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 소개(2명)

이전

저 : 윤기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윤기
관심작가 알림신청
무명자(無名子) 윤기(尹?, 1741(영조 17)~1826(순조 26))는 한평생 곤궁한 삶을 살면서도 선비로서의 주체성을 지키려 했던 전형적인 인물이다. 그가 살았던 18~19세기의 조선은 사회·문화적으로 다양한 변화양상이 나타나는바, 박지원(1737~1805)·이덕무(1741~1793)·박제가(1750~1805)·이옥(1760~1815)·정약용(1762~1836) 등 쟁쟁한 문인 학자들이 활동했던 시기다. 그러나 윤기는 ‘무명자’라는 호가 무색하지 않을 정도로 생존했던 당대는 물론 그 후의 문학사에서도 크게 조명되지 못하였다.
윤기는 ‘무명자(無名子)’를 자호(自號)로 쓸 정도로 사회적 관계에서 소외되었으나, 주체적으로 세속적 사회관계를 부정하고 저항한 인물이라 할 수 있다. 동인들과 결의를 다지거나, 산수자연을 벗 삼아 심회를 풀어놓던 여유로운 양반의 모습과는 비교적 동떨어져 있는 인물인 것이다. 스스로를 무명자(無名子), 기인(棄人)이라 일컫는 윤기는 당대 사회에서 철저하게 배제된 고립된 인간이다.

윤기의 다른 상품

무명자집 교점 8

무명자집 교점 8

19,000 (5%)

'무명자집 교점 8' 상세페이지 이동

무명자집 교점 7

무명자집 교점 7

19,000 (5%)

'무명자집 교점 7' 상세페이지 이동

무명자집 교점 6

무명자집 교점 6

19,000 (5%)

'무명자집 교점 6' 상세페이지 이동

무명자집 교점 4

무명자집 교점 4

19,000 (5%)

'무명자집 교점 4' 상세페이지 이동

무명자집 교점 9

무명자집 교점 9

19,000 (5%)

'무명자집 교점 9 ' 상세페이지 이동

역 : 임완혁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역 : 임완혁
관심작가 알림신청
경기도 의정부에서 태어나 성균관대학교 한문교육과를 졸업하고 같은 학교 대학원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다. 상지대학교와 성균관대학교에서 한문을 가르쳤고, 현재 영남대학교 한문교육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한자 문화 연구와 교육 사업에 대한 필요성을 느껴 한자문화연구소, (주)문화마당학이시습 설립에 참여하고, 한자 문화 대중화를 위해 활동하고 있다. 최근에는 사회와 개인의 관계, 인간의 행복, 여성의 삶, 청소년 교육 등에 관심을 갖고 이에 관련된 한문 자료를 살펴보고 있다. 논문으로「문헌 전승에 의한 야담의 변모양상」,「조선전기 필기의 전통과 패설」,「조선후기 현실과 야담」등이 있으며 《구연 전통과 서사》, 《차라리 벙어리로 살리라》, 《한문과 문학교육론(공저)》 등의 책을 펴냈다.

임완혁의 다른 상품

19세기 견문지식의 축적과 지식의 탄생 - 지수염필 하

19세기 견문지식의 축적과 지식의 탄생 - 지수염필 하

31,500 (10%)

'19세기 견문지식의 축적과 지식의 탄생 - 지수염필 하' 상세페이지 이동

19세기 견문지식의 축적과 지식의 탄생 - 지수염필 상

19세기 견문지식의 축적과 지식의 탄생 - 지수염필 상

29,700 (10%)

'19세기 견문지식의 축적과 지식의 탄생 - 지수염필 상' 상세페이지 이동

신분 이야기

신분 이야기

13,500 (10%)

'신분 이야기' 상세페이지 이동

한문과 문학교육론

한문과 문학교육론

24,300 (10%)

'한문과 문학교육론' 상세페이지 이동

구연 전통과 서사

구연 전통과 서사

21,850 (5%)

'구연 전통과 서사' 상세페이지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