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 소개(20명)

이전

저 : 강태진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강태진
관심작가 알림신청
서울대학교 공과대학 섬유공학과에서 학·석사를 마쳤다. 1979년 미국 노스캐롤라이나 주립대학에서 수학했고 박사학위를 받은 후 미국 Macfield 사에서 엔지니어로 근무했다. 1984년 서울대학교 교수로 임용되어 현재 공과대학 재료공학부 교수로 재직중이며 공대학장을 역임했다. 학장 재임기간 동안 공학교육의 글로벌 경쟁력 강화와 공학교육의 세계화를 실현하기 위하여 ‘글로벌공학교육센터(GECE)’를 세웠다. 과학기술적 통찰력과 실천력을 바탕으로 ‘국가과학기술위원회’에서 활동했으며, 한국연구재단(NRF)의 설립위원장을 역임했다. 한국섬유공학회와 한국복합재료학회의 회장을 맡아 첨단 복합소재 분야의 발전을 위해 노력했다. ‘지능형텍스타일시스템연구센터(ITRC)’와 ‘패션신소재연구센터(FTC)’를 설립, 첨단 복합소재 분야를 의학,예술분야 등과 융합하여 학문과 관련 산업의 활성화에 정성을 쏟았다. SCI 국제학술지에 190여 편 등 270여 편의 논문을 발표했다. 영국의 Journal of the Textile Institute, 미국의 Textile Research Journal의 편집위원, 매일경제신문 객원논설위원으로 활동하며 선도적인 국제 감각으로 우리나라의 과학기술과 교육에 대한 학문·사회적 관심을 일깨우고 있다. 2015년 독일 아헨대학에서 세계적인 학자에게 주는 ‘카르만펠로십(Karman Fellowship)’을 수상했다. 저서에 우리나라 공학 정책의 비전을 제시한『 코리아 4.0, 지금이다』(나녹, 2016), 『 코리아 아젠다 2017』(나녹, 2017), 공학인문학 영역을 개척한 『 패션 공학을 입다』(나녹, 2016) 등 다수가 있다.

강태진의 다른 상품

써로게이트

써로게이트

16,200 (10%)

'써로게이트' 상세페이지 이동

저 : 구민교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구민교
관심작가 알림신청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 교수 및 한국행정연구소 겸무 연구원이다. 서울대학교 외교학과 및 행정대학원 졸업 후 미국 존스홉킨스대학교에서 국제정치경제 석사학위를, UC 버클리에서 동아시아 영토분쟁을 주제로 정치학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이후 남가주대학교(USC) 박사후연구원, 연세대학교 행정학과 조교수로 근무했고 하버드-옌칭연구소 방문학자(2015-2016년)를 역임했다. 연구 및 교육 관심 분야는 동아시아 정치경제, 국제통상, 해양안보, 해양사, 해양법 등이다. 주요 저서로 『The Korean Government and Public Policies in a Development Nexus: Sustaining Development and Tackling Policy Changes-Volume 2』(편저, 2017, Springer), 『Island Disputes and Maritime Regime Building in East Asia: Between a Rock and a Hard Place』(2009, Springer) 등이 있다.

구민교의 다른 상품

대전환기 정책의 키워드

대전환기 정책의 키워드

22,000

'대전환기 정책의 키워드' 상세페이지 이동

평화학이란 무엇인가

평화학이란 무엇인가

32,000

'평화학이란 무엇인가' 상세페이지 이동

민주주의는 만능인가? (큰글씨책)

민주주의는 만능인가? (큰글씨책)

27,000

'민주주의는 만능인가? (큰글씨책)' 상세페이지 이동

민주주의는 만능인가?

민주주의는 만능인가?

13,500 (10%)

'민주주의는 만능인가?' 상세페이지 이동

저 : 권오남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권오남
관심작가 알림신청
창의적인 강의에 남다른 열정을 지닌 수학교육자 권오남 교수님은 미국 인디애나대학교 수학교육학 석사, 수학 박사 학위를 받았습니다. 이화여자대학교 수학교육과 교수를 거쳐, 현재 서울대학교 수학교육과 교수로 재직 중입니다. 한국수학교육학회 회장, 국제수학교육위원회 위원, OECD PISA 2015 수학전문위원,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자문위원을 역임했으며, 한국여성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부회장, 한국과학창의재단 이사로 활동하고 있습니다.

권오남의 다른 상품

수학하는 여자들

수학하는 여자들

17,100 (10%)

'수학하는 여자들' 상세페이지 이동

개념 기반 수학

개념 기반 수학

25,000

'개념 기반 수학' 상세페이지 이동

신비아파트 고스트볼 X의 탄생 수학귀신을 잡아라! 5

신비아파트 고스트볼 X의 탄생 수학귀신을 잡아라! 5

8,100 (10%)

'신비아파트 고스트볼 X의 탄생 수학귀신을 잡아라! 5' 상세페이지 이동

신비아파트 고스트볼 X의 탄생 수학귀신을 잡아라! 4

신비아파트 고스트볼 X의 탄생 수학귀신을 잡아라! 4

8,100 (10%)

'신비아파트 고스트볼 X의 탄생 수학귀신을 잡아라! 4' 상세페이지 이동

우리는 바다로 간다

우리는 바다로 간다

12,600 (10%)

'우리는 바다로 간다 ' 상세페이지 이동

신비아파트 고스트볼 X의 탄생 수학귀신을 잡아라! 3

신비아파트 고스트볼 X의 탄생 수학귀신을 잡아라! 3

8,100 (10%)

'신비아파트 고스트볼 X의 탄생 수학귀신을 잡아라! 3' 상세페이지 이동

신비아파트 고스트볼 X의 탄생 수학귀신을 잡아라! 2

신비아파트 고스트볼 X의 탄생 수학귀신을 잡아라! 2

8,100 (10%)

'신비아파트 고스트볼 X의 탄생 수학귀신을 잡아라! 2' 상세페이지 이동

수 이야기 : 셈부터 암호까지

수 이야기 : 셈부터 암호까지

22,000

'수 이야기 : 셈부터 암호까지' 상세페이지 이동

저 : 권혁주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권혁주
관심작가 알림신청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 교수. 정책학, 사회정책, 공공정책의 정치이론, 갈등관리, 국제개발협력에 관해 연구와 강의를 해왔다. 서울대학교 정치학과와 동 대학원을 졸업하고, Swire Scholar로 선정되어 영국 옥스퍼드대학교 세인트 앤서니 칼리지에서 수학했다. 1995년 정치학 박사학위를 받았고, 서식스대학교의 Institute of Development Studies에서 Research Officer로 근무하면서 동아시아 사회정책에 관한 비교연구를 수행했다. 1997년 성균관대학교 행정학과에 교수로 부임하여 2008년까지 재직했고, 2002-2005년에는 유엔사회개발연구소(UNRISD)에서 Research Coordinator로 근무하면서 사회정책과 국제개발협력의 학제적 연구를 통해 개발도상국의 빈곤퇴치 및 사회보장을 위한 정책개발 연구를 하였다.
2008년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에 부임한 이후 개발도상국 공무원을 대상으로 한 석사과정을 개설하고 운영했다. 이와 함께 서울대학교 글로벌행정발전연구소에서 관료제, 사회개발, 취약국가에 관해 연구를 수행했다. 최근에는 공화주의 관점에서 민주적 국정운영에 관해 연구를 수행했다. 『한국행정학보』 편집위원장, Global Social Policy 공동 편집위원장을 역임했으며, Harvard Yenching Visiting Scholar와 Fulbright-Democracy Visiting Scholar로 선정되어 하버드케네디스쿨에서 연구했으며, 국제개발협력학회 회장을 역임했다.

권혁주의 다른 상품

갈등사회의 공공정책

갈등사회의 공공정책

30,000

'갈등사회의 공공정책' 상세페이지 이동

공존과 지속

공존과 지속

22,500 (10%)

'공존과 지속' 상세페이지 이동

성공하는 정부를 위한 국정운영

성공하는 정부를 위한 국정운영

23,000

'성공하는 정부를 위한 국정운영' 상세페이지 이동

저 : 김경범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김경범
관심작가 알림신청
서울대학교 인문대학 서어서문학과 소속이며 스페인 중세, 르네상스, 바로크 시대 문학을 연구하고 있다. 장르 이론을 다루다가 3년 전부터 인쇄술 도입 초기의 문학시장에서 최고 베스트셀러였던 기사소설을 시장의 관점으로 재해석하는 시리즈를 발표하고 있다. 교육부 교육과정심의위원과 입학사정관제 정책위원을 역임했으며, 서울대학교 입학본부에서 오랜 동안 입학업무를 담당했다. 대학입학 관련 최근 연구는 「학생부 정보의 재구조화 연구」로서 창의적인 인재 육성을 위해 정부와 고등학교가 시작해야 할 역할을 정리했다. 최근 저술은 『중세의 죽음』(서울: 산처럼, 2015, 공저)이다.

저 : 김남수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김남수
관심작가 알림신청
서울대학교 공과대학 전기·정보공학부 소속이며 인공지능·신호처리 분야를 연구하고 있다. 서울대학교 초실감음향기술 연구센터 센터장을 역임하며 실감음향, 음성인식, 음성합성, 대화시스템과 관련된 연구·개발에 매진하고 있다. 신호처리 연구회 회장, 대검찰청 과학수사 자문위원 등을 역임했고 여러 기업의 자문을 수행했다. 국제 저명 학술지에 80여 편의 논문을 게재하고 60여건의 특허를 출원하여 인공지능·신호처리 분야에 학술적, 실용적 기여를 하고 있다.

저 : 김동일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김동일
관심작가 알림신청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교육학과 교육상담전공 교수 및 대학원 특수교육전공 주임교수, 서울대학교 대학생활문화원 원장, 장애학생지원센터 상담교수, 서울대 특수교육연구소 소장으로 재직하고 있다.
서울대학교 교육학과를 졸업하고 교육부 국비유학생으로 선발되어 미네소타 대학 교육심리학과에서 석사·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Developmental Studies Center, Research Associate, 한국청소년상담원 상담교수, 경인교육대학교 교육학과 교수, 한국학습장애학회 회장, (사)한국교육심리학회 회장, 서울대 사범대 기획실장, 국가 청소년보호위원회 위원, BK21 미래교육디자인연구사업단 단장 등을 역임하였다. 국가수준의 인터넷중독 척도와 개입연구를 진행하여 정보화역기능예방사업에 대한 공로로 행정안전부 장관표창 및 연구논문/저서의 우수성으로 교육부 학술상(상장 20-1075), 한국상담학회 학술상(2014-2/2016/2022)과 학지사 저술상(2012)을 수상하였다.

현재 BK21FOUR 혁신과 공존의 교육학연구사업단 단장, SSK교육사각지대학습자연구단 단장, 한국아동청소년상담학회 회장, 여성가족부 학교밖청소년지원위원회(2기) 위원, 국무총리실 사행산업통합감독위원회(중독분과) 민간위원 등으로 봉직하고 있다. 『교육사각지대 학습자 이해와 지원』, 『지능이란 무엇인가』, 『학습장애아동의 이해와 교육』, 『청소년 상담학 개론』을 비롯하여 50여 권의 저·역서가 있으며, 300여 편의 등재 전문학술논문(SSCI/KCI)과 기초학습기능 수행평가체제(BASA)를 포함하여 30여 개의 표준화 검사를 개발하였다.

김동일의 다른 상품

아동과 청소년을 위한 인지행동치료(CBT) 워크북

아동과 청소년을 위한 인지행동치료(CBT) 워크북

18,000

'아동과 청소년을 위한 인지행동치료(CBT) 워크북' 상세페이지 이동

혁신과 공존의 교육학

혁신과 공존의 교육학

20,000

'혁신과 공존의 교육학' 상세페이지 이동

학습 장애 탐구

학습 장애 탐구

28,000

'학습 장애 탐구' 상세페이지 이동

교육사각지대 학습자 이해와 지원 핸드북

교육사각지대 학습자 이해와 지원 핸드북

23,000

'교육사각지대 학습자 이해와 지원 핸드북' 상세페이지 이동

다중지능과 교육

다중지능과 교육

18,000

'다중지능과 교육' 상세페이지 이동

기초·기본학력보장 증거기반 교육의 실제

기초·기본학력보장 증거기반 교육의 실제

16,000

'기초·기본학력보장 증거기반 교육의 실제' 상세페이지 이동

교육사각지대 학습자 이해와 지원

교육사각지대 학습자 이해와 지원

14,000

'교육사각지대 학습자 이해와 지원' 상세페이지 이동

교육사각지대 학습자의 부모 교육

교육사각지대 학습자의 부모 교육

18,000

'교육사각지대 학습자의 부모 교육' 상세페이지 이동

저 : 김범수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김범수
관심작가 알림신청
서울대학교 자유전공학부 소속이며 정치이론을 전공하고 있다. 자유전공학부 부학부장, 미국워싱턴대학교 방문교수,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과 외교학과 겸무교수, 사회통합위원회 세대분과 위원, 거버넌스 연구회 회장 등을 역임했으며 『인권의 정치사상: 현대 인권 담론의 쟁점과 전망』(서울:이학사, 2010, 공저), 『전후 일본의 보수와 표상』(서울: 서울대학교 출판문화원, 2010, 공저) 등의 저서를 출판했다. 현재 민족주의, 다문화주의, 인권, 정의론 등 현대정치이론의 주요 주제를 중심으로 연구하고 있다.

김범수의 다른 상품

저 : 김성민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김성민
관심작가 알림신청
서울대학교 생활과학대학 의류학과 소속이며 패션테크놀로지 분야를 담당하고 있다. 섬유공학을 전공했으며 각 대학 의류학과·섬유패션산업체와 섬유의류제품 설계·생산·평가 공정 자동화기술 개발을 위한 다양한 공동 연구 프로젝트를 진행했다. 기계, 전자, 컴퓨터 등 여러 분야에서도 다양한 연구 경험을 가지고 있으며 『엔지니어를 위한 C++ 빌더 프로그래밍의 기초』(광주: 전남대학교 출판부, 2012), 『전기전자컴퓨터공학기초』(광주: 전남대학교 출판부, 2015, 공저) 등의 저자로 다양한 분야의 IT 융합 연구에 필요한 기초 지식 보급에도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

저 : 김태균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김태균
관심작가 알림신청
옥스퍼드대학교(University of Oxford) 사회정책학 박사학위, 존스홉킨스대학교(Johns Hopkins University) 고등국제관계대학원(SAIS) 국제관계학 박사학위를 취득하고 와세다대학교, 이화여자대학교 교수를 거쳐 현재 서울대학교 국제대학원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주요 저작으로 『한국 비판국제개발론: 국제開發의 發展적 성찰』, 『대항적 공존: 글로벌 책무성의 아시아적 재생산』, 『북한개발협력과 지속가능발전목표』(공저), The Korean State and Social Policy: How South Korea Lifted Itself from Poverty and Dictatorship to Affluence and Democracy(공저) 등이 있다.

김태균의 다른 상품

2022 신정부 외교정책 제언

2022 신정부 외교정책 제언

16,000

'2022 신정부 외교정책 제언' 상세페이지 이동

지속가능한 북한개발협력

지속가능한 북한개발협력

28,000

'지속가능한 북한개발협력' 상세페이지 이동

국제개발

국제개발

20,700 (10%)

'국제개발' 상세페이지 이동

한반도 평화학

한반도 평화학

26,000

'한반도 평화학 ' 상세페이지 이동

한국비판국제개발론

한국비판국제개발론

19,000

'한국비판국제개발론' 상세페이지 이동

저 : 김화진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김화진
관심작가 알림신청
서울대 로스쿨 교수

- 미시간대 로스쿨 베이츠 리 석좌교수
- 현대모비스 사외이사
- 맥쿼리인프라 감독이사

(전)
- 뉴욕대 로스쿨 글로벌 법학교수
- HD현대 ESG위원회 위원장
- 한국금융투자협회 공익이사
- 스탠퍼드, 텔아비브대 강의
- 하버드대 로스쿨 졸업
- 영어, 독일어, 러시아어 저서
- 학술원 우수학술도서 3회 선정

김화진의 다른 상품

아산 정주영 레거시

아산 정주영 레거시

29,000

'아산 정주영 레거시 ' 상세페이지 이동

스탠퍼드가 하버드에 간 이유

스탠퍼드가 하버드에 간 이유

24,000

'스탠퍼드가 하버드에 간 이유' 상세페이지 이동

저 : 김현정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김현정
관심작가 알림신청
마취통증의학과 전문의로서 서울대학교 치의학대학원 소속이며, 대한치과마취과학회와 아시아치과마취과학회(FADAS)의 창립과 편집위원장 활동을하여 국내외에서 치의학의 발전을 도모하고 있다. 대한심폐소생협회 CLS 위원, 미국심장협회(AHA) BLS, ACLS Training 센터장으로서 응급처치 교육역량 강화사업도 주도하고 있다. 현재 의료기기산업화에 관련된 기업-병원 연계 플랫폼과 영상기기 개발 융복합 과제를 수행하고 있다. 서울대학교치과병원 3D 프린팅 센터장으로서 미래부 ‘3D 프린팅 창의융합 표준화 포럼’ 의료분과위원장 등 3D 프린팅 기술의 의료산업화에도 관여하고 있다.

저 : 문휘창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문휘창
관심작가 알림신청
서울대학교 국제대학원 교수로서 국제대학원 원장을 역임했으며 국제학술지 Journal of International Business and Economy 편집위원장을 맡고 있다. 연구분야인 국제경영, 전략, 경쟁력 등에 관해 다수의 논문을 발표했고, 최근 『The Strategy for Korea’s Economic Success』(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2016) 등 해외출판사 6권, 국내출판사 5권의 저서를 출간했다. ‘국가경쟁력 세계위원회(Global Federation of Competitiveness Councils)’ 총회에서 기조발표를 하고, 한국과 세계경제 문제에 관해 New York Times와 NHK World TV 등 국제 언론매체의 인터뷰와 토론에 참여했다.

저 : 서승우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서승우
관심작가 알림신청
서울대학교 공과대학생들 사이에 열정과 도전을 불러일으키는 최고의 멘토로 꼽히고 있다. 1996년 서울대학교 공과대학 전기정보공학부에 부임한 이후 차세대 네트워크와 보안기술에 대해 연구해왔고, 2000년도부터는 미래 자동차용 전자기술 연구에 몰두하고 있다. 한국연구재단이 지정한 지능형자동차IT연구센터 센터장을 맡았다. 현재 서울대 교수이다.

1993년 미국 펜실베니아주립대학에서 한국인으로서는 최단기간에 박사학위를 취득하였고, 1996년까지 동 대학 조교수와 프린스톤 대학 연구원을 역임했다. 프린스톤 대학 재직 시절에는 미국 정부가 수여하는 박사후 과정 펠로우십 수상자로 선정되었다. 2011년 10월 세계 최초의 무인태양광자동차경주대회를 기획하여 운영위원장으로서 성공적인 개최를 이끌었고, 직접 서울대 팀의 지도교수로 참가하여 2등상을 받았다. 2013년 10월에는 국내 최초로 정부에서 주최한 무인자율주행자동차 경진대회에 서울대 팀을 이끌고 출전하여 SUV를 개조한 무인자동차로 본선 최단 시간의 기록을 세우며 최우수상을 수상했다.

자신의 연구 분야에서 늘 세계 최고 수준을 지향하고 새로운 분야 개척에 있어서도 주저함 없이 항상 도전을 실천 함으로써 학생들에게 자극을 주고 있으며, 학생들이 꿈과 희망을 가질 수 있도록 개인 카운슬링도 활발히 하고 있다. 저서로 『보안경제학』과 『Security in Next Generation Mobile Networks』 등이 있다.

서승우의 다른 상품

넥스트 레벨 : 자율주행

넥스트 레벨 : 자율주행

13,050 (10%)

'넥스트 레벨 : 자율주행' 상세페이지 이동

공학자의 시간 여행

공학자의 시간 여행

12,600 (10%)

'공학자의 시간 여행' 상세페이지 이동

아침 설렘으로 집을 나서라

아침 설렘으로 집을 나서라

12,150 (10%)

'아침 설렘으로 집을 나서라' 상세페이지 이동

보안 경제학

보안 경제학

20,000

'보안 경제학' 상세페이지 이동

저 : 윤석민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윤석민
관심작가 알림신청
서울대 신문학과(현 언론정보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학교 대학원에서 신문학(언론정보학) 석사학위를 받았다. University of Michigan의 커뮤니케이션 박사과정을 거쳐 Michigan State University에서 매스미디어 전공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서울대 사회과학대학 언론정보학과 교수로, 커뮤니케이션 이론과 미디어 정책을 연구하고 있다.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회 회장, 여론집중도조사위원회 부위원장, 미디어다양성위원회 위원장, SNU 팩트체크위원회 위원장 등을 역임하였고, 그 외 다수의 미디어 정책기구와 신문·방송·인터넷 사업자들에게 자문을 제공해 왔다. 한국사회 미디어 시스템의 주요 현안들, 특히 미디어 다양성, 공정성, 사실성, 통일지향성 같은 규범적 가치들의 이론적 정립 및 실천 문제에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

윤석민의 다른 상품

공영방송의 이해

공영방송의 이해

42,000

'공영방송의 이해' 상세페이지 이동

대한민국 ICT의 미래, 어떻게 준비할 것인가

대한민국 ICT의 미래, 어떻게 준비할 것인가

18,000

'대한민국 ICT의 미래, 어떻게 준비할 것인가' 상세페이지 이동

국제환경의 변화와 한국의 미래

국제환경의 변화와 한국의 미래

23,000

'국제환경의 변화와 한국의 미래' 상세페이지 이동

저 : 이유리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이유리
관심작가 알림신청
서울대학교 생활과학대학 의류학과 소속으로 패션 IT 통합채널 유통, 패션 리테일링 전략, 패션테라피, 패션산업의 CSR과 공유가치 창출, 북한 의류산업·의생활 등의 분야에서 연구와 교육을 담당하고 있다. 한국연구재단, 지식경제부를 비롯한 공공기관과 제조업체 전자상거래 업체 등의 기업 과제를 수행하며 Business Strategy and the Environment, Electronic Commerce Research and Applications,Clothing and Textiles Research Journal 등 국내외 저명 학술지에 연구 논문을 다수 게재했고 『패션산업윤리의 이해』(파주: 교문사, 2009, 공저), 『IT 패션』(파주: 교문사, 2013, 공저) 등을 공동 집필했다.

저 : 이종섭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이종섭
관심작가 알림신청
서울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생명과학부 소속이며, 식물의 생장과 발달을 조절하는 분자유전학적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서울대학교 입학관리본부 본부장, 자연과학대학 학장 등을 역임했고, 전국자연과학대학장협의회 회장, 전국기초과학연구소협의회 회장, 한국산업기술진흥원·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비상임이사 등을 역임하며 우리나라 교육과 과학기술 발전을 위해 노력했다. 생명-생명의 과학, 생명과학의 이해 등의 역서를 출판했다.

저 : 임혜란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임혜란
관심작가 알림신청
이화여자대학교에서 정치학 학사와 석사학위, 미국 University of California, Davis에서 정치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가톨릭대 국제학부 교수, 국가안전보장회의 정책전문위원, 외교통상부 정책자문위원, 미국 부르킹스 연구소 객원연구원, 한국정치학회 부회장, 대법원 법원감사위원회 위원 등을 역임한 바 있다. 2004년 3월 이후 서울대학교 정치외교학부 교수로 재직중이며 동아시아 정치경제, 비교정치경제, 국제정치경제 등을 연구하면서 강의하고 있다. 비교정치, 동아시아 정치경제 등을 주로 연구하고 있으며, 주요 논저로 Korea's Growth and Industrial Transformation, 『동아시아 협력과 공동체: 국가주의적 갈등을 넘어서』(공편), 『자유기업 경제하에서의 한국사회의 통합』(공저), “Transformation of Developmental States and Economic Reform in Korea”, 「한국의 민주주의 위기와 경제개혁」, 「대변환기의 국제정치경제질서: 패권과 신자유주의 질서의 변환」 등이 있다.

임혜란의 다른 상품

1980년대 한미 통상협상

1980년대 한미 통상협상

12,000

'1980년대 한미 통상협상' 상세페이지 이동

양분법을 넘어서

양분법을 넘어서

25,000

'양분법을 넘어서' 상세페이지 이동

저출산·고령화의 외교안보와 정치경제

저출산·고령화의 외교안보와 정치경제

20,000

'저출산·고령화의 외교안보와 정치경제' 상세페이지 이동

동아시아 발전국가모델의 재구성

동아시아 발전국가모델의 재구성

24,000

'동아시아 발전국가모델의 재구성' 상세페이지 이동

저 : 차상균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차상균
관심작가 알림신청
서울대학교 공과대학 전기·정보공학부 소속으로2000년대 초 실리콘 밸리에 실험실 벤처를 창업한 무모한 아웃라이어이자 꿈꾸던 글로벌 시장의 패러다임을 바꾼 운 좋은 혁신가다.이 경험을 바탕으로2014년 서울대 빅데이터 연구원을 설립하고 초대원장을 맡아 탈학제적 빅데이터 연구와 혁신을 주도하고 있다.2005년 독일의SAP가 경쟁사오라클Oracle을 뛰어넘기 위한 전략적 비공개M&A제안에 동의한 후2010년SAP가HANA인메모리 플랫폼을 공개할 때까지HANA의 근간이된 연구를 한국에서 이끌었다.

저 : 최순철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최순철
관심작가 알림신청
서울대학교 치의학대학원 소속이며 영상치의학 분야를 전공하고 있다. 대한영상치의학회 회장을 역임하고 현재 세계영상치의학회 아시아 Director로서 영상치의학 발전에 기여해 오고 있다. 서울대학교 치의학대학원 원장, 한국치의학교육평가원 치과의사시험위원회 위원장, 한국보건의료인국가시험원 치과의사시험위원회 위원장 등을 역임하며 치의학 교육 발전에 기여해 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