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 소개(5명)

이전

저 : 김은하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김은하
관심작가 알림신청
강남대학교 초등특수교육과
Eunha Kim, Ph.D. Kangnam University, Dept. of Primary Special Education
강남대학교 특수교육과를 졸업하고 지적장애 특수학교에서 특수교사로 근무하였다. 미국 Long Island University(C.W.Post)에서 Clinical Art Therapy 전공으로 MA 학위를 받았고, 미국 뉴욕 크리드모어 주립정신병원에서 미술치료사 인턴으로, 일산 백병원 소아청소년정신과에서 미술치료사로 재직하였으며, 미국공인미술치료사 자격(ATR)을 취득하였다.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에서 지적장애 전공으로 박사학위를 받았고, 현재 강남대학교 초등특수교육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장애학생의 일반교육과정 접근: 통합학급 수업참여방안> 번역과 <복지와 테크놀로지> 집필에 참여하였으며, 관심 연구 분야는 지적장애학생 교육, 지적장애학생 전환교육, 개인중심계획(Person-Centered Planning), 인성교육, 장애학, 장애아동 미술치료, 교육분야 국제개발협력 및 복지기술(Welfare-Technology)이다.

역 : 박승희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역 : 박승희
관심작가 알림신청
1992년 이래로 이화여자대학교 특수교육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이화여대 교육학과에서 학사학위를 받은 후 도미하여 시라큐스(Syracuse) 대학교의 특수교육 및 재활학과에서 지적장애,특수교육 및 장애학을 공부하며 석사와 박사학위를 받았다. 미국 장애학1세대 교수들을 맨토로 두어 장애의 의료적 모델이 우세한 시절부터 사회학적 관점의 장애 연구의 기초를 쌓았다.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으로 2000년에는 영국 케임브리지 대학교에서 방문교수를, 2008년에는 일본 도쿄가쿠게이 대학교에서 객원교수로 참여하였다. 2003년엔 장애학 고전 중 하나인 “마서즈 비니어드 섬사람들은 수화로 말한다: 장애수용의 사회학”(노라 엔렌 그로스 저)을 한국연구재단 학술명저번역총서 서양편10으로 출판하였는데, 전문가와 더불어 일반대중에게까지 널리 읽히는 책이 되었다. 2013년 이후 국내 대학 최초로 교양과목으로 장애학 입문과목인 ‘장애와 사회’를 개발해 가르치고 있다. 2001년엔 이화여대 평생교육원에 국내 대학 처음으로 발달장애성인을 위한 '발달장애인 지역사회생활 아카데미'(이-아콜라) 전문과정을 개설하여 현재까지 ‘중등이후교육’을 제공하고 있다. 2018-2020년에는 한국특수교육학회 회장으로 봉사하였고, AAIDD(미국 지적장애 및 발달장애학회)의 ‘2022 International Award’를 146번째 연차학술대회에서 수여받았다.

박승희 의 다른 상품

AAIDD 12판 지적장애

AAIDD 12판 지적장애

17,000

'AAIDD 12판 지적장애' 상세페이지 이동

마서즈 비니어드 섬 사람들은 수화로 말한다

마서즈 비니어드 섬 사람들은 수화로 말한다

23,750 (5%)

'마서즈 비니어드 섬 사람들은 수화로 말한다' 상세페이지 이동

역 : 최하영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역 : 최하영
관심작가 알림신청
한국교원대학교 교육학과
Hayoung Choi, Ph.D.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Dept. of Education
이화여자대학교에서 특수교육 전공으로 학사와 석사학위를 받았고 미국 텍사스대학교 오스틴 캠퍼스(University of Texas at Austin)의 특수교육학과에서 자폐 및 발달장애 전공으로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서울 공립 초등학교에서 특수학급 교사로 근무하였으며, 현재 한국교원대학교 교육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2011 특수학교 기본교육과정 중·고등학교 미술 교과용 도서 편찬 책임을 맡은 바 있으며, 국립현대미술관과 특수아동을 위한 미술관교육 활성화 방안 연구, 한국과학창의재단과 지적장애학생을 위한 생활중심 과학프로그램 연구를 수행한 바 있다. 발달장애아동의 의사소통과 문제행동중재, 교원양성대학에서 교사교육에 관심을 가지고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번역서로는 <지적장애학생의 중등이후교육: 대학을 생각하다>, <특수아 상담>, <발달장애아동의 문제행동 중재> 등이 있다.

역 : 박은영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역 : 박은영
관심작가 알림신청
전주대학교 중등특수교육과
Eun-Young Park, Ph.D. Jeonju University, Dept. of Secondary Special Education
연세대학교에서 재활학으로 석사학위를 받았으며, 공주대학교에서 특수교육학을 전공하고 교육학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한국장애인고용공단에서 지적장애, 자폐범주성 장애, 중도중복장애인 등을 대상으로 하는 직업교육 프로그램 담당 직업훈련교사로 근무하였다. 현재는 전주대학교 중등특수교육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으며, 특수교육학, 지적장애아교육, 지체장애교육, 전환교육, 장애아 진단 및 평가 등의 과목을 가르치고 있다. 2015 특수교육 교육과정 중 진로와 직업 교과 교육과정 개발에 참여하였으며, 진로와 직업 교과 국정도서 개발에 참여하였다.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뇌성마비아동의 일상생활활동, 일상생활 참여에 미치는 요인 등에 대한 과제를 수행하였다.
장애아동 가족 및 아동의 삶의 질, 장애인의 빈곤과 정보격차 문제 등의 문제에 대해 연구하였으며, 평가 도구의 심리측정학적 특성을 알아보는 연구를 통해 장애인의 삶의 질 및 심리 등을 타당하게 평가하는 방법을 제시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