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 소개(2명)

이전

저 : 유득공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유득공
관심작가 알림신청
柳得恭
자는 혜풍 또는 혜보이고, 호는 영재이다. 1748년에 서얼의 신분으로 태어나 1807년 세상을 떠났다. 정조 때 규장각 검서관을 시작으로 20여 년간의 관직 생활을 거쳐 만년에 정3품까지 올랐다. 북학파의 한 사람으로 박지원, 이덕무, 박제가 등과 교유하였고 중국 이외에 많은 나라에 관심을 기울이며 폭넒은 역사인식을 가졌다. 특히 조선의 현실을 극복하고자 북방의 역사에 많은 관심을 기울인 끝에 『발해고』와 『사군지』를 저술하였다. 이외에도 『영재집』, 『이십일도회고시』, 『동시맹』, 『난양록』, 『경도잡지』 등의 저술이 있다.

유득공의 다른 상품

고운당필기 (교점서)

고운당필기 (교점서)

20,000

'고운당필기 (교점서)' 상세페이지 이동

고운당필기 (번역서)

고운당필기 (번역서)

30,000

'고운당필기 (번역서)' 상세페이지 이동

발해고

발해고

13,500 (10%)

'발해고' 상세페이지 이동

영재 유득공의 영재집 1

영재 유득공의 영재집 1

30,000

'영재 유득공의 영재집 1' 상세페이지 이동

역 : 김종복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역 : 김종복
관심작가 알림신청
1967년에 태어났다. 성균관대학교 사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석사와 박사 학위를 취득하였다. 한림대학교 태동고전연구소에서 한문 연수과정을 수료하였고,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연구원과 성균관대학교 박물관 학예사 등을 거쳐, 현재 안동대학교 사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발해사를 중심으로 한국 고대사 및 사학사를 연구하고 있다. 특히 실학자 유득공의 저서『발해고』수정본이 지닌 역사적 가치에 주목하여 수정본 연구에 매진하였다. 2009년에 청명문화재단의 ‘번역모임 지원사업’에 선정된 이후 초고본과 7종의 수정본 필사본 및 당시 유득공이 참고한 원사료들을 모두 대조하여 교감하는 작업을 중점적으로 진행하였다. 그 오랜 연구의 결과물이 바로『정본 발해고』이다. 저서로 『발해정치외교사』(2009)가 있고, 논문으로「수정본『발해고』의 내용과 집필 시기」(2010), 「완충지대로서의 요동을 통해 본 신라·발해·당의 관계」(2017), 「한국 근대역사학의 발해사 인식-남북국론을 중심으로」(2017) 등이 있다.

김종복의 다른 상품

신라는 정말 삼국을 통일했을까

신라는 정말 삼국을 통일했을까

20,900 (5%)

'신라는 정말 삼국을 통일했을까' 상세페이지 이동

동아시아 각국의 타자인식과 자기인식의 담론 모색

동아시아 각국의 타자인식과 자기인식의 담론 모색

30,000

'동아시아 각국의 타자인식과 자기인식의 담론 모색' 상세페이지 이동

동아시아 지역 연구와 탈식민 운동

동아시아 지역 연구와 탈식민 운동

28,000

'동아시아 지역 연구와 탈식민 운동' 상세페이지 이동

절반의 한국사

절반의 한국사

14,850 (10%)

'절반의 한국사' 상세페이지 이동

한국 고대사 관련 동아시아 사료의 연대기적 집성 원문 (하)

한국 고대사 관련 동아시아 사료의 연대기적 집성 원문 (하)

18,000 (10%)

'한국 고대사 관련 동아시아 사료의 연대기적 집성 원문 (하)' 상세페이지 이동

한국 고대사 관련 동아시아 사료의 연대기적 집성 원문 (중)

한국 고대사 관련 동아시아 사료의 연대기적 집성 원문 (중)

22,500 (10%)

'한국 고대사 관련 동아시아 사료의 연대기적 집성 원문 (중)' 상세페이지 이동

한국 고대사 관련 동아시아 사료의 연대기적 집성 원문 (상)

한국 고대사 관련 동아시아 사료의 연대기적 집성 원문 (상)

27,000 (10%)

'한국 고대사 관련 동아시아 사료의 연대기적 집성 원문 (상)' 상세페이지 이동

한국 고대사 관련 동아시아 사료의 연대기적 집성 번역문 (하)

한국 고대사 관련 동아시아 사료의 연대기적 집성 번역문 (하)

31,500 (10%)

'한국 고대사 관련 동아시아 사료의 연대기적 집성 번역문 (하)' 상세페이지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