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 소개(10명)

이전

저 : 윤동주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윤동주
관심작가 알림신청
尹東柱
일제강점기 저항시인이자 독립운동가. 일제 강점기 암울한 현실 속에서 민족에 대한 사랑과 독립의 절절한 소망을 노래한 민족시인. 우리 것이 탄압받던 시기에 우리말과 우리글로 시를 썼다. 윤동주는 어둡고 가난한 생활 속에서 인간의 삶과 고뇌를 사색하고, 일제의 강압에 고통받는 조국의 현 실을 가슴 아파하는 철인이었다. 그의 사상은 짧은 시 속에 반영되어 있다. 1917년 12월 30일 만주 북간도 명동촌에서 윤영석과 김룡의 맏아들로 출생했다. 윤동주는 청춘 시인이다. 절친한 친구였던 문익환 목사의 시 ‘동주야’에 의하면 아직 새파란 젊은이로 기억되고 있었다. 한글을 구사하면서 작품을 발표한 1920년대부터 1940년대까지 만주 용정과 경성 신촌 일대에서 문학청년들과 몸을 부대끼며 시를 썼기에 청춘의 고뇌가 담겨 있다. 1925년(9세) 4월 4일, 명동 소학교에 입학했다. 1927년 고종사촌인 송몽규 등과 함께 문예지 [새 명동]을 발간했다. 1931년(15세) 명동소학교를 졸업하고 1932년(16세) 은진중학교에 입학했다. 1934년(18세) 12월 24일, 「삶과 죽음」, 「초한대」, 「내일은 없다」 등 3편의 시 작품을 썼고 이는 오늘 날 찾을 수 있는 윤동주 최초의 작품이다. 1935년(19세) 은진중학교 4학년 1학기를 마치고 평양 숭실중학교 3학년 2학기로 편입했다. 같은 해 평양 숭실중학교 문예지 [숭실활천]에서 시 ‘공상’이 인쇄화되었다. 1936년 신사참배 강요에 항의하여 숭실학교를 자퇴하고 [카톨릭 소년]에 동시 「병아리」, 「빗자루」를, 1937년 [카톨릭 소년]에 동시 「오줌싸개 지도」, 「무얼 먹고 사나」, 「거짓부리」를 발표했다. 1938년(22세)2월 17일 광명중학교 5학년을 졸업하고 서울 연희전문학교(연세대학교) 문과에 입학했고 1939년 조선일보에 「유언」, 「아우의 인상화」, [소년(少年)]지에 「산울림」을 발표하였다. 처음 윤동주 시들은 노트에 봉인된 채, 인쇄되지도 않았고 신문 지면에 발표되지 않았다. 그가 후쿠오카 감옥에서 숨지고 난 후 동문들이 그의 노트에 있던 시를 모아 정음사에서 출판한다. 유해가 안치된 지 3년 후, 그러니까 1948년, 조선은 대한민국으로 국호가 바뀌어 혼란한 시기에 청춘 시가 세상에 그 모습을 드러냈다. 15세 때부터 시를 쓰기 시작하여 1941년 연희전문학교를 졸업하던 해인 1941년「하늘과 바람과 별과 시」를 발간하려 하였으나 실패하고, 자필로 3부를 남긴 것이 광복 후에 정병욱과 윤일주에 의하여 다른 유고와 함께「하늘과 바람과 별과 시」(정음사, 1948)라는 제목으로 간행되었다. 만주 북간도에서 4남매 중 장남으로 태어났다. 15세 때부터 시를 쓰기 시작하여, 조선일보, 경향신문 등에 「달을 쏘다」, 「자화상」, 「쉽게 씌어진 시」를 발표하였다. 연희전문을 졸업한 후 1942년에는 일본으로 건너가 도쿄 릿쿄 대학 영문과에 입학하였고, 6개월 후에 교토 시 도시샤 대학 문학부로 전학하였다. 1943년 7월 14일, 귀향길에 오르기 전 사상범으로 일본 경찰에 체포되어 교토의 카모가와 경찰서에 구금되었다. 이듬해 교토 지방 재판소에서 독립운동을 했다는 죄목으로 2년형을 언도받고 후쿠오카 형무소에 수감되었다. 그리고 복역 중이던 1945년 2월 16일 광복을 여섯 달 앞두고 스물여덟의 젊은 나이로 타계하였다.

윤동주의 다른 상품

하늘과 바람과 별과 시

하늘과 바람과 별과 시

4,500 (10%)

'하늘과 바람과 별과 시' 상세페이지 이동

동주와 빈센트 하드커버 에디션

동주와 빈센트 하드커버 에디션

17,820 (10%)

'동주와 빈센트 하드커버 에디션' 상세페이지 이동

하늘과 바람과 별과 시

하늘과 바람과 별과 시

10,800 (10%)

'하늘과 바람과 별과 시 ' 상세페이지 이동

윤동주 시집 컬러 일러스트 (큰글자책)

윤동주 시집 컬러 일러스트 (큰글자책)

21,000

'윤동주 시집 컬러 일러스트 (큰글자책)' 상세페이지 이동

평생 간직하고픈 필사 시 (큰글자책)

평생 간직하고픈 필사 시 (큰글자책)

23,000

'평생 간직하고픈 필사 시 (큰글자책) ' 상세페이지 이동

정지용·이상·백석·윤동주 소장용 4권 세트

정지용·이상·백석·윤동주 소장용 4권 세트

52,200 (10%)

'정지용·이상·백석·윤동주 소장용 4권 세트' 상세페이지 이동

일본 교과서의 윤동주와 이바라기 노리코

일본 교과서의 윤동주와 이바라기 노리코

19,800 (10%)

'일본 교과서의 윤동주와 이바라기 노리코' 상세페이지 이동

모든 슬픔이 사라진다

모든 슬픔이 사라진다

15,030 (10%)

'모든 슬픔이 사라진다' 상세페이지 이동

저 : 한용운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한용운
관심작가 알림신청
韓龍雲, 만해, 한유천
승려·시인·독립운동가. 1879년 8월 29일 충남 홍성군에서 몰락한 양반 출신의 가문의 둘째 아들로 태어났다. 속명은 정옥(貞玉), 아명은 유천이며, 용운은 법명, 호적상이름이자 본명은 한정옥이다. 6세 향리의 사숙에서 한문을 배웠고, 9세 『서상기西廂記』를 독파하고, 『통감』『서경』 등을 통달하여 총명한 어린이라는 말을 들었다. 당시 풍습이 그러함에 따라 14세 향리에서 천안 전씨全氏 전정숙과 일찍 혼인하였으나, 집을 나가 떠돌고 출가하기를 반복했다. 가출하여서는 동학농민운동에 가담했고, 고향 홍성을 떠나 백담사 등을 전전하며 불교서적을 탐독했다. 21세에 강원도 인제군 설악산 백담사 등지를 전전하였고, 이때를 전후해서 세계여행을 계획하였다.

1894년 동학군에 가담하여 투쟁하다 실패했다. 1896년 설악산 오세암에 은거, 수년 간 불경을 공부하는 한편 근대적 교양서적을 읽어 서양의 근대사상을 접했다. 1904년(26세) 설악산 백담사에 들어가 불목하니 노릇을 하다가 출가하여 승려가 되었다. 27세 백담사에서 김연곡사金蓮谷師에게서 득도. 백담사에서 전영제사全泳濟師에 의하여 수계受戒. 백담사에서 이학암사李鶴庵師에게 『기신론』, 『능엄경』, 『원각경』 등을 수료. 29세 강원도 건봉사에서 수선안거(최초의 禪수업)를 성취하였다.

30세 강원도 유점사에서 서월화사徐月華師에게 『화엄경』을 수학하였고 4월, 일본의 시모노세키, 교토, 도쿄, 닛고 등지를 주유하며 신문물을 시찰하였다. 도쿄 조동종 대학에서 불교와 서양 철학을 청강하였으며, 10월, 건봉사 이학암사에서 『반야경』과 『화엄경』을 수료하였다. 31세에 강원도 표훈사 불교 강사에 취임하였고 1910년(32세) 『조선불교유신론』을 백담사에서 탈고, 1911년(33세) 박한·진진웅·김종래·장금봉 등과 순천 송광사, 동래 범어사에서 승려 궐기대회를 개최하고 한일불교동맹 조약 체결을 분쇄하였다. 1913년(35세) 불교강연회 총재에 취임하였고 『조선불교유신론』을 불교서관에서 발행하였다.

1914년(36세) 『불교대전』을 범어사에서 발행하고 1917년(39세) 『정선강의 채근담』을 신문관에서 발행하였고 항일 투사로 활동을 시작했다. 12월 3일 밤 10시쯤 오세암에서 좌선하던 중 바람에 물건이 떨어지는 소리를 듣고 의정돈석擬情頓釋이 되어 진리를 깨치고, 오도송을 남겼다. 1918년 청년계몽운동지 [유심]지를 창간했다. 1919년(41세) 3.1운동을 주도, 최남선이 작성한 『독립선언서』의 자구 수정을 하고 공약삼장을 첨가하였다. 1923(45세) 조선물산장려운동을 적극 지원하였고, 민립대학 설립 운동을 지원하는 강연을 하였다.1924년 불교청년회 회장, 총재를 역임하였다.

1925년(47세) 오세암에서 『님의 침묵』을 탈고하엿다. 1927년(49세) 1월 신간회를 발기하였으며, 5월 신간회 중앙집행위원 겸 경성지회장에 뽑혔다. 1929년 광주학생운동 민중대회를 개최하였다. 1931년(53세) 월간 [불교]지를 인수하였고 청년승려비밀결사 만당卍黨의 영수로 추대되었으며, 1932년(53세) 조선불교 대표인물 투표에서 최고득점으로 압도적인 지지를 받았다(한용운 422표, 방한암 18표, 박한영 13표, 김태흡 8표, 이혼성 6표, 백용성 4표, 송종헌 3표, 백성욱 3표, 3표 이하는 생략. 불교지 93호에 발표됨). 1933(54세) 유숙원씨와 재혼하였고, 이때를 전후하여 『유마힐소설경』을 번역하기 시작하였다. 벽산 스님이 집터를 기증하고, 몇 분의 성금으로 성북동에 심우장尋牛莊을 지었으며, 이때 총독부 돌집을 마주보기 싫다고 북향으로 짓도록 하였다.

1940년(62세) 『불교』지 2월호에 『유마힐소설경』 연재를 시작하였고, 1943년(65세) 조선인 학병의 출정을 반대하였다. 1944년(66세) 6.29 심우장에서 영양실조로 입적하였으며 유해는 미아리 화장장에서 다비한 후 망우리 공동묘지에 안장되었다. 한용운은 불자의 신분으로 독립운동에 적극 참여하였고, 민중에게 독립의 필요성을 설파하는 등 사회 참여가 활발했던 것으로도 알려져 있다. 3·1운동에 가담하고 독립선언서를 공개하여 낭독하는 등의 활동으로 일본 경찰에 체포되어 3년간 옥살이를 하기도 했다.

1926년에는 시집 『님의 침묵』을 출판하여 저항문학에 앞장섰는데, 기존의 시조 형식을 깬 산문시 형태를 취했으며, 향토적 정서가 묻어나는 언어와 서민적인 시어 활용으로 민중정신을 반영했다. 독립을 향한 열망, 자연 등을 ‘님’으로 표현했고, 해석의 여지가 다양한 화법으로 검열을 피하기도 했다.

한용운의 다른 상품

평생 간직하고픈 필사 시 (큰글자책)

평생 간직하고픈 필사 시 (큰글자책)

23,000

'평생 간직하고픈 필사 시 (큰글자책) ' 상세페이지 이동

님의 침묵

님의 침묵

31,500 (10%)

'님의 침묵' 상세페이지 이동

모든 슬픔이 사라진다

모든 슬픔이 사라진다

15,030 (10%)

'모든 슬픔이 사라진다' 상세페이지 이동

중고등생 필독서 한국 소설 수필 시 국어교과서 수록 작품 읽기 4

중고등생 필독서 한국 소설 수필 시 국어교과서 수록 작품 읽기 4

19,000

'중고등생 필독서 한국 소설 수필 시 국어교과서 수록 작품 읽기 4' 상세페이지 이동

매일, 시 한 잔

매일, 시 한 잔

15,120 (10%)

'매일, 시 한 잔' 상세페이지 이동

십현담 주해

십현담 주해

10,800 (10%)

'십현담 주해' 상세페이지 이동

초판본 님의 침묵 : 한용운 시집

초판본 님의 침묵 : 한용운 시집

17,820 (10%)

'초판본 님의 침묵 : 한용운 시집 ' 상세페이지 이동

마흔에 읽는 한용운 채근담

마흔에 읽는 한용운 채근담

16,200 (10%)

'마흔에 읽는 한용운 채근담' 상세페이지 이동

저 : 김소월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김소월
관심작가 알림신청
金素月, 김정식
1902년 9월 7일 평안북도 구성군에 있는 외가에서 부친 김성도와 모친 장경숙의 장자로 출생한다. 본명은 김정식이다. 태어난 지 백일 후부터 평안북도 정주군 곽산면의 본가에서 자란다. 1904년 부친 김성도가 당시 경의선 철도 부설공사를 하던 일본 목도꾼에게 폭행을 당한 이후 정신 이상 증세에 시달린다. 김소월은 광산을 경영하는 할아버지의 손에서 컸는데, 이 무렵 시인의 길로 가도록 영향을 준 숙모 계희영을 만났다. 1915년 평안북도 곽산의 4년제 남산보통학교를 졸업하고 평안북도 정주에 있는 오산고등보통학교에 입학해 김억과 사제관계를 맺게 되고 한시, 민요시, 서구시 등을 본격적으로 접하게 된다. 후에 경성 배재고등보통학교에 편입하여 1923년 졸업했다. 이후 일본 도쿄 상과대학교에 입학 후 귀국했을 시점에 시인 나도향과 만나 친구가 되었다. 일제강점기 시절 이별과 그리움을 주제로 우리 민족의 한과 슬픔을 노래하는 시를 썼다. 김소월은 자신의 문학적 스승인 김억의 격려를 받아 그의 지도 아래 시를 쓰기 시작하였으며 1920년 「낭인(浪人)의 봄」, 「야(夜)의 우적(雨滴)」 등 5편을 소월(素月)이라는 필명으로 동인지 『창조』 5호에 처음으로 시 「그리워」를 발표하며 등단하였다. 오산학교를 다니는 동안 김소월은 왕성한 작품 활동을 했으며, 1921년 [동아일보]에 「봄밤」, 「풀 따기」 등을 발표했다. 1922년 「금잔디」, 「엄마야 누나야」를 개벽지에 발표하였으며, 1925년에 시론 「시혼(詩魂)」을 발표하고, 같은 해 7월호에 떠나는 님을 진달래로 축복하는 한국 서정시의 기념비적 작품인 『진달래꽃』을 발표하여 크게 각광받았다. 이는 시인이 생전에 낸 유일한 시집으로 기록된다. 그 밖에 1923년 『깊고 깊은 언약』 『접동새』 1924년 『밭고랑 위에서』 『생과 사』 1926년 『봄』 『저녁』 『첫눈』 1934년 『제이, 엠, 에스』 『고향』 등을 발표했다.

1923년 도쿄상업대학교에 입학하였으나, 같은 해 9월 관동대지진이 발생하자 중퇴하고 귀국했다. 김소월은 고향으로 돌아간 후 조부가 경영하는 광산일을 돕다가 처가가 있는 구성군으로 거처를 옮겼다. 이어 1926년평안북도 구성군 남시에서 [동아일보 지국]을 개설하고서 이도 실패하자 극도의 빈곤에 시달리기도 했다. 예민한 성격이었던 김소월은 이에 큰 충격을 받았으며, 이후 류머티즘을 앓으며 친척들에게도 대접을 받지 못하는 등 고생하다가 1934년 12월 24일 만 32세의 나이로 평안북도 곽산에서 아편을 마시고 스스로 목숨을 끊었다. 1939년 스승 김억이 엮은 『소월시초(素月詩抄)』가 발간된다. 1977년 [문학사상] 11월호에 미발표 소월 자필 유고시 40여 편이 발굴, 게재된다.

김소월의 다른 상품

평생 간직하고픈 필사 시 (큰글자책)

평생 간직하고픈 필사 시 (큰글자책)

23,000

'평생 간직하고픈 필사 시 (큰글자책) ' 상세페이지 이동

김소월 시집 컬러 일러스트

김소월 시집 컬러 일러스트

11,700 (10%)

'김소월 시집 컬러 일러스트 ' 상세페이지 이동

김소월 시집, 예전엔 미처 몰랐어요

김소월 시집, 예전엔 미처 몰랐어요

12,600 (10%)

'김소월 시집, 예전엔 미처 몰랐어요' 상세페이지 이동

모든 슬픔이 사라진다

모든 슬픔이 사라진다

15,030 (10%)

'모든 슬픔이 사라진다' 상세페이지 이동

중고등생 필독서 한국 소설 수필 시 국어교과서 수록 작품 읽기 1

중고등생 필독서 한국 소설 수필 시 국어교과서 수록 작품 읽기 1

15,700

'중고등생 필독서 한국 소설 수필 시 국어교과서 수록 작품 읽기 1' 상세페이지 이동

매일, 시 한 잔

매일, 시 한 잔

15,120 (10%)

'매일, 시 한 잔' 상세페이지 이동

필사의 힘 : 김소월처럼, 진달래 꽃 따라쓰기

필사의 힘 : 김소월처럼, 진달래 꽃 따라쓰기

15,120 (10%)

'필사의 힘 : 김소월처럼, 진달래 꽃 따라쓰기' 상세페이지 이동

저 : 김영랑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김영랑
관심작가 알림신청
영랑令郞, 윤식
시인, 본명은 김윤식이며 아호는 영랑(令郞)이다. 1903년 전라남도 강진에서 태어났다. 강진보통학교를 졸업하고 휘문보통고등학교를 거쳐 1920년 일본으로 건너가 아오야마 학원 영문학과에서 수학했다. 그 후 1930년 3월 창간한 [시문학]을 중심으로 박용철, 정지용, 정인보 박용철, 정지용, 이하윤, 정인보, 변영로, 김현구, 신석정, 허보 등 여러 시인과 더불어 아호인 영랑(令郞)으로 활동했다.

1935년에 첫 번째 시집인 『영랑시집』을 시문학사에서 간행했다. 『영랑시집』에는 총 53편의 시가 실려 있으며, 각각의 시가 처음 발표되었을 때의 제목을 쓰지 않고 일련번호를 붙여 시집에 실었다. 이후 김영랑은 1949년에 중앙문화사에서 『영랑시집』을 출간했다.

김영랑은 조국 해방이 이루어질 때까지 창씨개명과 신사참배 및 삭발령을 거부했으며, 광복 후 신생 정부에 참여해 당시 중앙행정부인 공보처의 출판국장으로 일했다. 1950년 한국전쟁 때 유탄을 맞아 부상을 당해 9월 서울에 위치한 자택에서 47세를 일기로 타계했다. 현재 묘지는 서울 망우리에 있다. 「모란이 피기까지는」, 「돌담에 속삭이는 햇발」, 「사랑은 깊으기 푸른 하늘」 등 한국적 정서가 담긴 서정시를 많이 발표했다. 대표 시집으로 『영랑 시집』, 『영랑 시선』 등이 있다.

김영랑의 다른 상품

평생 간직하고픈 필사 시 (큰글자책)

평생 간직하고픈 필사 시 (큰글자책)

23,000

'평생 간직하고픈 필사 시 (큰글자책) ' 상세페이지 이동

모든 슬픔이 사라진다

모든 슬픔이 사라진다

15,030 (10%)

'모든 슬픔이 사라진다' 상세페이지 이동

중고등생 필독서 한국 소설 수필 시 국어교과서 수록 작품 읽기 2

중고등생 필독서 한국 소설 수필 시 국어교과서 수록 작품 읽기 2

19,400

'중고등생 필독서 한국 소설 수필 시 국어교과서 수록 작품 읽기 2' 상세페이지 이동

매일, 시 한 잔

매일, 시 한 잔

15,120 (10%)

'매일, 시 한 잔' 상세페이지 이동

시를 잊은 나에게

시를 잊은 나에게

15,120 (10%)

'시를 잊은 나에게' 상세페이지 이동

한국 시집 초간본 100주년 기념판 : 하늘 세트 (큰글자도서)

한국 시집 초간본 100주년 기념판 : 하늘 세트 (큰글자도서)

200,000

'한국 시집 초간본 100주년 기념판 : 하늘 세트 (큰글자도서)' 상세페이지 이동

영랑 시집

영랑 시집

3,420 (10%)

'영랑 시집' 상세페이지 이동

진달래꽃 저문 자리 모란이 시작되면

진달래꽃 저문 자리 모란이 시작되면

12,600 (10%)

'진달래꽃 저문 자리 모란이 시작되면' 상세페이지 이동

저 : 노천명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노천명
관심작가 알림신청
한국의 시인. 황해도 장연 출생이다. 진명학교(進明學校)를 거쳐, 이화여전(梨花女專) 영문학과를 졸업하였다. 그녀는 이화여전 재학때인 1932년에 시 「밤의 찬미」, 「포구의 밤」 등을 발표하였다. 그후 「눈 오는 밤」, 「망향」 등 주로 애틋한 향수를 노래한 시들을 발표했다. 널리 애송된 그의 대표작 「사슴」으로 인해 '사슴의 시인'으로 불리기도 했다.

독신으로 살았던 그의 시에는 주로 개인적인 고독과 슬픔의 정서가 부드럽게 표현되고 있으며, 전통 문화와 농촌의 정서가 어우러진 소박한 서정성, 현실에 초연한 비정치성이 특징이다. 그러나 태평양 전쟁 중에 쓴 작품 중에는 「군신송」 등 전쟁을 찬양하고 전사자들을 칭송하는 선동적이고 정치적인 시들이 다수 포함되어 있다. 1957년 12월 10일 유명을 달리 하였다.

노천명의 다른 상품

중고등생 필독서 한국 소설 수필 시 국어교과서 수록 작품 읽기 1

중고등생 필독서 한국 소설 수필 시 국어교과서 수록 작품 읽기 1

15,700

'중고등생 필독서 한국 소설 수필 시 국어교과서 수록 작품 읽기 1' 상세페이지 이동

매일, 시 한 잔

매일, 시 한 잔

15,120 (10%)

'매일, 시 한 잔' 상세페이지 이동

시를 잊은 나에게

시를 잊은 나에게

15,120 (10%)

'시를 잊은 나에게' 상세페이지 이동

열두 개의 달 시화집 여름

열두 개의 달 시화집 여름

16,920 (10%)

'열두 개의 달 시화집 여름' 상세페이지 이동

모던걸 - 캐피털 웨이

모던걸 - 캐피털 웨이

10,800 (10%)

'모던걸 - 캐피털 웨이' 상세페이지 이동

모던걸 - 내 머릿속에 푸른 사슴

모던걸 - 내 머릿속에 푸른 사슴

10,800 (10%)

'모던걸 - 내 머릿속에 푸른 사슴' 상세페이지 이동

첫눈 내릴 무렵

첫눈 내릴 무렵

10,800

'첫눈 내릴 무렵' 상세페이지 이동

벚꽃 필(Feel) 무렵 - 봄의 찬미 시집

벚꽃 필(Feel) 무렵 - 봄의 찬미 시집

12,300

'벚꽃 필(Feel) 무렵 - 봄의 찬미 시집' 상세페이지 이동

저 : 이육사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이육사
관심작가 알림신청
李陸史, 이원록, 이활
본명은 ‘원록’으로 1904년 경북 안동에서 출생하여 조부에게서 한학을 배웠다. 1925년 독립운동단체인 의열단에 가입한 뒤 1926년 베이징으로 가서 베이징사관학교를 졸업하였다. 1927년 귀국했으나 독립운동으로 대구형무소에서 3년간 옥고를 치렀다. 그 때의 수인번호 64를 따서 호를 ‘육사’라고 지었다. 1930년에 첫 시 「말」을 조선일보에 발표하며 시단에 데뷔하였으며, 1937년 김광균 등과 함께 동인지 「자오선」을 발간, 그 무렵 유명한 「청포도」, 「교목」, 「절정」, 「광야」 등을 발표했다. 1943년 6월 동대문경찰서 형사에게 체포되어 베이징으로 압송, 이듬해 베이징 감옥에서 옥사하였다.

이육사의 다른 상품

모든 슬픔이 사라진다

모든 슬픔이 사라진다

15,030 (10%)

'모든 슬픔이 사라진다' 상세페이지 이동

중고등생 필독서 한국 소설 수필 시 국어교과서 수록 작품 읽기 4

중고등생 필독서 한국 소설 수필 시 국어교과서 수록 작품 읽기 4

19,000

'중고등생 필독서 한국 소설 수필 시 국어교과서 수록 작품 읽기 4' 상세페이지 이동

중고등생 필독서 한국 소설 수필 시 국어교과서 수록 작품 읽기 2

중고등생 필독서 한국 소설 수필 시 국어교과서 수록 작품 읽기 2

19,400

'중고등생 필독서 한국 소설 수필 시 국어교과서 수록 작품 읽기 2' 상세페이지 이동

시를 잊은 나에게

시를 잊은 나에게

15,120 (10%)

'시를 잊은 나에게' 상세페이지 이동

한국 시집 초간본 100주년 기념판 : 바람 세트 (큰글자도서)

한국 시집 초간본 100주년 기념판 : 바람 세트 (큰글자도서)

200,000

'한국 시집 초간본 100주년 기념판 : 바람 세트 (큰글자도서)' 상세페이지 이동

육사 시집

육사 시집

3,420 (10%)

'육사 시집' 상세페이지 이동

불멸의 문장들

불멸의 문장들

18,000 (10%)

'불멸의 문장들' 상세페이지 이동

예쁜 손글씨에 아름다운 시를 더하다

예쁜 손글씨에 아름다운 시를 더하다

7,650 (10%)

'예쁜 손글씨에 아름다운 시를 더하다' 상세페이지 이동

저 : 한하운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한하운
관심작가 알림신청
韓何雲, 본명: 한태영(韓泰永)
한하운(韓何雲)은 1919년 함경남도에서 태어났다. 본명은 태영(泰永)이다. 그는 일제 강점기에 조선인으로서는 입학하기 힘든 함경남도의 이림농림학교의 축산학과에 합격했다. 이때 일본어로 된 ≪시론(詩論)≫과 ≪시학(詩學)≫, ≪시작강좌(詩作講座)≫를 읽으면서 시를 습작했다. 그러면서 바이런, 하이네, 릴케, 타고르, 워즈워스, 베를렌 등의 시를 읽으면서 시 공부를 했다. 축산학과를 다니면서 문학을 공부하고 시를 습작하던 한하운은 1936년 경성제국대학 부속 병원에서 나병 확진을 받는다. 이후 그는 이리농림학교를 졸업하고 일본 동경 유학 도중 나병이 악화되어 귀국하고, 금강산에서 요양을 한다. 그는 나병을 앓으면서 애인과의 실연, 삶에 대한 환멸 때문에 만주를 거쳐 북경으로 간다. 그는 북경대학교 농학원 축목학계(畜牧學系)에 입학해 졸업을 한 후 함경남도청 축산과에 근무하다가 고향인 함흥으로 돌아간다. 이때부터 본명인 ‘태영’을 버리고, ‘하운’을 본격적으로 자신의 이름으로 삼은 채 문학에 정진한다. 일제 말 노골화한 군국주의 현실에서 심해진 나병이 목숨을 위협했으나 문학은 그를 구원해 준 마지막 힘이었다.
1945년 해방을 맞이한 뒤 북쪽에서는 소련 군정이 실시되었고, 그는 아우와 함께 헌책방을 운영하면서 시와 소설 습작에 몰두했다. 소련 군정으로 인한 경제 혼란과 이념의 억압 속에서 함경도 학생들 중심으로 1946년 3월 13일 함흥학생사건이 일어났다. 그는 사건 혐의자로 감옥에 갇혔다. 병보석으로 풀려난 후 월남했고, 다시 북으로 넘어갈 때 체포 ? 투옥되었지만 이감 수송 중 원산에서 탈출해 월남했다. 그는 ‘나시인(癩詩人) 한하운 시초(詩抄)’라 하여, <전라도 길>, <별>, <목숨> 등 시 13편을 ≪신천지(新天地)≫ 1949년 4월호에 발표한다. 그리고 같은 해 5월에 정음사에서 첫 시집 <한하운시초>를 간행했다.
1950년 강원도와 황해도를 배회하다가 경기도 부평에 나환자 수용촌 성계원을 건설하고 자치회장에 선출되었다. 이후 나환자를 위한 사회적 봉사와 나병 퇴치 노력, 즉 나해방(癩解放)을 위한 노력을 지속했다. 1954년 대한한센총연맹을 결성해 위원장으로 활동한 것 역시 그 일환이다. 이후 그의 두 번째 시집 ≪보리피리≫가 1955년에 인간사에서 간행된다. 그리고 그동안 연재되던 <나의 슬픈 반생기>가 1958년에 ≪고고한 생명-나의 슬픈 반생기≫란 제목으로 인간사에서 출간되었다.
그는 나병이 음성으로 판명되면서 본격적인 사회생활을 하는데, 1960년에 한미제약회사를 창립하는가 하면, 같은 해 7월에 서울 명동에 무하문화사(無何文化史)란 출판사를 설립했고, 자작시 해설집 ≪황토길≫을 간행했다. 1964년 7월에는 나병 해방을 위한 원대한 취지에서 월간 ≪새 빛≫을 창간했고, ≪정본 한하운 시집≫을 무하문화사에서 간행했다. 1960년대는 한하운이 가장 왕성한 사회활동을 보인 시기였다 해도 과언이 아니다. 그는 1971년 한국카톨릭사회복지협의회를 결성해 회장에 취임한다. 1973년에 한하운 시비가 소록도에 세워졌고, 1975년 2월 28일 간경화증으로 인천 자택에서 죽음을 맞이했다.

한하운의 다른 상품

초판본 한하운 시선

초판본 한하운 시선

16,000

'초판본 한하운 시선' 상세페이지 이동

보리피리

보리피리

4,410 (10%)

'보리피리' 상세페이지 이동

한하운 전집

한하운 전집

31,500 (10%)

'한하운 전집' 상세페이지 이동

저 : 박인환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박인환
관심작가 알림신청
Park In-hwan,朴寅煥,
1926년 강원도 인제군 인제면 상동리에서 출생했다. 인제공립보통학교 입학, 서울 덕수공립보통학교 4학년에 편입, 경기공립중학교에 입학, 경기공립중학교 자퇴하고 한성중학교에 다니다 명신중학교 4학년에 편입, 평양 의학 전문학교를 다니다가 8·15 광복을 맞으면서 학업을 중단, 종로 2가 낙원동 입구에 서점 ‘마리서사(茉莉書舍)’를 개업했다.
조선청년문학가협회 시부가 주최한 ‘예술의 밤’에 참여하여 시 「단층」(斷層)을 낭독하고, 이를 예술의 밤 낭독시집인 『순수시선』(1946)에 발표함으로써 등단했다. 1948년 김경린, 김경희, 김병욱, 임호권과 『신시론』 발간했다. 1949년 김경린, 김수영, 임호권, 양병식과 『새로운 도시와 시민들의 합창』 발간했으며, 동인그룹 김경린, 김규동, 김차영, 이봉래, 조향 등과 ‘후반기’를 발족하여 활동하였다. 「거리」「남품」「지하실」 등을 발표하는 한편 「아메리카 영화시론」을 비롯한 많은 영화평을 썼고, 1949년엔 김경린, 김수영 등과 함께 5인 합동시집 『새로운 도시와 시민들의 합창』을 발간하여 본격적인 모더니즘의 기수로 주목받기 시작했다. 1950년 [경향신문] 입사 후 6·25 동란이 일어나자, 9·28 수복 때까지 지하생활을 하다가 가족과 함께 대구로 피난, 부산에서 종군기자로 활동했다. 1952년 존 스타인벡의 기행문 『소련의 내막』 번역해서 간행하였으며, 6월 16일「주간국제」의 ‘후반기 동인 문예’ 특집에 평론 발표했다. 1954년 유두연, 이봉래, 허백년, 김규동과 ‘한국영화평론가협회’ 발족하였다. 1955년 시작품 『목마와 숙녀』(시작), 『박인환 시선집』, 『선시집』을 간행하였고 그 다음 해인 1956년에 시작품 「세월이 가면」 이진섭 작곡으로 널리 불리다 3월 20일 오후 9시 심장마비로 31세 젊은 나이에 자택에서 타계해 3월 22일 망우리 공동묘지에 안장되었다. 1959년 3주기를 맞아 윌러 캐더의 장편소설 『이별』 번역해서 간행되었으며, 그가 사망한지 20년 후인 1976년에 시집 『목마와 숙녀』가 간행되었다.
혼란한 정국과 전쟁 등의 당대 상황에서 적지 않은 총 173편의 작품을 남기고 타계한 박인환 시인은, 암울한 시대의 절망과 실존적 허무를 피에로의 몸짓으로 대변한 당대의 정신적 제왕이자 모더니즘, 리얼리즘, 실존주의의 시세계를 구축하며 전후 문단의 지평을 넓힌 기린아였다. 전쟁의 충격에 함몰되지 않고 시인다운 세계 인식을 가지려 노력하며 자신이 살아가는 황폐한 시대를 새로운 시 형식으로 반영한 그의 작품들은 우리에게 미학과 역사성이 결합하는 접점을 확인시켜 준다.

박인환의 다른 상품

평생 간직하고픈 필사 시 (큰글자책)

평생 간직하고픈 필사 시 (큰글자책)

23,000

'평생 간직하고픈 필사 시 (큰글자책) ' 상세페이지 이동

모든 슬픔이 사라진다

모든 슬픔이 사라진다

15,030 (10%)

'모든 슬픔이 사라진다' 상세페이지 이동

중고등생 필독서 한국 소설 수필 시 국어교과서 수록 작품 읽기 2

중고등생 필독서 한국 소설 수필 시 국어교과서 수록 작품 읽기 2

19,400

'중고등생 필독서 한국 소설 수필 시 국어교과서 수록 작품 읽기 2' 상세페이지 이동

시를 잊은 나에게

시를 잊은 나에게

15,120 (10%)

'시를 잊은 나에게' 상세페이지 이동

불멸의 문장들

불멸의 문장들

18,000 (10%)

'불멸의 문장들' 상세페이지 이동

평생 간직하고픈 필사 시

평생 간직하고픈 필사 시

11,700 (10%)

'평생 간직하고픈 필사 시' 상세페이지 이동

THE COLLECTED POEMS

THE COLLECTED POEMS

23,750 (5%)

'THE COLLECTED POEMS' 상세페이지 이동

박인환 선시집

박인환 선시집

14,250 (5%)

'박인환 선시집' 상세페이지 이동

저 : 오상순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오상순
관심작가 알림신청
吳相淳, 호: 공초
1894년 서울에서 출생하여 1963년 작고했다. 호는 공초(空超)이다. 일본 도시샤[同志社]대학 종교철학과를 졸업했으며, 1920년 잡지 『폐허』에 논설 「시대고(時代苦)와 그 희생」을 발표하면서 문필활동을 시작했다. 대표작으로 「아시아의 마지막 밤 풍경」(1922), 「허무혼의 선언」(1923), 「방랑의 마음」(1935.8)이 가장 널리 손꼽힌다. 1920년대에 집중적으로 발표된 그의 초기작들은 세상의 만물을 변화시켜 가는 자연의 힘에 대한 경이와 호기심을 드러낸 경우가 많고, 공백기를 거친 이후의 1950년대 작품들은 사소한 존재의 생애로부터 보편적이고 우주적인 의미를 도출하거나, 인간과 사물 간에 자타의 구분이 무화되는 경지를 표현하고자 한 경우가 많다. 1954년 예술원 종신회원으로 추대되었고, 1962년 서울시문화상 문학부문 본상을 수상했다.

오상순의 다른 상품

공초 오상순 전집

공초 오상순 전집

55,100 (5%)

'공초 오상순 전집' 상세페이지 이동

저 : 이상화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이상화
관심작가 알림신청
상화尙火, 무량無量, 상화想華, 백아白啞
현실을 외면하지 않으면서도 역사를 바로 꿰뚫어보는 가운데 치열한 시대 정신과 따뜻한 휴머니즘 정신을 아름다운 예술 혼으로 승화시킨 민족 시인이자 저항 시인.

1901년 4월 5일(음력) 대구시 중구 서문로 2가 11번지에서 출생하였다. 1915년 한문 수학 후 상경하여 중앙학교에 입학, 1918년 3월 25일에 수료하고, 그 해 7월 서문로 집을 나서 강원도 일대를 방랑하다 1919년 대구에서 3·1운동 거사 모임에 참석했으나 사전에 발각되어 서울 냉동 박태원의 하숙으로 피신하였다. 1922년 현진건의 소개로 월탄 박종화와 만나 [백조(白潮)] 동인으로 문단에 참여하기 시작, 창간호에 시「말세의 희탄」, 「단조」, 「가을의 풍경」 등을 발표하였다. 이후 도일하여 아테네 프랑세에 입학, 1923년 3월 아테네 프랑세를 수료하였으나, 9월에 일어난 관동대지진에서 본 일본인의 조선인 학살에 분노하여 귀국했다. 가회동 이른바 취운정(翠雲亭)에 머물면서 시 「나의 침실로」를 [백조] 3호에 발표, 1925년엔 〈카프(조선프롤레타리아예술가동맹)〉 발기인으로 참여했다.

다음해인 1926년, [개벽] 70호에 그의 대표작인 「빼앗긴 들에도 봄은 오는가」를 발표했지만 이 시의 게재로 [개벽]지는 판매 금치 처분을 당했다. 작품활동 초기에는 탐미적 경향의 시를 썼으나 이 시기를 고비로 식민치하의 민족 현실을 바탕으로 한 저항 정신과 향토적 세계를 노래하였다. 이후 심한 고초를 겪으면서도 창작의 끈을 놓지 않다가, 1943년 4월 25일 오전 8시 45분, 계산동 2가 84번지 고택에서 부인과 세 아이들이 지켜보는 가운데 숙환으로 운명하였다. 그리고 그가 세상을 떠난지 5년째 되는 1948년에, 해방 후 최초의 시비가 달성공원에 건립되었다.

이상화의 다른 상품

중고등생 필독서 한국 소설 수필 시 국어교과서 수록 작품 읽기 3

중고등생 필독서 한국 소설 수필 시 국어교과서 수록 작품 읽기 3

20,000

'중고등생 필독서 한국 소설 수필 시 국어교과서 수록 작품 읽기 3' 상세페이지 이동

매일, 시 한 잔

매일, 시 한 잔

15,120 (10%)

'매일, 시 한 잔' 상세페이지 이동

시를 잊은 나에게

시를 잊은 나에게

15,120 (10%)

'시를 잊은 나에게' 상세페이지 이동

예쁜 손글씨에 아름다운 시를 더하다

예쁜 손글씨에 아름다운 시를 더하다

7,650 (10%)

'예쁜 손글씨에 아름다운 시를 더하다' 상세페이지 이동

이상화 작품집

이상화 작품집

13,500 (10%)

'이상화 작품집' 상세페이지 이동

이상화·이육사

이상화·이육사

11,520 (10%)

'이상화·이육사' 상세페이지 이동

열두 개의 달 시화집 여름

열두 개의 달 시화집 여름

16,920 (10%)

'열두 개의 달 시화집 여름' 상세페이지 이동

첫눈 내릴 무렵

첫눈 내릴 무렵

10,800

'첫눈 내릴 무렵' 상세페이지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