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 소개(3명)

이전

저 : 강동완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강동완
관심작가 알림신청
대학교수라는 말보다 통일덕후로 불리길 원하는 분단조국의 한 사람이다. 평양을 몇 번 다녀온 건 벌써 십여 년 전의 일이다. 북한을 연구하는 학자가 현장에 직접 갈 수 없기에 북중 국경에라도 가서 북녘의 모습을 사진으로 담는다. 사진은 셔터를 누르는 이의 고뇌에 따라 진실과 사실 사이를 오가기에, 세상이 반드시 알아야 할 북한 주민들의 실상만을 전하고자 애쓴다. 바로 “당신이 통일입니다”를 외치며 <통일의 눈으로 (지역)을 다시보다>라는 시리즈 작업을 하고 있다. 통일크리에이티브로 살며 ‘통일만 생각하고 통일을 사랑한다(통생통사)’는 의미를 담아 유튜브 ‘강동완 TV’를 운영중이다. 제3국출신 탈북민 자녀를 위한 돌봄학교와 통일문화센터를 건립하는 게 꿈이다. 호흡이 멈출 때까지 통일북한 관련 99권의 책을 집필한다는 목표를 세웠다. 그리고 마지막 100번째 책으로는 자서전을 쓰고 “통일조국을 위해 작은 노둣돌 하나 놓은 사람”이라는 저자사인을 남기고 싶다. 그 날을 위해 세상의 달콤함과 타협하지 않고 통일의 오직 한길만을 걸으리라 늘 다짐한다.

주요저서로,
『서해5도에서 북한쓰레기를 줍다』(2022 세종도서),
『평양 882.6km: 평양공화국 너머 사람들』 (북중국경 시리즈 3),
『그들만의 평양: 인민의 낙원에는 인민이 없다』(북중국경 시리즈 2),
『평양 밖 북조선: 999장의 사진에 담은 북쪽의 북한』(북중국경 시리즈 1),
『동서독 접경 1,393km, 그뤼네스 반트를 종주하다: 30년 독일통일의 순례』,
『러시아에서 분단을 만났습니다: ‘충성의 외화벌이’라 불리는 북한노동자』,
『북한담배: 프로파간다와 브랜드의 변주곡』(메이드 인 북한- 첫 번째 상품),
『김정은의 음악정치: 모란봉악단, 김정은을 말하다(두 번째 이야기)』,
『엄마의 엄마: 중국 현지에서 만난 탈북여성의 삶과 인권』,
『사람과 사람: 김정은 시대 북조선 인민을 만나다』(2016 세종도서),
『통일의 눈으로 부산을 다시보다』, 『통일의 눈으로 제주를 다시보다』,
『통일의 눈으로 서울을 다시보다』, 『통일의 눈으로 백령도를 다시보다』,
『통일의 눈으로 춘천를 다시보다』, 『통일의 눈으로 봉화를 다시보다』,
『통일의 눈으로 교토를 다시보다(해외편)』,
『통일의 눈으로 몽골을 다시보다(해외편)』,
『Seoul through the eyes of liberty and peace』,
『통일수학여행: 해파랑길에서 만나는 통일』,
『통일, 너를 만나면 심쿵』, 『통일과 페친하다』, 『모란봉악단, 김정은을 말하다』,
『한류, 통일의 바람』(2012 문화체육관광부 선정 우수교양도서),
『한류, 북한을 흔들다』 등을 집필했다.

강동완 의 다른 상품

북한인권, 사진으로 외치다

북한인권, 사진으로 외치다

28,800 (10%)

'북한인권, 사진으로 외치다' 상세페이지 이동

통일의 눈으로 몽골을 다시 보다

통일의 눈으로 몽골을 다시 보다

18,900 (10%)

'통일의 눈으로 몽골을 다시 보다' 상세페이지 이동

통일의 눈으로 교토를 다시 보다

통일의 눈으로 교토를 다시 보다

21,600 (10%)

'통일의 눈으로 교토를 다시 보다' 상세페이지 이동

통일의 눈으로 봉화를 다시 보다

통일의 눈으로 봉화를 다시 보다

18,900 (10%)

'통일의 눈으로 봉화를 다시 보다' 상세페이지 이동

서해5도에서 북한쓰레기를 줍다

서해5도에서 북한쓰레기를 줍다

31,500 (10%)

'서해5도에서 북한쓰레기를 줍다' 상세페이지 이동

통일의 눈으로 춘천을 다시보다.

통일의 눈으로 춘천을 다시보다.

18,900 (10%)

'통일의 눈으로 춘천을 다시보다. ' 상세페이지 이동

통일의 눈으로 백령도를 다시보다

통일의 눈으로 백령도를 다시보다

21,600 (10%)

'통일의 눈으로 백령도를 다시보다' 상세페이지 이동

평양 882.6km

평양 882.6km

31,500 (10%)

'평양 882.6km' 상세페이지 이동

저 : 임창호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임창호
관심작가 알림신청
일본 히로시마대학교에서 교육학으로 Ph.D.를 취득하였고, 현재 고신대학교에서 교육철학을 가르치고 있다. 통일은 탈북민과 함께 일구어 가는 것이라는 신념을 갖고, 14년 째 탈북민들과 공동체 생활을 하면서 통일 연습을 하고 있다. 탈북민 자녀교육에 특별한 관심이 있어, 통일부 산하 재단법인 북민실을 설립하여 탈북아동센터와 남북학생들이 함께 공부하고 있는 탈북학교인 장대현학교를 운영하고 있다. 장대현학교는 수도권 이외 지역 유일한 탈북학교로서, 부산시교육청으로부터 중고등과정 위탁교육기관으로 인가를 받은 대안학교이다.

사진 : 전영헌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사진 : 전영헌
관심작가 알림신청
영원한 청년으로 살고 싶은 목사 선생으로 서른아홉의 나이에 전격적으로 인생의 궤도를 수정했다. 교회가 아닌 학교로의 부르심 때문이었다. 교목이 무엇인지도 모른 채 무턱대고 뛰어든 그는“돈 벌어 남 줘라.” “공부해서 남 줘라.” “웃는 자와 같이 웃고 우는 자와 같이 울라.” “오천 명을 먹이는 사람이 되라.”를 외치며 아이들을 끌어안기 위해 몸부림쳤다. 그 결과 아이들이 기피했던 종교 수업을 잠시나마 숨 쉴 수 있는 시간으로 바꾸어 놓았고, 더 이상 학원 선교는 안 된다고 하는 속설을 비웃듯 브니엘 고등학교의 복음화는 활발하게 진행 중이다.

5대째 기독교 가정에서 태어나 한국 초대 교회 신앙을 물려받은 저자는 자신의 이름처럼(길 영永, 바칠 헌獻) 하나님께 길게 바쳐진 인생을 살겠다고 서원한 대로 줄곧 한길만 바라보며 달려왔다. 상담을 통하여 매년 300여 명에 이르는 학생들과 학부모들에게 인생의 길잡이 역할을 하고 있으며, 청소년과 청년 집회 주강사로 분주하게 활동하고 있다. 저자는 고신대학교 학부와 대학원M.A에서 기독교교육을 전공하고, 총신신학대학원M.Div을 졸업한 뒤 고신대학교 대학원 박사과정을 수료했다. 21살의 나... 이에 개척 교회인 경성교회를 시작으로 여러 교회에서 사역했다. 2008년부터 지금까지 브니엘 고등학교 목사 선생 및 이삭교회의 교육 목사로, 춘해대학교 외래교수와 고신대 입학사정관으로, 합동 총회 공과 집필위원으로 활동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