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 소개(3명)

이전

저 : 이민희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이민희
관심작가 알림신청
李民熙
강화도에서 태어나 자랐다. 연세대 국어국문학과를 졸업한 후 서울대 국어국문학과 대학원에서 고전문학 비교 연구로 석사, 박사 학위를 받았다. 폴란드 바르샤바 대에서 수년간 폴란드 학생들을 가르쳤고, 현재는 강원대 국어교육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고전소설 연구를 중심으로 하면서 근대문학, 문학사, 구비문학, 비교문학, 민속학, 서지학, 문화예술학, 문학교육학을 또 다른 거점으로 삼아 분과 학문적 경계를 넘어서기 위한 공부를 계속해 오고 있다.

주요 저서로 『파란·폴란드·뽈스까!-100여 년 전 한국과 폴란드의 만남, 그 의미의 지평을 찾아서』(소명출판, 2005, 문화관광부 선정 우수학술도서), 『16∼19세기 서적중개상과 소설·서적 유통관계 연구』(역락, 2007, 대한민국 학술원 선정 우수학술도서), 『조선의 베스트셀러?조선후기 세책업의 발달과 소설의 유행』(프로네시스, 2007), 『조선을 훔친 위험한 책들』(글항아리, 2008), 『마지막 서적중개상 송신용 연구』(보고사, 2009, 대한민국 학술원 선정 우수학술도서), 『역사영웅서사문학의 세계』(서울대 출판부, 2009), 『백두용과 한남서림 연구〉(역락, 2013, 대한민국 학술원 선정 우수학술도서), 『얼굴나라』(계수나무, 2013, 세종도서 문학나눔 우수도서), 『쾌족, 뒷담화의 탄생-살아있는 고소설』(푸른지식, 2014, 세종도서 교양나눔 우수도서), 『세책, 도서 대여의 역사』(커뮤니케이션북스, 2017), 『박지원 읽기〉(세창미디어, 2018), 『비엔나는 천재다』(글누림, 2019), 『강원도와 금강산, 근대로의 초대-19세기 말∼20세기 초 서양인 여행기를 읽다』(강원학연구센터, 2021), 『근대의 금강산과 강원도, 그 기록의 지평』(소명출판, 2022), 『18세기의 세책사』(문학동네, 2023) 등이 있다.
역서로는 『여용국전/어득강전/조충의전』(지식을만드는지식, 2010), 『낙천등운』(한국학중앙연구원, 2010, 임치균·이민희·이지영 공역), 『춘풍천리』(지식을만드는지식, 2011), 『옹고집전』(휴머니스트, 2016), 『방한림전』(휴머니스트, 2016), 『서산대사전』(지식을만드는지식, 2023) 등이 있다.

이민희의 다른 상품

병인양요, 일명 한장군전

병인양요, 일명 한장군전

16,800

'병인양요, 일명 한장군전' 상세페이지 이동

병인양요, 일명 한장군전 (큰글자책)

병인양요, 일명 한장군전 (큰글자책)

36,000

'병인양요, 일명 한장군전 (큰글자책)' 상세페이지 이동

18세기의 세책사

18세기의 세책사

16,150 (5%)

'18세기의 세책사' 상세페이지 이동

서산대사전(셔산대사젼)

서산대사전(셔산대사젼)

12,800

'서산대사전(셔산대사젼)' 상세페이지 이동

서산대사전(셔산대사젼) (큰글자책)

서산대사전(셔산대사젼) (큰글자책)

24,000

'서산대사전(셔산대사젼) (큰글자책)' 상세페이지 이동

근대의 금강산과 강원도, 그 기록의 지평

근대의 금강산과 강원도, 그 기록의 지평

67,450 (5%)

'근대의 금강산과 강원도, 그 기록의 지평' 상세페이지 이동

초고온 시리즈 세트

초고온 시리즈 세트

108,000 (10%)

'초고온 시리즈 세트' 상세페이지 이동

옹고집전

옹고집전

10,800 (10%)

'옹고집전' 상세페이지 이동

저 : 니콜라이 크루솁스키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니콜라이 크루솁스키
관심작가 알림신청
크루솁스키는 1851년 12월 6일 볼린 주 루츠크 시의 퇴역 장교이자 지주인 바츨라프 크루솁스키의 가정에서 태어났다. 그는 류블린 주의 헬름 시 김나지움에 입학해 1871년에 졸업했다. 그해 바르샤바 대학교 역사철학부에 입학해 트로이츠키 교수에게 철학을 배웠고, 포테브냐의 제자인 콜로소프 교수에게 언어학을 배워 그의 지도로 <러시아 민중 시가의 한 형태로서의 주문>(1875)이라는 제목의 졸업 논문을 썼다.
대학 졸업 무렵 카잔 대학교에서 교수 장학금을 받을 수 있는지 알아보고 보두앵 드 쿠르트네 교수를 만나 향후의 학업에 대해 상의하기 위해 카잔을 방문했다. 그러나 장학금은 받을 수 없었고, 대신 보두앵 드 쿠르트네 교수로부터 향후 언어 연구에 대한 귀중한 조언을 받을 수 있었다.
그는 카잔 대학에서 보두앵 드 쿠르트네 교수의 일반언어학, 비교문법, 산스크리트어 강의를 성실하게 수강했다. 그리고 보두앵 드 쿠르트네 교수는 크루솁스키를 위해 자신의 집에서 슬라브 방언학, 산스크리트어와 리투아니아어, 언어학 중요 문헌 강독 등 실습 중심의 수업을 해 주었다. 그 후 얼마 지나지 않아 카잔 대학의 학생들과 젊은 학자들이 이 수업에 동참하게 되었다. 이렇게 해서 보두앵 드 쿠르트네 학파가 형성되기 시작했다. 크루솁스키는 이 수업에서 자신의 언어학 지식과 능력을 십분 발휘했으며, 보두앵 드 쿠르트네 교수가 장기 해외 출장을 가는 경우에는 카잔 학파를 이끌기도 했다.
1879년 5월 크루솁스키는 <강세와 연관된 몇 가지 음성적 현상 고찰>이라는 제목의 논문으로 비교언어학과 비상근 조교수 직위를 취득했으며, 1881년 5월에 고대슬라브어 모음에 관한 주제로 석사 학위를 취득해 비교언어학과 조교수로 임용되었으며, 1883년 5월에는 <언어학 개설>이라는 제목의 논문으로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그 후 보두앵 드 쿠르트네 교수는 크루솁스키를 정식 교수로 임용해 줄 것을 대학 당국에 청원한 뒤 카잔 대학을 영원히 떠났다. 크루솁스키는 1885년에 정교수 직위를 취득했으며, 비교언어학, 산스크리트어, 음성 생리학, 러시아어 문법, 로망어 비교문법, 프랑스어사, 일반언어학, 언어 고고학 등 다양한 과목의 강의를 했다. 그러나 너무 열성적으로 교육과 연구 활동에 전념한 결과 건강이 악화되어 자리에 눕게 되었으며, 1887년 11월 1일 36세의 나이로 세상을 떴다.

니콜라이 크루솁스키의 다른 상품

역 : 김민수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역 : 김민수
관심작가 알림신청
한국외국어대학교에서 노어학 전공으로 문학박사 학위를 받았고, 러시아 치타국립대에서 철학인간학 전공으로 철학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현재 한국외국어대학교 러시아연구소 HK교수로 재직하고 있으며, 러시아인과 러시아 내 소수민족의 신앙과 의례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투르게네프 단편집』, 『레스코프 중단편집』, 니키타 톨스토이의 『언어와 민족문화』, 블라디미르 보고라스의 『축치족: 신앙』, 바츨라프 세로셉스키의 『야쿠트인: 구비전승과 신앙』 등 전통문화와 신앙 관련 번역서를 출판했다.

김민수의 다른 상품

켑투케 중단편집 큰글씨책

켑투케 중단편집 큰글씨책

27,000

'켑투케 중단편집 큰글씨책' 상세페이지 이동

켑투케 중단편집

켑투케 중단편집

16,800

'켑투케 중단편집' 상세페이지 이동

레스코프 중단편집

레스코프 중단편집

14,800

'레스코프 중단편집' 상세페이지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