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 소개(2명)

이전

저 : 곡량자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곡량자
관심작가 알림신청
『곡량전』의 작자에 대해서는 <예문지>에 ‘『곡량전』 11권, 곡량자(穀梁子), 노나라 사람’이라고 되어 있다. 안사고(顔師古)는 그 이름을 ‘희(喜)’라고 했다. 그런데 청나라 전대소(錢大昭)는 『한서변의(漢書辨疑)』에서 민본(?本) 『한서』를 고찰하고 지금 판본에 적힌 이름 ‘희’는 ‘가(嘉)’로 고쳐야 한다고 말했다. 한편 환담(桓譚), 응소(應?), 채옹(蔡邕), 육덕명(陸德明)은 미신(?信)의 말을 인용하며 ‘적(赤)’이라고 했다. 왕충(王充)은 ‘치(?)’, 완효서(阮孝緖)의 『칠록(七錄)』과 『원화성찬(元和姓纂)』에는 시자(尸子)의 말을 인용해 ‘숙(?)’이라고 되어 있다. 양사훈(楊士勛)의 『곡량전소(穀梁傳疏)』에는 ‘숙(淑)’으로 되어 있다. 한 사람에게 6개의 이름이 있는 것은 『곡량전』을 한 사람에게 귀속시킬 필요가 없으며 곡량씨 집안의 학문이었다는 것을 방증한다. 게다가 선진(先秦) 시기 문헌 대부분이 개인이 아닌 학파의 집체 작업으로 이루어진다는 상황을 고려하면 『곡량전』을 특정 개인의 작품으로 규정할 필요가 없다.

역 : 박성진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역 : 박성진
관심작가 알림신청
박성진(朴晟鎭)은 성균관대 중문과를 졸업하고 북경사범대학(北京師範大學)에서 『춘추좌전(春秋左傳)』으로 박사 학위를 취득한 이후 계속 선진양한(先秦兩漢) 시기의 고전을 연구해 왔다. 현재 서울여대 중문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발표 논문으로 『좌전(左傳)』의 사상 경향, 『곡량전(穀梁傳)』 고사 초탐, 『춘추(春秋)』에 대한 『공양전(公羊傳)』 해석의 경향성, 『춘추(春秋)』의 인용과 정치화 시론, 한대(漢代) 『사기(史記)』의 전파에 대한 고찰 등이 있다. 역서로 『춘추곡량전(春秋穀梁傳)』이 있다.

박성진의 다른 상품

마지 윌슨의 감정사전

마지 윌슨의 감정사전

8,300

'마지 윌슨의 감정사전' 상세페이지 이동

마지 윌슨의 감정사전

마지 윌슨의 감정사전

8,300

'마지 윌슨의 감정사전' 상세페이지 이동

춘추공양전 - 지식을만드는지식 사상선집

춘추공양전 - 지식을만드는지식 사상선집

30,240

'춘추공양전 - 지식을만드는지식 사상선집' 상세페이지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