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 소개(2명)

이전

저 : 김소운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김소운
관심작가 알림신청
김소운은 1908년 1월 5일 부산에서 태어났다. 본명은 교중(敎重)이었으나 광복 후에 소운(素雲)으로 개명했다. 진주 재무서 주사였던 아버지 김옥현(金玉顯)은 1909년 의병들에게 친일파로 몰려 피살된다. 어머니는 박덕수(朴德水)는 1912년 재혼해서 러시아로 떠났다. 양친을 잃고 할머니를 비롯한 친척들과 생활하며 진해, 김해, 목포 등으로 계속 거처를 옮겨야 했다. 1916년 불과 아홉 살의 나이에 홀로 평안남도 진남포로 가서 2개월간 체류했다.

1919년 3·1운동 당시 절영도소년단 활동이 문제가 되어 옥성보통학교를 중퇴했다. 이듬해 사촌 형을 따라 일본으로 건너가 1921년 동경 개성중학교에 입학했다. 하지만 1923년 9월 동경대지진 사건으로 학업을 중단하고 오사카 숙부댁에서 약 반년을 지내다 한국에 돌아왔다. 다음 해 상경하여 오상순, 김범부, 조명희, 변영로 등의 문학인들과 교류했다. 이후 한국과 일본, 식민지와 제국을 여러 차례 왕복하는 불안정한 생활이 계속되었다.

김소운은 한국문학을 번역해서 일본에 소개하며 한국인의 문학 정신을 널리 알렸다. 1926년 동경에서 교포 노동자들을 찾아다니며 채집한 구전민요를 일본의 시 잡지 『지상낙원』에 연재했다. 이를 바탕으로 1933년 일본 출판사에서 『언문조선구전민요집』을 발간했다. 3천 수가 넘는 구전민요가 실린 700여 쪽짜리 순 한글책이었다. 또한 3년여의 편집과 번역 끝에 1976년 『현대한국문학선집』을 한국과 일본에서 공동 편찬했다.

호는 삼오당(三誤堂)이며 한국수필사에서 70년대를 대표하는 수필가 중 한사람으로 꼽혔다. 저자는 삼오당의 뜻을 익살스럽게 밝혔다. “첫째로 허다한 나라를 두고 하필이면 이런 나라에서 태어났으니 제1의 과오이고, 인간의 운명이니 감정에 관련된 문필작업 같은 이런 고생길을 택한 것, 이것이 둘째 과오. 30전후에 죽어서 애석하다는 소리나 들어볼 것이지 죽지 않고 살아 이게 무슨 과오일까 보냐?”

1952년 베니스 국제예술가회의에 한국 대표 자격으로 참가할 정도로 국내 문단내 입지가 높았다. 『가난한 날의 행복은』 70년대 고등학교 국어 교과서에 실렸고 『목근통신』은 대학 교재로 사용되었다. 또한 원작보다 좋은 일본어 번역 실력 덕분에 1977년 한국번역문학상을, 1980년 은관문화훈장을 받았다. 향토와 조국의 문화에 대한 애정을 기반으로 인간에 대한 사랑이 담을 글을 쓴 김소운. 근엄하면서도 격정적인 성격으로 세상과 타협하기를 거부했다. 모순과 상처투성이인 인간을 그려내며 성찰의 눈을 거두지 않았다. 1981년 11월 향년 74세에 타계했다.

김소운의 다른 상품

목근통신 木槿通信

목근통신 木槿通信

19,800 (10%)

'목근통신 木槿通信' 상세페이지 이동

행복의 장

행복의 장

9,000 (10%)

'행복의 장' 상세페이지 이동

가난한 날의 행복

가난한 날의 행복

9,000 (10%)

'가난한 날의 행복' 상세페이지 이동

김소운 수필선집 (큰글씨책)

김소운 수필선집 (큰글씨책)

32,000

'김소운 수필선집 (큰글씨책)' 상세페이지 이동

편 : 고봉준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편 : 고봉준
관심작가 알림신청
문학평론가. 후마니타스칼리지 교수로 재직 중이다. 1970년 부산에서 태어나 충렬고등학교를 졸업하고 1989년 부산외국어대학교 국어국문학과에 입학했다. 1995년 같은 학교 대학원 국어국문학과에 입학해 「해방기 전위시의 양식 선택과 세계 인식」으로 석사학위를 받았고, 2005년 경희대학교 대학원 국어국문학과에서 「한국 모더니즘 문학의 미적 근대성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2000년 『서울신문』 신춘문예에 문학평론이 당선되어 등단했으며, 2006년 제12회 고석규비평문학상, 2015년 제16회 젊은평론가상을 수상했다. 지은 책으로는 『반대자의 윤리』, 『다른 목소리들』, 『모더니티의 이면』, 『유령들』, 『비인칭적인 것』, 『고유한 이름들의 세계』 등이 있다.

고봉준의 다른 상품

한국문학사와 동인지문학

한국문학사와 동인지문학

26,600 (5%)

'한국문학사와 동인지문학' 상세페이지 이동

이 모든 무수한 반동이 좋다

이 모든 무수한 반동이 좋다

16,200 (10%)

'이 모든 무수한 반동이 좋다' 상세페이지 이동

김수영에서 김수영으로

김수영에서 김수영으로

23,750 (5%)

'김수영에서 김수영으로' 상세페이지 이동

나는 이렇게 읽었다

나는 이렇게 읽었다

15,000

'나는 이렇게 읽었다' 상세페이지 이동

나는 반려동물과 산다 (큰글자도서)

나는 반려동물과 산다 (큰글자도서)

36,000

'나는 반려동물과 산다 (큰글자도서)' 상세페이지 이동

다시 새로워지는 신동엽

다시 새로워지는 신동엽

20,700 (10%)

'다시 새로워지는 신동엽' 상세페이지 이동

근대시의 이념들

근대시의 이념들

23,750 (5%)

'근대시의 이념들' 상세페이지 이동

나는 반려동물과 산다

나는 반려동물과 산다

15,120 (10%)

'나는 반려동물과 산다' 상세페이지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