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 소개(5명)

이전

저 : 김우창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김우창
관심작가 알림신청
고려대 명예교수, 대한민국예술원 회원. 1937년 전남 함평에서 태어났다. 서울대 영문과를 졸업하고, 1965년 「청맥」 지에 '엘리어트의 예'로 등단했다. 미국 하버드대에서 미국 문명사에 관한 논문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서울대 영문과 교수, 고려대 영문과 교수, 고려대 대학원장을 역임했으며, 현재 고려대 명예교수로 재직 중이다.

2005 프랑크푸르트도서전 주빈국 조직위원장을 역임했다. 영문학자, 공공지식인, 문명비평가, 문화사가, 문학이론가, 평론가, 철학자로서 인문.사회,자연과학을 아우르는 통합적 이해, 가늠하기 어려운 사상적 넓이와 깊이로 한국 인문학의 거장으로 불린다.

지은 책으로는 『궁핍한 시대의 시인』 『지상의 척도』 『시인의 보석』 『법 없는 길』 『이성적 사회를 향하여』 김우창 전집 5권과 『심미적 이성의 탐구』 『정치와 삶의 세계』 『행동과 사유』 『사유의 공간』 『시대의 흐름에 서서』 『풍경과 마음』 등이 있고, 옮긴 책으로 『미메시스』 등이 있다.

김우창의 다른 상품

모든 이가 스승이고, 모든 곳이 학교다 (큰글자도서)

모든 이가 스승이고, 모든 곳이 학교다 (큰글자도서)

25,000

'모든 이가 스승이고, 모든 곳이 학교다 (큰글자도서)' 상세페이지 이동

지속 가능한 미래

지속 가능한 미래

14,400 (10%)

'지속 가능한 미래' 상세페이지 이동

모든 이가 스승이고, 모든 곳이 학교다

모든 이가 스승이고, 모든 곳이 학교다

13,500 (10%)

'모든 이가 스승이고, 모든 곳이 학교다' 상세페이지 이동

법과 양심

법과 양심

14,400 (10%)

'법과 양심' 상세페이지 이동

한국사회, 어디로?

한국사회, 어디로?

14,400 (10%)

'한국사회, 어디로?' 상세페이지 이동

대담/인터뷰 2

대담/인터뷰 2

37,800 (10%)

'대담/인터뷰 2' 상세페이지 이동

대담/인터뷰 1

대담/인터뷰 1

31,500 (10%)

'대담/인터뷰 1' 상세페이지 이동

시대의 흐름과 성찰 2

시대의 흐름과 성찰 2

31,500 (10%)

'시대의 흐름과 성찰 2' 상세페이지 이동

저 : 박성우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박성우
관심작가 알림신청
서울대학교 외교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석사학위를 받았다. 미국 시카고대학교에서 플라톤 정치철학과 그 현대적 의의에 관한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으며, 중앙대학교를 거쳐 서울대학교 정치외교학부 교수로 재직 중이다.
전공 분야는 고전정치철학과 국제정치사상이며, 아울러 양 분야의 학제적 결합을 모색하는 연구 영역을 개척하고 있다. 저서로 『영혼 돌봄의 정치: 플라톤 정치철학의 기원과 전개』, 편저서로 『동굴 속의 철학자들: 20세기 정치철학자와 플라톤』, 『정치사상사 속 제국』 등이 있다. 대표 논문으로 「플라톤의 <국가>에 나타난 국제정치사상」, 「이라크 전쟁의 레오 스타라우스 책임론에 대한 정치철학적 비판」, 「국익추구의 도덕적 한계와 아리스토텔레스의 좋은 삶의 정치」, 「현실주의 국제정치이론에서 투키디데스 읽기의 한계와 대안의 모색」 등이 있다.

박성우의 다른 상품

평화학이란 무엇인가

평화학이란 무엇인가

32,000

'평화학이란 무엇인가' 상세페이지 이동

코로나19와 신흥안보의 세계정치

코로나19와 신흥안보의 세계정치

27,000

'코로나19와 신흥안보의 세계정치' 상세페이지 이동

동굴 속의 철학자들

동굴 속의 철학자들

23,000

'동굴 속의 철학자들' 상세페이지 이동

양분법을 넘어서

양분법을 넘어서

25,000

'양분법을 넘어서' 상세페이지 이동

현대정치의 위기와 비전

현대정치의 위기와 비전

23,750 (5%)

'현대정치의 위기와 비전' 상세페이지 이동

정치사상사 속 제국

정치사상사 속 제국

28,000

'정치사상사 속 제국' 상세페이지 이동

저 : 주경철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주경철
관심작가 알림신청
朱京哲
바다와 해양 문명을 통한 전지구적 통합의 과정을 밀도 있게 연구해 온 서양사학자이자 역사의 ‘고급 통속화(haute vulgarisation)’를 이끌어온 대표적인 역사 스토리텔러다. 치밀한 연구 성과를 때로는 진지하게, 때로는 유쾌하게 풀어내 독자의 지적 호기심과 역사적 흥미를 만족시켜 온 그가 이번에는 궁금하지만 잘 알기 어려웠던 중세로 우리를 이끈다. 매혹적인 중세 유럽인의 면면을 생동감 있게 그린 이 책은 근대를 누빈 다채로운 유럽인들을 다룬 《주경철의 유럽인 이야기》의 프리퀄이기도 하다.

서울대학교 경제학과와 같은 대학원 서양사학과를 졸업한 후 파리 사회과학고등연구원에서 역사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서울대학교 서양사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며, 서울대학교 역사연구소 소장과 중세르네상스연구소 소장, 도시사학회 회장을 지냈다. 근대사와 해양사에 대한 독보적 저작인 《대항해시대》, 《바다 인류》를 비롯해 《문명과 바다》, 《모험과 교류의 문명사》, 《그해, 역사가 바뀌다》, 《주경철의 유럽인 이야기 1~3》, 《도시 여행자를 위한 파리×역사》, 《문화로 읽는 세계사》, 《문학으로 역사 읽기, 역사로 문학 읽기》, 《히스토리아》, 《히스토리아 노바》, 《크리스토퍼 콜럼버스》, 《마녀》, 《질문하는 역사》, 《일요일의 역사가》 등을 쓰고, 《물질문명과 자본주의 1~3》, 《제국의 몰락》, 《유토피아》, 《지중해: 펠리페 2세 시대의 지중해 세계 1》(공역) 등을 우리말로 옮겼다.

주경철의 다른 상품

중세 유럽인 이야기 (큰글자도서)

중세 유럽인 이야기 (큰글자도서)

48,000

'중세 유럽인 이야기 (큰글자도서)' 상세페이지 이동

문명대변혁의 시대

문명대변혁의 시대

17,100 (5%)

'문명대변혁의 시대' 상세페이지 이동

초저출산은 왜 생겼을까?

초저출산은 왜 생겼을까?

15,120 (10%)

'초저출산은 왜 생겼을까?' 상세페이지 이동

물질문명과 자본주의 세트

물질문명과 자본주의 세트

108,000 (10%)

'물질문명과 자본주의 세트' 상세페이지 이동

물질문명과 자본주의 3 세계의 시간

물질문명과 자본주의 3 세계의 시간

36,000 (10%)

'물질문명과 자본주의 3 세계의 시간' 상세페이지 이동

물질문명과 자본주의 2 교환의 세계

물질문명과 자본주의 2 교환의 세계

36,000 (10%)

'물질문명과 자본주의 2 교환의 세계' 상세페이지 이동

물질문명과 자본주의 1 일상생활의 구조

물질문명과 자본주의 1 일상생활의 구조

36,000 (10%)

'물질문명과 자본주의 1 일상생활의 구조' 상세페이지 이동

일요일의 역사가 주경철의 역사 산책

일요일의 역사가 주경철의 역사 산책

16,920 (10%)

'일요일의 역사가 주경철의 역사 산책' 상세페이지 이동

저 : 이상익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이상익
관심작가 알림신청
李相益
부산교육대학교 윤리교육과 교수이다. 1995년 성균관대학교에서 “한말 절의학파와 개화파의 사상적 특성에 관한 연구”라는 논문으로 철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저서로 『유가 사회철학 연구』(2001), 『유교전통과 자유민주주의』(2004), 『주자학의 길』(2007), 『현대문명과 유교적 성찰』(2018), 『한국성리학사론』(2020) 등이 있다.

이상익의 다른 상품

화서학파의 심설논쟁

화서학파의 심설논쟁

28,500 (5%)

'화서학파의 심설논쟁' 상세페이지 이동

탈서구중심주의와 그 너머 2

탈서구중심주의와 그 너머 2

23,750 (5%)

'탈서구중심주의와 그 너머 2' 상세페이지 이동

퇴계 이황의 철학사상과 사상사적 전개

퇴계 이황의 철학사상과 사상사적 전개

20,000

'퇴계 이황의 철학사상과 사상사적 전개' 상세페이지 이동

노사 기정진의 철학 사상

노사 기정진의 철학 사상

19,000 (5%)

'노사 기정진의 철학 사상' 상세페이지 이동

한국성리학사론 2

한국성리학사론 2

38,000

'한국성리학사론 2' 상세페이지 이동

한국성리학사론 1

한국성리학사론 1

38,000

'한국성리학사론 1' 상세페이지 이동

성암 이철영 평전

성암 이철영 평전

28,000

'성암 이철영 평전' 상세페이지 이동

인물로 읽는 현대한국정치사상의 흐름

인물로 읽는 현대한국정치사상의 흐름

20,000

'인물로 읽는 현대한국정치사상의 흐름' 상세페이지 이동

저 : 최장집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최장집
관심작가 알림신청
고려대학교 정치외교학과 및 같은 대학 대학원을 졸업하고, 미국 시카고 대학에서 정치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미국 워싱턴 대학, 캘리포니아 대학 버클리 분교, 코넬 대학과 스탠퍼드 대학 객원교수 및 일본 아시아경제연구소 객원연구원, 대통령자문정책기획위원회 위원장을 역임했다. 현재는 고려대학교 명예교수로 있다. 그는 인간과 사회의 현실에 기반을 튼튼히 둔 정치학 연구를 지향하고, 열심히 가르쳐야 하는 선생으로서의 역할을 다른 어떤 것보다 중시한다고 이야기한다.

그는 “정치학은 현실적이고 실현가능한 당위적, 이상적 목표를 탐구하는 학문”이라고 말한다. 일견 모순된 정의 같지만, 그것이 바로 정치학이 대면하지 않을 수 없는 운명적 문제라 여긴다는 것이다. 경험적인 차원에서 정치는 통치와 피통치, 지배와 피지배, 민중과 엘리트, 집단과 집단, 신념과 신념 사이에서 한 사회가 통제할 수 있는 생산적 가치의 권위적 배분을 둘러싼 갈등이지만, 실천적인 차원에서 정치는 “공공선의 실현을 둘러 싼 공동체의 윤리적 문제”를 회피할 수 없기 때문이라고 그 이유를 밝힌다.

그는 자신이 지향하는 정치학을 “최후의 진리를 지향하는 것이 아니라 변증법적이고 실용주의적이며 과정을 포괄하면서 변화하고 발전하는 학습”이라 표현한다. 따라서 자신의 이론에 대해 “스스로 회의적이며 언제나 잠정적”이라 여긴다고 한다. 정치학이 “파워의 문제”를 다룰 수밖에 없는 한 그것이 만들어내는 가능성의 공간과 함께 그 위험성의 차원 역시 고려해야 하고, 제아무리 이성적 판단이라 하더라도 예측할 수 없는 문제나 의도하지 않은 결과에 직면할 수 있다는 점을 강조하기도 한다. 그래서 정치의 현실을 사유함에 있어 언제나 사려 깊음과 관용의 덕목이 필요하다 말하고, 다른 생각 내지 관점과 공존하는 것을 중요한 가치로 여긴다. 그래서 과도하게 강한 주장과 확신은 "대개 무지의 다른 모습"일 수 있다며 늘 스스로를 경계한다고 말한다. 자신을 "doctrinaire(교조적 이론가)"가 아니라 liberal(철학적 자유주의자)"이라고 생각한다는 그는, 주류 언론들이 자주 진보파의 대표로 호명하는 것에 대해, 진보적이라 규정하는 것까지는 좋으나 그 이상은 이데올로기적으로 만들어진 나일뿐이라며 일축하고 있다.

저서로 《한국현대정치의 구조와 변화》《한국의 노동운동과 국가》《한국민주주의의 이론》《한국민주주의의 조건과 전망》《민주화 이후의 민주주의》《위기의 노동》《민주주의의 민주화》《Labor and the Authoritarian State : Labor Unions in South Korean Manufacturing Industries 1961~1980》《現代韓國の政治變動》 등이 있다.

최장집의 다른 상품

군주론

군주론

15,300 (10%)

'군주론' 상세페이지 이동

대전환기의 한국 민주정치

대전환기의 한국 민주정치

18,000 (10%)

'대전환기의 한국 민주정치' 상세페이지 이동

소명으로서의 정치

소명으로서의 정치

14,250 (5%)

'소명으로서의 정치' 상세페이지 이동

정치의 공간

정치의 공간

11,700 (10%)

'정치의 공간' 상세페이지 이동

문화의 안과 밖 2 인간적 사회의 기초

문화의 안과 밖 2 인간적 사회의 기초

19,950 (5%)

'문화의 안과 밖 2 인간적 사회의 기초' 상세페이지 이동

문화의 안과 밖 1 풍요한 빈곤의 시대

문화의 안과 밖 1 풍요한 빈곤의 시대

19,000 (5%)

'문화의 안과 밖 1 풍요한 빈곤의 시대' 상세페이지 이동

논쟁으로서의 민주주의

논쟁으로서의 민주주의

16,200 (10%)

'논쟁으로서의 민주주의' 상세페이지 이동

노동 없는 민주주의의 인간적 상처들

노동 없는 민주주의의 인간적 상처들

9,000 (10%)

'노동 없는 민주주의의 인간적 상처들' 상세페이지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