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 소개(7명)

이전

저 : 박원순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박원순
관심작가 알림신청
朴元淳
1956년 경남 창녕 태생으로 서울대에 들어갔으나 학생운동으로 구속, 제명된 후에 다시 단국대 사학과에 입학했다. 1980년 사법고시에 합격하고 대구 지검 검사를 거쳐서 변호사가 되었다. 80년대와 90년대에 수많은 양심수 사건을 변론하며 대표적인 인권변호사로 활동해왔다. 대한변호사협회 인권위원, 법조제도개혁위원, 역사문제연구소 이사장, 한겨레신문 논설위원, 한국정신대대책협의회 자문위원으로 활동한 것도 그 시대 박 변호사의 발자취이다. 90년대 초반에는 영국 런던대학 정경대학원에서 수학하였으며 이후 미국 하버드법대에 객원연구원으로 활동하였다.

1994년부터 참여연대 사무처장을 거쳐, 아름다운재단과 아름다운가게 상임이사를 역임 하면서 진보적인 사회운동의 영역을 나눔과 기부로 확대하는 데 큰 역할을 했다. 1998년에는 한국여성단체연합회에서 주는 여성운동상을 수상했으며 2006년에는 아시아의 노벨상으로 불리는 필리핀 막사이사이상(공공봉사부문)을 수상하였다. 2011년 서울시장 보궐선거 당선을 시작으로 제35~37대 서울시장을 지냈으며 2020년 7월 세상을 떠났다.

지은 책으로는 『경청』, 『정치의 즐거움』, 『희망을 걷다』, 『세상을 바꾸는 천개의 직업』, 『마을에서 희망을 만나다』, 『NGO, 시민의 힘이 세상을 바꾼다』, 『박원순 변호사의 일본시민사회 기행』, 『성공하는 사람들의 아름다운 습관, 나눔』, 『세상은 꿈꾸는 사람들의 것이다』, 『독일사회를 인터뷰하다』, 『스스로 움직이게 만드는 힘 프리 윌』 등이 있다.

박원순의 다른 상품

Rewriting the Rules of the Korean Economy

Rewriting the Rules of the Korean Economy

15,000

'Rewriting the Rules of the Korean Economy' 상세페이지 이동

몰라서 물어본다

몰라서 물어본다

13,500 (10%)

'몰라서 물어본다' 상세페이지 이동

박원순, 생각의 출마 + 국민에게만 아부하겠습니다 세트

박원순, 생각의 출마 + 국민에게만 아부하겠습니다 세트

15,300 (10%)

'박원순, 생각의 출마 + 국민에게만 아부하겠습니다 세트' 상세페이지 이동

박원순, 생각의 출마

박원순, 생각의 출마

10,800 (10%)

'박원순, 생각의 출마' 상세페이지 이동

50플러스의 시간

50플러스의 시간

13,050 (10%)

'50플러스의 시간' 상세페이지 이동

국민에게만 아부하겠습니다

국민에게만 아부하겠습니다

4,500 (10%)

'국민에게만 아부하겠습니다' 상세페이지 이동

박원순과 도올, 국가를 말하다

박원순과 도올, 국가를 말하다

13,500 (10%)

'박원순과 도올, 국가를 말하다' 상세페이지 이동

박원순의 어린이를 위한 응원

박원순의 어린이를 위한 응원

9,000 (10%)

'박원순의 어린이를 위한 응원' 상세페이지 이동

저 : 홍세화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홍세화
관심작가 알림신청
Hong Se-hwa,ホンセファ,洪世和,
저자는 무역회사원, 난민, 택시기사, 언론인 생활을 거쳐 은퇴한 산책자의 일상을 보냈으며, 세상에서 가장 가난한 은행장(?) 명함을 자랑스럽게 휴대하였다.

1979년, 무역회사 주재원으로 프랑스에 체류 중 ‘남민전’ 사건에 연루되어 망명하였다. 프랑스 정부로부터 사상의 자유 침해에 따른 난민으로 인정받아, 관광 안내·택시 운전을 하며 이주노동자로 생활하였다. 이때 집필한 『나는 빠리의 택시운전사』는 ‘똘레랑스’라는 용어에 ‘공존’의 메시지를 담아 우리 사회에 큰 반향을 일으켰다. 2002년 귀국하여 언론, 출판, 교육, 사회운동, 정치 등 다양한 분야의 최전선에서 활동하였다. ‘장발장은행’의 은행장으로 시민 모임 ‘마중’을 통해 화성 외국인 보호소에 수용된 외국인들을 지원하였다. 주요 저서로 『미안함에 대하여』, 『결: 거칢에 대하여』, 『공부』, 『무엇이 우리를 인간이게 하는가』, 『생각의 좌표』, 『지구를 구하는 정치 책』 등이 있고, 『노루 인간』, 『딸에게 들려주는 인종차별 이야기』, 『왜 똘레랑스인가』 등을 번역했다.

2024년 4월 18일 암으로 세상을 떠났다.

홍세화의 다른 상품

어떤 어른이 되어야 하냐고 묻는 그대에게

어떤 어른이 되어야 하냐고 묻는 그대에게

13,500 (10%)

'어떤 어른이 되어야 하냐고 묻는 그대에게' 상세페이지 이동

청소년을 위한 두 글자 인문학

청소년을 위한 두 글자 인문학

15,300 (10%)

'청소년을 위한 두 글자 인문학' 상세페이지 이동

생각의 좌표

생각의 좌표

13,500 (10%)

'생각의 좌표' 상세페이지 이동

새로운 세상의 문 앞에서

새로운 세상의 문 앞에서

15,300 (10%)

'새로운 세상의 문 앞에서' 상세페이지 이동

노루인간

노루인간

16,920 (10%)

'노루인간' 상세페이지 이동

10대를 위한 민주시민 교과서 ‘한걸음씩’ 시리즈 전10권 BOX 세트

10대를 위한 민주시민 교과서 ‘한걸음씩’ 시리즈 전10권 BOX 세트

109,800 (10%)

'10대를 위한 민주시민 교과서 ‘한걸음씩’ 시리즈 전10권 BOX 세트' 상세페이지 이동

능력주의와 불평등

능력주의와 불평등

12,600 (10%)

'능력주의와 불평등' 상세페이지 이동

미안함에 대하여

미안함에 대하여

13,500 (10%)

'미안함에 대하여' 상세페이지 이동

저 : 오창익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오창익
관심작가 알림신청
인권연대 사무국장으로 일하는 인권운동가. 평소 듣고 말하고 읽고 쓰는 활동을 중요하게 생각한다. 특별히 형사사법 과정에서 가난한 사람들이 당하는 차별에 관심이 많다. 오창익은 활발한 인권교육활동을 해왔다. 프로야구 선수와 종교인, 교사, 기자, 군인, 경찰관, 대학생, 청소년, 사회단체 활동가 등 다양한 사람들이 그의 강의를 들었다.

성공회대학교 겸임교수를 역임했고, 광운대학교 외래교수로 학생들을 가르치고 있다.《 십중팔구 한국에만 있는!》,《 사람답게 산다는 것》을 썼고, 함께 쓴 책은《검찰공화국, 대한민국》,《 10대와 통하는 청소년인권학교》,《 간신》,《 인문학이 인권에 답하다》,《 인간은 왜 폭력을 행사하는가?》,《 인권연대의 청소년 인권특강》등이 있고, 기획한 책은《리영희프리즘》,《 기억하라연대하라! 강우일 주교에게 듣는다》가 있다. 《한겨레》,《 경향신문》,《 시사인》,《 평화신문》등의 여러 매체에 칼럼을 썼고, 다양한 방송활동도 하고 있다.

오창익의 다른 상품

인권, 여성의 눈으로 보다

인권, 여성의 눈으로 보다

11,400 (5%)

'인권, 여성의 눈으로 보다' 상세페이지 이동

십중팔구 한국에만 있는!

십중팔구 한국에만 있는!

12,600 (10%)

'십중팔구 한국에만 있는!' 상세페이지 이동

인권연대의 청소년 인권 특강

인권연대의 청소년 인권 특강

12,600 (10%)

'인권연대의 청소년 인권 특강' 상세페이지 이동

인간은 왜 폭력을 행사하는가?

인간은 왜 폭력을 행사하는가?

11,700 (10%)

'인간은 왜 폭력을 행사하는가? ' 상세페이지 이동

간신

간신

12,600 (10%)

'간신' 상세페이지 이동

검찰공화국, 대한민국

검찰공화국, 대한민국

11,700 (10%)

'검찰공화국, 대한민국' 상세페이지 이동

저 : 조명래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조명래
관심작가 알림신청
趙明來
1954년 안동생. 단국대학교 사회과학대학 도시지역계획학과 교수. 단국대학교 법정대를 거쳐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에서 석사, 영국 서섹스 대학교에서 석사와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공간과 환경의 정치경제학’이 주로 연구하는 분야다.

그간의 연구 성과로는 『포스트포디즘과 현대사회위기』(1999), 『녹색사회의 탐색』(2001, 대한민국학술원 선정 우수학술도서), 『현대사회의 도시론』(2002, 문화관광부 선정 우수학술도서), 『개발정치와 녹색진보』(2006), 『지구화, 되돌아보기 넘어서기』(2009), 『지식지형??(2011, 공저), 『공간으로 사회 읽기』(2012) 등 60여 권(공저 포함)을 냈고, 450여 편의 논문을 발표했다.

한국NGO학회장, ≪환경과 생명≫ 편집인, 한국도시연구소장(역임), 한국공간환경학회장(역임), 환경정의 공동대표, 인간도시컨센서스 공동대표, 탈핵에너지교수모임 공동대표, 서울YMCA 시민정치위원장, 충남도 행정혁신위원장, 서울시 도시계획위원, 수도권광역경제 발전위원, 세종시평가위원, 국회정보화자문위원, 환경부갈등조정위원장(역임), 외통부환경자문위원(역임), 문광부평가위원(역임), 대통령 직속 국가균형발전위원회/지속가능발전위원회 전문위원(역임) 등으로 일했다.

조명래의 다른 상품

저성장 시대의 도시정책

저성장 시대의 도시정책

39,000

'저성장 시대의 도시정책' 상세페이지 이동

녹색토건주의와 환경위기

녹색토건주의와 환경위기

21,000

'녹색토건주의와 환경위기' 상세페이지 이동

녹색토건주의와 환경위기

녹색토건주의와 환경위기

30,000

'녹색토건주의와 환경위기' 상세페이지 이동

건축·도시·조경의 지식 지형

건축·도시·조경의 지식 지형

15,300 (10%)

'건축·도시·조경의 지식 지형' 상세페이지 이동

기후 붕괴 시대, 아주 불편한 진실 조금 불편한 삶

기후 붕괴 시대, 아주 불편한 진실 조금 불편한 삶

14,400 (10%)

'기후 붕괴 시대, 아주 불편한 진실 조금 불편한 삶' 상세페이지 이동

녹색사회의 탐색

녹색사회의 탐색

19,000 (5%)

'녹색사회의 탐색' 상세페이지 이동

저 : 김주언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김주언
관심작가 알림신청
Kim, Joo-Un,金周彦
김주언은 1954년 충남 천안에서 태어나 고향에서 중학교를 마치고 서울로 유학, 서울고를 졸업한 뒤 1972년 서울대 문리대 화학과에 입학했다. 서울대 재학 중 '민청학련' 사건에 연루되어 투옥됐다가 기소유예로 풀려난 뒤 군에 입대했다. 군 생활 이후 복학하여 1979년 졸업했다.

1980년 한국일보에 입사하여 문화부, 과학부, 편집부, 사회부, 경제부 기자로 근무했다. 기자로 재직하던 중 1986년 '말'특집호를 통해 '보도지침'을 폭로하여 구속되었다. 1987년 집행유예로 풀려난 뒤 한국일보에 복직하였다. 1992년부터 이듬해까지 한국기자협회장을 지냈다.

19년간 근무했던 신문사를 떠나 1998년 '언론개혁시민연대'를 창랍하고 사무총장을 맡아 시민운동에 뛰어들었다. 2002년부터 한국언론재단 연구이사를 지냈으며 2005년엔 신문발전위원회 초대 사무총장을 역임했다. SBS와 EBS 시청자위원, 방송위원회 심의위원을 역임하였다.

저서로는 『보도지침』, 『신문편집의 자율성 증대를 위한 편집책임자의 규정과 그 역할 및 권한에 관한 연구』, 『2000년대 한국 언론의 이념적 정체성에 관한 연구』, 『미디어 2.0시대 시청자 권리와 수용자 운동』 등 연구보고서를 공동집필했다.

현재 시민단체 '언론광장' 감사, '열린 미디어 연구소' 이사, '민주평화국민회의' 공동대표를 맡고 있으며, '시민사회신문' 편집인을 맡아 '편집인 레터'라는 칼럼을 연재하고 있다.

김주언의 다른 상품

NCCK가 주목한 오늘, 이땅의 언론 시선

NCCK가 주목한 오늘, 이땅의 언론 시선

11,700 (10%)

'NCCK가 주목한 오늘, 이땅의 언론 시선' 상세페이지 이동

한국의 언론통제

한국의 언론통제

23,400 (10%)

'한국의 언론통제' 상세페이지 이동

저 : 박병상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박병상
관심작가 알림신청
도시와 생태 문제를 고민하고 대안을 찾아 헤매는 고집불통의 서생. 군 생활을 빼고는 태어나 한 번도 인천을 떠나지 않고 ‘환경운동을 하는 생물학자’다. 1976년 인하대학교에 생물학과에 입학해 학부와 석사와 박사 과정을 1988년까지 마치고, 가톨릭대학교 환경사회학 석사 과정에 입학했으나 졸업하지는 못했다. 그동안 생태적 시각으로 여러 대학에서 ‘환경과 인간’이라는 주제로 강의했고, 현재 인천도시생태·환경연구소 소장이다. 『어쩌면 가장 중요한 이야기』 『동물인문학』 『탐욕의 울타리』 『파우스트의 선택』 『내일을 거세하는 생명공학』 『우리 동물 이야기』 『참여로 여는 생태공동체』 『녹색의 상상력』 『이것은 사라질 생명의 목록이 아니다』 등을 썼고, 다수의 공동 저서가 있다.

박병상의 다른 상품

미래 세대를 위한 녹색 특강

미래 세대를 위한 녹색 특강

14,250 (5%)

'미래 세대를 위한 녹색 특강' 상세페이지 이동

조곤조곤 생태정의 이야기

조곤조곤 생태정의 이야기

15,300 (10%)

'조곤조곤 생태정의 이야기' 상세페이지 이동

선생님, 인류세가 뭐예요?

선생님, 인류세가 뭐예요?

12,350 (5%)

'선생님, 인류세가 뭐예요? ' 상세페이지 이동

GDP 너머 국민총행복

GDP 너머 국민총행복

14,400 (10%)

'GDP 너머 국민총행복' 상세페이지 이동

지구별 생태사상가

지구별 생태사상가

17,100 (10%)

'지구별 생태사상가' 상세페이지 이동

세계 시민 수업 1~10권 세트

세계 시민 수업 1~10권 세트

108,000 (10%)

'세계 시민 수업 1~10권 세트' 상세페이지 이동

우리는 자연의 일부입니다

우리는 자연의 일부입니다

10,800 (10%)

'우리는 자연의 일부입니다' 상세페이지 이동

어쩌면 가장 위험한 이야기

어쩌면 가장 위험한 이야기

14,400 (10%)

'어쩌면 가장 위험한 이야기' 상세페이지 이동

저 : 박세길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박세길
관심작가 알림신청
1962년 충북 영동에서 출생하여 서울대학교에서 철학을 수학했다. 대학생 시절 민주화운동에 참여한 이후 줄곧 재야에 머물렀다. 1990년대 전반기에는 노동자와 한국근현대사 인식을 공유하기 위한 역사교양 활동에 매진했다. 1990년대 후반부터는 사회단체와 연구기관 상근자로 활동했다. 1993년 기존 세계를 뛰어넘는 새로운 미래를 탐색하는 일에 몰두하기 시작, 2007년부터는 오로지 연구와 집필 작업에만 전념했다.

지은 책으로는 『다시 쓰는 한국현대사 1~3』, 『한국경제의 뿌리와 열매』, 『세계를 바꾸는 역사』, 『우리 농업, 희망의 대안』, 『혁명의 추억 미래의 혁명』, 『미래를 여는 한국인史 1~2』, 『자본주의, 그 이후』, 『젊은 국가』, 『한국 현대사 열한 가지 질문』, 『선언』, 『한국혁명』, 『두 번째 프레임 전쟁이 온다』 등이 있다.

박세길의 다른 상품

갈수록 살기 힘든 나라

갈수록 살기 힘든 나라

18,000 (10%)

'갈수록 살기 힘든 나라' 상세페이지 이동

대전환기 프레임 혁명

대전환기 프레임 혁명

14,400 (10%)

'대전환기 프레임 혁명' 상세페이지 이동

두 번째 프레임 전쟁이 온다

두 번째 프레임 전쟁이 온다

16,200 (10%)

'두 번째 프레임 전쟁이 온다' 상세페이지 이동

선언

선언

13,500 (10%)

'선언' 상세페이지 이동

한국 현대사 열한 가지 질문

한국 현대사 열한 가지 질문

13,500 (10%)

'한국 현대사 열한 가지 질문' 상세페이지 이동

자본주의, 그 이후

자본주의, 그 이후

18,000 (10%)

'자본주의, 그 이후' 상세페이지 이동

미래를 여는 한국인史 : 정치사회편

미래를 여는 한국인史 : 정치사회편

13,500 (10%)

'미래를 여는 한국인史 : 정치사회편' 상세페이지 이동

미래를 여는 한국인史 : 경제편

미래를 여는 한국인史 : 경제편

13,500 (10%)

'미래를 여는 한국인史 : 경제편' 상세페이지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