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 소개(6명)

이전

저 : 양혜규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양혜규
관심작가 알림신청
특정한 역사적 인물이나 구체적인 일상의 환경 등을 설치, 조각, 영상, 사진, 사운드 등 다양한 매체를 통해 정교하고 추상적인 조형 언어로 번역해 많은 주목을 받았다. 양혜규의 작품은 제13회 카셀도쿠멘타(2012), 제53회 베니스 비엔날레 한국관 개인전 및 아르세날레 단체전(2009)을 비롯해 제16회 이스탄불 비엔날레(2019), 제21회 시드니 비엔날레(2018), 몬트리올 비엔날레(2016), 제12회 샤르자 비엔날레(2015), 제9회 타이베이 비엔날레(2014) 등의 저명한 대형 국제 미술 전시에서 소개되었다. 파리 퐁피두센터, 뉴욕 현대미술관, 런던 테이트 모던 등 권위 있는 기관에서 초대전을 개최한 바 있으며, 뉴욕 현대미술관, 구겐하임 미술관, 워커아트센터, 테이트 컬렉션, 퐁피두센터 등 세계 여러 유수 기관에서 양혜규의 작품을 소장하고 있다. 2018년 대한민국문화예술상(대통령 표창)의 수상자이며, 아시아 여성 작가 최초로 독일의 볼프강 한 미술상(Wolfgang Hahn Prize)을 받았다. 현재 모교인 프랑크푸르트 슈테델슐레 순수미술학부 교수로 재직 중이다. 앞서 아트선재센터(2010), 리움 미술관(2015), 서울 국제갤러리(2019)에서 국내 개인전을 개최한 바 있으며, 최근에는 마이애미 배스 미술관(2019), 사우스 런던 갤러리(2019), 뉴플리머스 고벳 브루스터 미술관, 브리즈번 현대미술관(2018), 몽펠리에 라 파나세 현대예술센터(2018), 밀라노 트리엔날레(2018), 쾰른 루트비히 미술관(2018), 쿤스트하우스 그라츠(2017), 베를린 킨들 현대미술센터(2017), 함부르크 쿤스트할레(2016), 포르투 세할베스 현대미술관 (2016), 파리 퐁피두센터(2016), 베이징 울렌스 현대미술센터(2015) 등에서 개인전을 개최했다. 뉴욕 현대미술관(2019)에서는 《손잡이들》 전시를 개최했으며, 2020년 하반기에는 국립현대미술관 《MMCA 현대차 시리즈 2020: 양혜규 - O₂ & H₂O》, 캐나다 토론토 온타리오 미술관에서 《창발》, 필리핀 마닐라 현대미술디자인뮤지엄에서 《우려의 원추》, 영국 테이트 세인트 아이브스에서 《이상한 끌개》 등의 주요 개인전들이 개최되었다.

저 : 바르트 판 데어 하이데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바르트 판 데어 하이데
관심작가 알림신청
현재 런던에서 활동하고 있는 네덜란드 큐레이터이자 미술평론가다. 암스테르담 시립미술관 분소, 로테르담 현대미술센터 비트 데 비드, 런던 큐빗 갤러리 등의 기관에서 전시를 기획하였다. 작가에 대해 쓴 글로는 하이모 조버니히Heimo Zobernig(테이트, 런던, 2008), 양혜규(포르티쿠스, 프랑크푸르트, 2009), 로타 헴펠Lothar Hempel(더글러스 하이드 갤러리, 더블린, 2008), 케렌 시터Karen Cytter(쿤스트하우스 취리히, 2008; MUMOK, 빈, 2007) 그리고 라이언 갠더Ryan Gander(ABN-Amro 컬렉션, 암스테르담, 2006) 등에 관한 평론이 있다. 2008년 작가 양혜규의 초대전 『치명적인 사랑》을 런던 큐빗 갤러리에서 기획했다.

저 : 맥스 앤드류스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맥스 앤드류스
관심작가 알림신청
1975년 영국 바스Bath 출생. 바르셀로나에서 마리아나 카네파 루나Mariana Canepa Luna와 함께 전시기획 사무소 ‘래터튜드Latitudes’(www.LTTDS.org)를 운영하며, 주로 예술가 및 단체와의 협업에 기반한 전시, 공공 프로젝트, 컨퍼런스, 편집 및 리서치 작업을 하고 있다. 또한 영국 현대미술 전문잡지 『프리즈Frieze』에 정기적으로 글을 기고하며, 전시 도록 『워커아트센터 콜렉션』, 『휘트니비엔날레 2008』, 『55회 카네기 인터내셔널』 등을 비롯한 여러 미술 관련 출판물에 평론을 쓰고 있다. 래터튜드는 2009년 영국 브리스톨에 소재한 아놀피니Anolfini아트센터에서, 아놀피니 수석 큐레이터 나브 학Nav Hag과 공동 기획하여 『시퀄리즘Sequelism』이라는 전시를 기획했고, 여기서 작가 양혜규의 작업 「내일을 위한 휴일」을 전시했다.

저 : 주은지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주은지
관심작가 알림신청
샌프란시스코 현대미술관의 현대미술 큐레이터로 재직하고 있는 주은지는 『현대미술과 다문화 교육을 재고하며』(루트리지, 2011)를 편집했고, 『예술 공간 안내서』(아트아시아퍼시픽·뉴뮤지움 공동 출판, 2012년)를 공동 편집했다. 2016년 제5회 안양공공예술프로젝트의 예술감독으로 공공 장소와 그 대상성을 질문하는 전시에 국내외 23명의 예술가를 초대했다. 2015년 제12회 샤르자 비엔날레의 예술감독을 맡아 《과거, 현재, 그리고 가능성》전을 기획했고, 예술기관과 큐레이터 간의 협업체인 뉴뮤지엄의 ‘허브로서의 미술관’을 다년간 이끌었으며, 2012년에는 뉴뮤지엄의 트리엔날레 《다스릴 수 없는 자들》을 기획했다.

저 : 정도련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정도련
관심작가 알림신청
현재 홍콩 엠플러스 미술관의 부관장이자 수석 큐레이터다. 국제독립큐레이터협회가 제정한 ‘게리트 란싱 독립 큐레이터 상’의 첫 수상자(2010)이며, 다양한 미술 간행물과 도록에 글을 기고해왔다. 뉴욕 현대미술관의 ‘회화조각부’ 부큐레이터(2009~2013)를 역임하면서 미술관 컬렉션을 확충하는 데 기여하는 한편, 『도쿄 1955~1970: 새로운 아방가르드』(2012)와 『프라이머리 도큐멘트: 1945~1989 전후에서 포스트모던까지 일본의 예술』의 공동 편집을 맡았다. 미니애폴리스의 워커아트센터에서 큐레이터(2003~2009)로 활약하는 중에는 《테츠미 쿠도: 메타모포시스의 정원》(2008), 《신탁의 집: 황용핑 회고전》(2005) 등의 전시를 공동으로 기획했다.

저 : 최빛나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최빛나
관심작가 알림신청
1977년 한국 서울생으로, 2003년 네덜란드의 현대미술센터 데 아펠에서 큐레이터 연수 과정을 거친 이후 현대미술센터BAK에서 큐레이터로 활동했으며, 여러 미술잡지에 정기적으로 글을 기고하고 있다. 2008년 여름부터 네덜란드의 위트레흐트에 위치한 카스코 프로젝트CASCO Project라는 공공 현대미술센터를 운영하고 있으며, 공간, 기관, 작가, 디자이너, 이웃과 ‘관객/독자’가 공동으로 구축해내는 사회적 모델의 가능성을 모색하고 있다. 동시에 소위 ‘문화 교류’의 형식과 정치학을 연구하는 ‘전자 야자수’라는 독립 프로젝트를 다른 두 명의 큐레이터와 함께 공동으로 꾸려나가고 있다. 2006년 현대미술센터에서 양혜규의 개인전 『비균질적으로』를 기획하였고, 이 전시를 동반한 책자 『부재의 공동체』를 편집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