 초정(楚亭)·정유·위항도인(葦杭道人)이다. 1778년 사은사 채제공의 수행원으로 청나라에 다녀와서 『북학의』를 저술했다. 정조의 서얼허통(庶孼許通) 정책에 따라 이덕무·유득공·서이수 등과 함께 규장각 검서관이 되었다. 박제가는 키가 작고 다부진 체격이었으며, 수염이 많았다. 농담을 잘하고 남에게 지기 싫어하는 직선적인 성격의 소유자였다. 후배이자 검서관 동료인 성해응(成海應)은 박제가 사후에 박제가의 성격을 이렇게 표현했다.

“초정은 뛰어난 재능을 자부하여 남의 뒤를 좇아 움직이려 하지 않고 자기 천성이 가는대로 스스로 터득했다. 말을 꺼내면 바람이 일어 그 예리한 칼날을 거의 맞설 수 없었다. 그를 힐난하는 자가 나타나면 기어코 꺾으려 애썼다. 그런 탓에 쌓인 비방이 크고도 요란했다. 그러나 그의 이름은 끝내 덮어 버릴 수 없다.” 박제가의 오만하고 직선적인 성격과 강한 자부심, 호승심(好勝心)을 지적했는데 그를 용납하지 않는 적을 많이 만들어 낸 요인을 성격과 자부심 탓으로 돌리고 있다. 충분히 수긍할 만한 지적이다. 게다가 박제가는 서자였다. 내로라하는 명문가 출신이었으나 서자인 처지에 이런 성격과 능력과 태도를 지녔으니, 그는 주변에 숱한 적을 만들면서 문예와 학문에 종사한 것이다. 『북학의』에 표출된 선명하고 선이 굵은 주장은 그런 성격과 태도에도 잘 부합한다. 저서로는 『정유집』, 『북학의』, 『정유시고』, 『명농초고』明農草稿 등이 있다.

박제가의 다른 상품

북학의

북학의

11,700 (10%)

'북학의' 상세페이지 이동

궁핍한 날의 벗

궁핍한 날의 벗

14,400 (10%)

'궁핍한 날의 벗' 상세페이지 이동

북학의

북학의

10,710 (10%)

'북학의' 상세페이지 이동

북학의

북학의

13,500 (10%)

'북학의 ' 상세페이지 이동

쉽게 읽는 북학의

쉽게 읽는 북학의

10,800 (10%)

'쉽게 읽는 북학의' 상세페이지 이동

북학의 北學議

북학의 北學議

26,600 (5%)

'북학의 北學議' 상세페이지 이동

정유각집 세트

정유각집 세트

99,750 (5%)

'정유각집 세트' 상세페이지 이동

정유각집 (하)

정유각집 (하)

33,250 (5%)

'정유각집 (하)' 상세페이지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