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 소개(2명)

이전

저 : 이어령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이어령
관심작가 알림신청
李御寧, 호:凌宵
1933년 충남 아산에서 출생. 서울대학교 문리과대학 및 동 대학원을 졸업하고 단국대학교 대학원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서울대 재학 시절 [문리대학보]의 창간을 주도 ‘이상론’으로 문단의 주목을 끌었으며, [한국일보]에 당시 문단의 거장들을 비판하는 「우상의 파괴」를 발표, 새로운 ‘개성의 탄생’을 알렸다. 20대부터 [서울신문], [한국일보], [중앙일보], [조선일보], [경향신문] 등의 논설위원을 두루 맡으면서 우리 시대의 가장 탁월한 논객으로 활약했다. [새벽] 주간으로 최인훈의 『광장』 전작을 게재했고, 월간 [문학사상]의 주간을 맡아 ‘문학의 상상력’과 ‘문화의 신바람’을 역설했다. 1966년 이화여자대학교 강단에 선 후 30여 년간 교수로 재직하여 수많은 제자들을 양성했다. 1988년 서울 올림픽 개폐회식 총괄 기획자로 ‘벽을 넘어서’라는 슬로건과 ‘굴렁쇠 소년’ ‘천지인’ 등의 행사로 전 세계에 한국인의 문화적 역량을 각인시켰다. 1990년 초대 문화부장관으로 취임하여 한국예술종합학교 설립과 국립국어원 발족의 굳건한 터를 닦았다. 2021년 금관문화 훈장을 받았다. 에세이 『흙 속에 저 바람 속에』 『하나의 나뭇잎이 흔들릴 때』 『지성의 오솔길』 『젊음의 탄생』 『한국인 이야기』, 문학평론 『저항의 문학』 『전후문학의 새물결』 『통금시대의 문학』, 문명론 『축소지향의 일본인』 『디지로그』 『가위바위보 문명론』 『생명이 자본이다』 등 160권이 넘는 방대한 저작물을 남겼다. 마르지 않는 지적 호기심과 창조적 상상력, 쉼 없는 말과 글의 노동으로 분열과 이분법의 낡은 벽을 넘어 통합의 문화와 소통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끝없이 열어 보인 ‘시대의 지성’ 이어령은 2022년 2월 향년 89세를 일기로 영면에 들었다.

이어령의 다른 상품

바이칼호에 비친 내 얼굴 (큰글자책)

바이칼호에 비친 내 얼굴 (큰글자책)

32,000

'바이칼호에 비친 내 얼굴 (큰글자책)' 상세페이지 이동

바이칼호에 비친 내 얼굴

바이칼호에 비친 내 얼굴

15,120 (10%)

'바이칼호에 비친 내 얼굴' 상세페이지 이동

이어령의 강의

이어령의 강의

16,200 (10%)

'이어령의 강의' 상세페이지 이동

땅속의 용이 울 때 (큰글자책)

땅속의 용이 울 때 (큰글자책)

34,000

'땅속의 용이 울 때 (큰글자책)' 상세페이지 이동

땅속의 용이 울 때

땅속의 용이 울 때

15,120 (10%)

'땅속의 용이 울 때' 상세페이지 이동

눈물 한 방울 (원본 노트 특별판)

눈물 한 방울 (원본 노트 특별판)

21,420 (10%)

'눈물 한 방울 (원본 노트 특별판)' 상세페이지 이동

당신, 크리스천 맞아?

당신, 크리스천 맞아?

15,300 (10%)

'당신, 크리스천 맞아? ' 상세페이지 이동

별의 지도 (큰글자책)

별의 지도 (큰글자책)

33,000

'별의 지도 (큰글자책)' 상세페이지 이동

저 : 강창래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강창래
관심작가 알림신청
20년 넘는 출판 편집기획자 생활을 거쳐 지금은 다방면의 글을 쓰며 강연 활동을 하고 있다. 영화 제작 중인 요리 에세이 《오늘은 좀 매울지도 몰라》, 한국출판평론상 대상을 수상한 《책의 정신》, 인문 분야 스테디셀러 《인문학으로 광고하다》 등을 썼다. 그의 책은 어려운 주제라 해도 쉽고 재미있게 잘 읽히는 것으로 정평이 나 있다. 출판 편집자 시절에는 고스트 라이터, 윤문 전문가로 활약하기도 했다. 이러한 경험을 바탕으로 건국대학교와 중앙대학교 예술대학에서 강의했고, 느티나무도서관재단에서 글쓰기를 가르쳤다. 글쓰기에 대한 이상한 소문과 오해의 희생자들, 유효 기간이 지난 글쓰기 원칙에 구속된 사람들을 위해 이 책을 썼다.

강창래의 다른 상품

문학의 죽음에 대한 소문과 진실

문학의 죽음에 대한 소문과 진실

19,800 (10%)

'문학의 죽음에 대한 소문과 진실' 상세페이지 이동

책의 정신

책의 정신

19,800 (10%)

'책의 정신' 상세페이지 이동

종이약국

종이약국

13,500 (10%)

'종이약국' 상세페이지 이동

위반하는 글쓰기

위반하는 글쓰기

13,500 (10%)

'위반하는 글쓰기' 상세페이지 이동

편두통

편두통

19,800 (10%)

'편두통' 상세페이지 이동

오늘은 좀 매울지도 몰라

오늘은 좀 매울지도 몰라

12,420 (10%)

'오늘은 좀 매울지도 몰라' 상세페이지 이동

빗물과 당신

빗물과 당신

13,500 (10%)

'빗물과 당신' 상세페이지 이동

인문학으로 광고하다

인문학으로 광고하다

15,750 (10%)

'인문학으로 광고하다' 상세페이지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