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 소개(2명)

이전

저 : 하영선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하영선
관심작가 알림신청
HA, YOUNG-SUN,河英善
서울대학교 명예교수이자 동아시아연구원 이사장. 남북정상회담 준비위원회 원로자문회의 위원과 대통령국가안보자문단을 역임했다. 서울대학교 외교학과를 졸업하고, 워싱턴대학교에서 국제정치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서울대학교 정치외교학부 외교학 전공 교수, 국제문제연구소장, 미국학연구소장, 한국평화학회 회장을 역임했고 2009년‘ 서울대 교육상’을 수상했다. 국제정치에 관한 20여 권의 책을 출간했으며, 최근 저서로는 『하영선 국제정치 칼럼: 1991-2011』(2012), 『역사 속의 젊은 그들: 18세기 북학파에서 21세기 복합파까지』(2011) 등이, 편저로는 『한국 사회과학 개념사: 조공에서 정보화까지』(2018, 공편), 『신흥 무대의 미중 경쟁: 정보세계정치학의 시각』(2018, 공편) 등이 있다.

하영선의 다른 상품

2022 신정부 외교정책 제언

2022 신정부 외교정책 제언

16,000

'2022 신정부 외교정책 제언' 상세페이지 이동

BTS의 글로벌 매력 이야기

BTS의 글로벌 매력 이야기

20,000

'BTS의 글로벌 매력 이야기' 상세페이지 이동

사랑의 세계정치

사랑의 세계정치

28,000

'사랑의 세계정치' 상세페이지 이동

한국 외교사 바로보기

한국 외교사 바로보기

23,000

'한국 외교사 바로보기' 상세페이지 이동

사랑의 세계정치

사랑의 세계정치

43,000

'사랑의 세계정치' 상세페이지 이동

한국 외교사 바로보기

한국 외교사 바로보기

32,000

'한국 외교사 바로보기' 상세페이지 이동

복합세계정치론

복합세계정치론

24,000

'복합세계정치론' 상세페이지 이동

저 : 손열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손열
관심작가 알림신청
EAI 원장, 연세대학교 국제학대학원 교수. 시카고대학교 정치학 박사. 연세대학교 국제학대학원 원장과 언더우드국제학부장, 지속가능발전연구원장, 국제학연구소장 등을 역임하였고, 도쿄대학 특임초빙교수, 노스캐롤라이나대학(채플힐), 캘리포니아대학(버클리) 방문학자를 거쳤다. 한국국제정치학회 회장(2019)과 현대일본학회장(2012)을 지냈다. Fullbright, MacArthur, Japan Foundation, 와세다대 고등연구원 시니어 펠로우를 지내고, 외교부, 국립외교원, 동북아역사재단, 한국국제교류재단 자문위원, 동북아시대 위원회 전문위원 등을 역임했다. 전공분야는 일본외교, 국제정치경제, 동아시아국제정치, 공공외교. 최근 저서로는 Japan and Asia's Contested Order (2019, with T. J. Pempel), Understanding Public Diplomacy in East Asia (2016, with Jan Melissen), 「South Korea under US-China Rivalry: the Dynamics of the Economic-Security Nexus in the Trade Policymaking,」 (The Pacific Review 2019(32):6), 『한국의 중견국외교』(2017, 공편) 등이 있다.

손열의 다른 상품

미중 경제전쟁과 한국

미중 경제전쟁과 한국

25,000

'미중 경제전쟁과 한국' 상세페이지 이동

여론으로 보는 한일관계 2013-2023

여론으로 보는 한일관계 2013-2023

24,000

'여론으로 보는 한일관계 2013-2023' 상세페이지 이동

위기 이후 한국의 선택

위기 이후 한국의 선택

32,000

'위기 이후 한국의 선택' 상세페이지 이동

2022 신정부 외교정책 제언

2022 신정부 외교정책 제언

16,000

'2022 신정부 외교정책 제언' 상세페이지 이동

2022 대통령의 성공조건

2022 대통령의 성공조건

16,000

'2022 대통령의 성공조건' 상세페이지 이동

BTS의 글로벌 매력 이야기

BTS의 글로벌 매력 이야기

20,000

'BTS의 글로벌 매력 이야기' 상세페이지 이동

위기 이후 한국의 선택

위기 이후 한국의 선택

42,000

'위기 이후 한국의 선택' 상세페이지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