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 소개(3명)

이전

공저 : 장석주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공저 : 장석주
관심작가 알림신청
張錫周
날마다 읽고 쓰는 사람. 시인, 에세이스트, 인문학 저술가. 그밖에 출판 편집자, 대학 강사, 방송 진행자, 강연 활동으로 밥벌이를 했다. 현재 아내와 반려묘 두 마리와 함께 파주에서 살고 있다. 1955년 1월 8일(음력), 충남 논산에서 출생하였다. 나이 스무 살이던 1975년 [월간문학] 신인상에 시가 당선하고, 스물 넷이 되던 1979년 조선일보와 동아일보 신춘문예에 각각 시와 문학평론이 입상하면서 등단 절차를 마친다. ‘고려원’ 편집장을 거쳐 ‘청하’출판사를 직접 경영하는 동안 15년간을 출판 편집발행인으로 일한다.

동덕여대, 경희사이버대학교, 명지전문대에서 강의를 하고, 국악방송에서 3년여 동안 [문화사랑방], [행복한 문학] 등의 진행자로도 활동한다. 2000년 여름에 서른여섯 해 동안의 서울생활을 접고 경기도 안성의 한적한 시골에 집을 짓고 전업작가의 삶을 꾸리고 있다. 한 잡지는 그를 이렇게 소개했다. “소장한 책만 2만 3,000여 권에 달하는 독서광 장석주는 대한민국 독서광들의 우상이다. 하지만 많이 읽고 많이 쓴다고 해서 안으로만 침잠하는 그런 류의 사람은 아니다.

스무 살에 시인으로 등단한 후 15년을 출판기획자로 살았지만 더는 머리로 이해할 수 없는 세상이 되자 업을 접고 문학비평가와 북 칼럼니스트로 활동해왔다. 급변하는 세상과 거리를 둠으로써 보다 잘 소통하고 교감하고 싶었기 때문이다. 안성에 있는 호숫가 옆 ‘수졸재’에 2만 권의 책을 모셔두고 닷새는 서울에 기거하며 방송 진행과 원고 집필에 몰두하고, 주말이면 안식을 취하는 그는 다양성의 시대에 만개하기 시작한 ‘마이너리티’들의 롤모델이다.”

저서로는 『몽해항로』 『헤어진 사람의 품에 얼굴을 묻고 울었다』 『일요일과 나쁜 날씨』, 『행복은 누추하고 불행은 찬란하다』, 『불면의 등불이 너를 인도한다』, 『이상과 모던뽀이들』, 『가만히 혼자 웃고 싶은 오후』, 『일요일의 인문학』, 『단순한 것이 아름답다』, 『고독의 권유』, 『철학자의 사물들』, 『글쓰기는 스타일이다』, 『단순한 것이 아름답다』, 『시간의 호젓한 만에서』, 『우리는 서로 조심하라고 말하며 걸었다』(공저) 등이 있다. 애지문학상, 질마재문학상, 영랑시문학상 등을 수상했다.

장석주의 다른 상품

꿈속에서 우는 사람

꿈속에서 우는 사람

10,800 (10%)

'꿈속에서 우는 사람' 상세페이지 이동

어둠 속 촛불이면 좋으련만

어둠 속 촛불이면 좋으련만

17,100 (10%)

'어둠 속 촛불이면 좋으련만' 상세페이지 이동

에밀 시오랑을 읽는 오후 2 (큰글자도서)

에밀 시오랑을 읽는 오후 2 (큰글자도서)

27,000

'에밀 시오랑을 읽는 오후 2 (큰글자도서)' 상세페이지 이동

에밀 시오랑을 읽는 오후 1 (큰글자도서)

에밀 시오랑을 읽는 오후 1 (큰글자도서)

27,000

'에밀 시오랑을 읽는 오후 1 (큰글자도서)' 상세페이지 이동

지금은 시가 필요한 시간

지금은 시가 필요한 시간

15,120 (10%)

'지금은 시가 필요한 시간' 상세페이지 이동

어느 날 니체가 내 삶을 흔들었다 (큰글자책)

어느 날 니체가 내 삶을 흔들었다 (큰글자책)

28,000

'어느 날 니체가 내 삶을 흔들었다 (큰글자책)' 상세페이지 이동

에밀 시오랑을 읽는 오후

에밀 시오랑을 읽는 오후

21,600 (10%)

'에밀 시오랑을 읽는 오후' 상세페이지 이동

시를 잊은 나에게

시를 잊은 나에게

15,120 (10%)

'시를 잊은 나에게' 상세페이지 이동

등저 : 심보선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등저 : 심보선
관심작가 알림신청
시인, 사회학자. 서울대학교 사회학과와 같은 과 대학원을 졸업하고 미국 컬럼비아대학교에서 사회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1994년 조선일보 신춘문예에 ‘풍경’이 당선되어 문단에 나왔다. 15년 만에 첫 시집 『슬픔이 없는 십오 초』(2008)를 출간, 시를 사랑하는 독자들에게 큰 화제가 되었다. 이후 출간된 시집들 『눈 앞에 없는 사람』(2011), 『오늘은 잘 모르겠어』(2017)도 독자들의 큰 사랑을 받았다. 전공인 예술사회학분야의 연구 또한 활발하게 진행하고 있다. 연세대학교 커뮤니케이션대학원의 문화매개전공 교수로 학생들을 가르치고 있으며, 《인문예술잡지 F》의 편집동인으로 활동했다. 예술비평집 『그을린 예술』(2013), 산문집 『그쪽의 풍경은 환한가』(2019) 등을 썼고, 어빙 고프먼의 『수용소』를 우리말로 옮겼다.

심보선의 다른 상품

세상에 나가면 일곱 번 태어나라

세상에 나가면 일곱 번 태어나라

15,030 (10%)

'세상에 나가면 일곱 번 태어나라' 상세페이지 이동

이 모든 무수한 반동이 좋다

이 모든 무수한 반동이 좋다

16,200 (10%)

'이 모든 무수한 반동이 좋다' 상세페이지 이동

책장을 번지다, 예술을 읽다

책장을 번지다, 예술을 읽다

13,500 (10%)

'책장을 번지다, 예술을 읽다' 상세페이지 이동

an usual 언유주얼 (격월간) : 8월 [2020]

an usual 언유주얼 (격월간) : 8월 [2020]

12,150 (10%)

'an usual 언유주얼 (격월간) : 8월 [2020]' 상세페이지 이동

나 개 있음에 감사하오

나 개 있음에 감사하오

12,420 (10%)

'나 개 있음에 감사하오' 상세페이지 이동

그쪽의 풍경은 환한가

그쪽의 풍경은 환한가

13,050 (10%)

'그쪽의 풍경은 환한가' 상세페이지 이동

한국 작가가 읽은 세계문학

한국 작가가 읽은 세계문학

7,920 (10%)

'한국 작가가 읽은 세계문학' 상세페이지 이동

수용소Asylums

수용소Asylums

24,300 (10%)

'수용소Asylums' 상세페이지 이동

등저 : 정여울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등저 : 정여울
관심작가 알림신청
문학과 예술에 대한 열정으로 꾹꾹 눌러 쓴 글들로 50만 독자들의 애정과 찬사를 받아온 에세이스트. 서울대학교 독어독문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 국어국문학과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KBS 제1라디오 〈강유정의 영화관, 정여울의 도서관〉, 네이버 오디오클립 〈월간 정여울〉, 네이버 프리미엄 콘텐츠 〈살롱 드 뮤즈〉를 진행하고 있다.
미술관에 가기 위해 여행을 계획하고, 낯선 도시를 찾아 헤매고, 마음을 어루만지는 그림을 찾아 마침내 글을 쓴다. 예술 작품에 대한 감동에 해석을 더하여 글을 쓰는 일이 힘겨운 삶을 견디게 해준다고 믿는다. 그래서인지 그녀가 펴낸 책들은 저마다 작은 미술관들을 닮았다.
지은 책으로 『문학이 필요한 시간』, 『공부할 권리』, 『가장 좋은 것을 너에게 줄게』, 『월간 정여울』, 『끝까지 쓰는 용기』, 『마지막 왈츠』, 『블루밍』, 『내성적인 여행자』, 『나를 돌보지 않는 나에게』, 『그때 알았더라면 좋았을 것들』, 『빈센트 나의 빈센트』, 『마흔에 관하여』, 『늘 괜찮다 말하는 당신에게』, 『내가 사랑한 유럽 TOP10』 등이 있으며, 『1일 1페이지, 세상에서 가장 짧은 심리 수업 365』, 『상처조차 아름다운 당신에게』는 중국과 베트남 등에 번역 출간되었다. 산문집 『마음의 서재』로 제3회 전숙희문학상을 수상했다.

정여울의 다른 상품

오직 나를 위한 미술관

오직 나를 위한 미술관

17,100 (10%)

'오직 나를 위한 미술관' 상세페이지 이동

여행의 쓸모

여행의 쓸모

16,200 (10%)

'여행의 쓸모' 상세페이지 이동

문학이 필요한 시간 (큰글자도서)

문학이 필요한 시간 (큰글자도서)

39,000

'문학이 필요한 시간 (큰글자도서)' 상세페이지 이동

문학이 필요한 시간

문학이 필요한 시간

14,400 (10%)

'문학이 필요한 시간 ' 상세페이지 이동

나의 어린 왕자

나의 어린 왕자

14,220 (10%)

'나의 어린 왕자' 상세페이지 이동

가장 좋은 것을 너에게 줄게

가장 좋은 것을 너에게 줄게

14,400 (10%)

'가장 좋은 것을 너에게 줄게' 상세페이지 이동

끝까지 쓰는 용기 (큰글자책)

끝까지 쓰는 용기 (큰글자책)

22,000

'끝까지 쓰는 용기 (큰글자책)' 상세페이지 이동

비로소 내 마음의 적정 온도를 찾다

비로소 내 마음의 적정 온도를 찾다

15,120 (10%)

'비로소 내 마음의 적정 온도를 찾다' 상세페이지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