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 소개(8명)

이전

저 : 한상언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한상언
관심작가 알림신청
한상언영화연구소 대표
한양대학교에서 한국영화사 전공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일제강점기부터 해방 직후 시기를 중심으로 한국영화사를 연구하고 있으며 주요 관심 분야는 식민과 분단 문제이다. 현재 한상언영화연구소 대표이
며 충남 천안에서 복합문화공간 “노마만리”를 운영하고 있다. 저서로는 『해방공간의 영화 영화인』(이론과실천, 2013), 『조선영화의 탄생』(박이정, 2018), 『영화운동의 최전선』(한상언영화연구소, 2022), 『스탈
린거리의 평양책방』(한상언영화연구소, 2023) 등이 있다.

한상언의 다른 상품

일제의 대중문화 통제

일제의 대중문화 통제

19,000 (5%)

'일제의 대중문화 통제' 상세페이지 이동

해금을 넘어서 복원과 공존으로

해금을 넘어서 복원과 공존으로

48,000

'해금을 넘어서 복원과 공존으로' 상세페이지 이동

평양책방

평양책방

45,000 (10%)

'평양책방' 상세페이지 이동

김태진 전

김태진 전

13,500 (10%)

'김태진 전' 상세페이지 이동

강홍식 전

강홍식 전

13,500 (10%)

'강홍식 전' 상세페이지 이동

한국근대영화사

한국근대영화사

30,400 (5%)

'한국근대영화사' 상세페이지 이동

글로컬 시대의 한국영화와 도시공간 1

글로컬 시대의 한국영화와 도시공간 1

12,000

'글로컬 시대의 한국영화와 도시공간 1' 상세페이지 이동

저 : 김소영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김소영
관심작가 알림신청
한국예술종합학교 영상이론과 교수
트랜스 아시아 영상문화연구소 소장

『파국의 지도』, 『근대의 원초경』, 『근대성의 유령들: 판타스틱 한국 영화』의 저자이며 《Electronic Elsewheres: The Production of Social Space》의 공동 편집자이다. '고려 아리랑: 천산의 디바'를 비롯한 망명 삼부작, '거류'를 비롯한 여성사 삼부작을 연출했다. 콜론 세계 예술아카데미 회원이며, 한국문화연구학회 회장직을 맡고 있다. 싱가포르 국립대 연구원을 지내고 UC 버클리대 등에서 가르쳤다.

김소영의 다른 상품

한국영화, 세계와 마주치다

한국영화, 세계와 마주치다

18,000 (10%)

'한국영화, 세계와 마주치다' 상세페이지 이동

저 : 정충실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정충실
관심작가 알림신청
한림대학교 일본학연구소 HK연구교수. 한국예술종합학교 트랜스아시아 영상문화연구소 객원연구원을 지냈다. 도쿄대 학제정보학부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전공은 한국과 일본의 영화사, 문화사다.

정충실의 다른 상품

경성과 도쿄에서 영화를 본다는 것

경성과 도쿄에서 영화를 본다는 것

14,400 (10%)

'경성과 도쿄에서 영화를 본다는 것' 상세페이지 이동

저 : 이와사키 아키라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이와사키 아키라
관심작가 알림신청
Akira Iwasaki,いわさき あきら,岩崎 昶
일본 영화 이론가/평론가 겸 제작자. 일본프롤레타리아영화동맹(프로키노)의 위원장을 지내면서 자본과 국가에 의한 영화 통제를 비판하는 다수의 비평을 발표했다. 『영화와 자본주의(映畵と資本主義)』(1931) 외에도 『영화예술사(映畵芸術史)』(1930), 『영화론(映畵論)』(1936), 『영화의 이론(映畵の理論)』(1956), 『일본영화작가론(日本映畵作家論)』(1958) 등 다수의 평론집을 남겼다.

저 : 주은우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주은우
관심작가 알림신청
주은우는 서울대학교 사회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원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다. 현재 중앙대학교 사회중앙대학교 사회학과 및 동 대학원 협동과정 문화연구학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서울대학교 사회학과에서 박사학위를 받았고, 미국 캔자스대학교 미국학과American Studies에서 박 사후 과정을 연수했다. 저서로 《시각과 현대성》, 《오키나와로 가는 길》(공저) 등이 있고, 옮긴 책으로 《당신의 징후를 즐겨라!》, 《아메리카》, 《프로이트와 비유럽인》 등이 있다.

주은우의 다른 상품

모빌리티 시대 기술과 인간의 공진화

모빌리티 시대 기술과 인간의 공진화

15,300 (10%)

'모빌리티 시대 기술과 인간의 공진화' 상세페이지 이동

현대 사회학 이론

현대 사회학 이론

34,000

'현대 사회학 이론' 상세페이지 이동

당신의 징후를 즐겨라!

당신의 징후를 즐겨라!

12,000

'당신의 징후를 즐겨라!' 상세페이지 이동

저 : 하승우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하승우
관심작가 알림신청
한국영화와 영화이론을 중심으로 연구해왔고, 특히 세계체계의 맥락에서 한국영화의 형세를 살펴보는 것에 관심을 두고 있다. 언젠가 영화이론에 관련된 저서와 1970년대 초중반에 제작된 임권택의 영화에 대해 글을 쓸 계획을 세우고 있다. 《문화/과학》 편집위원이며 2022년부터 한국문화연구학회 학회장을 맡고 있다. 《라캉과 한국영화》(2008), 《한국영화, 세계와 마주치다》(2018), 《자유로운 개인들의 연합을 향하여》(2022) 등을 함께 썼다. 최근에 쓴 글로는 〈‘메드베드킨 집단’과 러시아혁명의 영화적 기억〉 〈어긋난 전쟁의 기억: 〈증언〉〉 〈코로나19 팬데믹 이후의 삶과 생태사회주의〉 〈객체지향 존재론: 밋밋한 존재론인가 대상지향 존재론인가〉 〈좌파 포퓰리즘을 둘러싼 몇 가지 질문들: 이론과 쟁점〉 〈Global Solidarity between Gwangju and Buenos Aires: Good Light, Good Air(2021)〉 등이 있다. 현재 한국예술종합학교 영상원 영상이론과에서 강의와 연구를 하고 있다.

하승우의 다른 상품

비교의 항해술

비교의 항해술

16,650 (10%)

'비교의 항해술' 상세페이지 이동

자유로운 개인들의 연합을 향하여

자유로운 개인들의 연합을 향하여

23,000

'자유로운 개인들의 연합을 향하여' 상세페이지 이동

한국영화, 세계와 마주치다

한국영화, 세계와 마주치다

18,000 (10%)

'한국영화, 세계와 마주치다' 상세페이지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