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 소개(5명)

이전

저 : 베르톨트 브레히트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베르톨트 브레히트
관심작가 알림신청
Bertolt Brecht
1898년 2월 10일 독일 아우구스부르크(Augsburg)에서 종이 공장에서 일하던 아버지 베르톨트 프리드리히 브레히트(Berthold Friedrich Brecht)와 브레칭(Brezing)에서 태어난 어머니 조피(Sofie) 사이에서 태어났다. 초등학교를 거쳐 1908년 아우크스부르크 김나지움에 입학한 그는 이미 15세 때부터 시 작업을 시작해 학생 잡지 [추수]를 발행하는 등 친구들과 문학 동아리를 만들었고 이 활동을 통해 그의 문체는 도발적이 된다. 이때 같이 활동하던 판첼트, 카스파르 네어, 뮌스테러 등과는 이후에도 지속적으로 교류했다. 특히 카스파르 네어는 망명에서 귀국한 브레히트의 무대를 만들었다. 1928년에는 [서푼짜리 오페라]가 대대적인 성공을 거둠으로써 세계적인 작가로 명성을 떨쳤다. 나치 집권기인 1933년 2월 28일 망명길에 오른 뒤, 덴마크, 스웨덴, 핀란드 그리고 미국을 전전하면서 15년간 독일 외부에서 활동했다. 1948년 동베를린으로 귀환한 뒤 [억척어멈과 그의 자식들](1949)을 공연하여 과거의 명성을 되찾았다. 부인 헬레네 바이겔과 함께 베를린 앙상블을 창단하여 연극 작업에 몰두하다가 1956년 8월 14일 베를린에서 사망했다.

주요 작품으로 『한밤의 북소리』, 『남자는 남자다』, 『서푼짜리 오페라』, 『마하고니 시의 흥망』, 『어머니』, 『제삼제국의 공포와 참상』, 『억척어멈과 그 자식들』, 『사천의 착한 사람』, 『갈릴레이의 생애』, 『푼틸라 나리와 그의 하인 마티』, 『코카서스의 분필 원』 등이 있다.

저 : 루이 아라공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루이 아라공
관심작가 알림신청
Louis Aragon
1897년 태어났고 출생지는 분명치 않다. 부모의 비합법적 혼인 관계로 인해 외조모를 법적 어머니로 하여 외가에서 자랐다. 파리의 명문고를 거쳐 가족의 바람에 따라 의대에 진학했으나 작가 생활을 겸하게 되면서 의사의 길을 포기했다. 1920년대 ‘아름다운 시대’에 청년기를 보내면서 작품을 발표하기 시작, 기성 권위를 타파하고 현대성의 새로운 형식을 창안하려 한 초현실주의의 핵심 인물로 활동했다. 양차 세계대전에 모두 참전했고 나치의 프랑스 점령기에는 아내와 함께 레지스탕스 운동에 투신했으며, 평생 프랑스 공산당원으로 활동하면서 문학과 현실 양면에서 격동하는 세계의 전위로서 호흡을 함께했다. 태생에 얽힌 복잡한 가정사, 청년기에 받은 폭발적인 문화운동의 세례, 참전 경험과 레지스탕스 활동, 사회주의혁명기 공산당원으로서의 삶을 모두 문학적 원료로 삼아 현실주의를 포기하지 않는 초현실주의, 혁명과 시의 결합을 추구했다. 그의 시 여러편이 샹송으로 만들어져 널리 알려지기도 했다. 1918년 3월 시와 평론을 발표한 이래 시집 『축제의 불』 『큰 즐거움』 『비통』 『그레뱅 박물관』 『프랑스의 디아나』 『새로운 비통』 『눈과 기억』 『미완성 로망』 『엘자에 미친 남자』 『침실』 등을, 첫 소설 『아니세 또는 파노라마, 로망』을 비롯해 19세기 말~20세기 초 파리를 그린 ‘현실 세계’ 연작 『바젤의 종』 『아름다운 동네』 『승합차 위의 여행자들』 『오렐리앵』 『공산주의자들』과 『신성한 주간』 『죽임』 『블랑슈 또는 망각』 『앙리 마티스, 로망』 『극장/소설』 『참된 거짓말』 등의 소설을 출간했고 문체론, 시론, 사회주의 문학론, 에세이 등 다양한 책을 썼다. 1936년 르노도상을, 1957년 국제 레닌 평화상을 수상했고 1982년 85세의 나이로 작고했다.

저 : 하인리히 하이네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하인리히 하이네
관심작가 알림신청
Heinrich Heine
독일의 시인이자 에세이 작가, 비평가이다. 그의 시대에도, 그리고 현재에도 그는 유럽에서 정치적 시인으로 잘 알려져 있다. 유년 시절 프랑스의 진보적 혁명 정신에 영향을 받은 하이네는 자유와 평등의 원리에 헌신했고, 모든 억압적이고 반자유주의적인 경향들을 혐오했다. 하이네는 권력을 가지고 손쉬운 방법으로 착취를 하며 이를 진보라는 이름으로 정당화하는 문제들을 외면하려는 유혹에 예술가들이 굴복해서는 안 된다고 생각했다. 하이네는 자신의 삶과 저작 속에서 자유와 평등, 연대라는 자유주의적 이상과 모든 인민이 존엄성을 가지고 자신의 삶을 이끌어나갈 수 있는 사회 질서를 요구했던, 억압받는 인민들의 열렬한 옹호자였다. 1831년 하이네는 파리로 이주했지만, 1835년 프러시아 정부와 독일 연방의회가 그를 비롯한 ‘청년독일파’의 저작에 대해 출판 금지 명령을 공표하자 독일로 돌아가지 못하고 1856년 파리에서 생을 마감했다. 하이네는 언제나 논쟁적인 인물이었지만 죽을 때까지 독일 대중들을 매료시켰던 독일의 위대한 작가이자 지성이었다.

주요 작품으로는 시집 『노래의 책』, 『신시집』, 『로만체로』와 서사시 『독일, 어느 겨울 동화』, 『아타 트롤, 한여름 밤의 꿈』, 산문집 『여행 화첩』, 『프랑스의 상황』, 『낭만파』, 『독일의 종교와 철학의 역사에 대하여』, 『정령』, 『루테치아』 등이 있다.

저 : 블라디미르 블라디미로비치 마야콥스키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블라디미르 블라디미로비치 마야콥스키
관심작가 알림신청
Vladimir Vladimirovich Mayakovskii
러시아 혁명과 소비에트 초기의 지도적 시인이다. 15세 때 러시아 사회민주주의 노동당에 입당했으며 전제 정치에 반대하는 반국가 활동으로 여러 번 감옥에 드나들었다. 1909년 독방에 수감되었을 때부터 시를 쓰기 시작했는데 그의 시는 군중을 대상으로 한 연설조로 눈에 띄게 자기주장이 강하고 도전적인 형식과 내용을 지녔다. 1914~1916년에 두 편의 중요한 장시「바지를 입은 구름」,「척추의 플루트」를 완성했는데 두 작품 모두 짝사랑의 비극과 세상에 대한 시인의 불만을 표현하고 있다.

역 : 김남주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역 : 김남주
관심작가 알림신청
1945년 전남 해남 출생
1968년 전남대 영문과 입학
1974년 『창작과 비평』 여름호에「잿더미」등 7편의 시를 발표하면서 문단에 나옴
1979~1988년 남민전 사건으로 구속되어 옥중 생활
1991년 제9회 신동엽창작기금 수상
1992년 제6회 단재상 문학 부문 수상
1993년 제3회 윤상원문화상 수상
1994년 2월 13일 별세, 제4회 민족예술상 수상
2014년 제3회 파주북어워드 특별상 수상

저서로 제1시집 『진혼가』, 제2시집 『나의 칼 나의 피』, 제3시집 『조국은 하나다』, 제4시집 『솔직히 말하자』, 제5시집 『사상의 거처』, 제6시집 『이 좋은 세상에』 그리고 유고 시집 『나와 함께 모든 노래가 사라진다면』이 있으며, 시집 『농부의 밤』은 일어판으로 출간되었다. 옥중 서한집으로 『산이라면 넘어주고 강이라면 건너주고』, 시 선집으로 『사랑의 무기』, 『학살』, 『함께 가자 우리 이 길을』, 『옛 마을을 지나며』, 『꽃 속에 피가 흐른다』, 시 전집으로 『저 창살에 햇살이』 1~2권, 『김남주 시전집』, 산문집으로 『시와 혁명』, 『불씨 하나가 광야를 태우리라』가 있다. 번역서로 『자기의 땅에서 유배당한 자들』, 『아랍 민중과 문학: 팔레스티나의 비극』, 『아타 트롤』, 『은박지에 새긴 사랑』, 『아침저녁으로 읽기 위하여』가 있으며, 평전으로 『김남주 평전』(강대석 지음, 2004), 『김남주 평전』(김상웅 지음, 2016)이 있다. 추모 21주기를 맞아 『김남주 산문 전집』이 출간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