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티스트 소개(4명)

이전

작곡 : Antonin Dvorak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작곡 : Antonin Dvorak
관심작가 알림신청
안토닌 드보르작
낭만주의 시대에 활동한 체코의 작곡가로, 관현악과 실내악에서 모국의 보헤미안적인 민속 음악적 작품성 풍색과 선율을 표현하였다. 베드르지흐 스메타나에 의하여 확립된 체코 민족주의 음악을 세계적으로 만든 음악가이다.

드보르작은 오스트리아 제국 프라하(현재는 체코 공화국) 근처 넬라호제베스에서 태어나서, 생애 대부분을 그곳에서 보냈다.

드보르작은 즈로니체에 있는 외삼촌과 리마 선생이 부친을 설득한 보람으로 1857년 16세에 프라하의 오르간학교에 입학하여 정식으로 음악가가 되는 길을 걷게 되었다. 프라하에서는 오르간 학교에서의 교육보다도 학우이며 훗날의 지휘자 칼레르 벤달과 친교를 맺고, 재학 중부터 오케스트라에 가담하여 바이올린을 켜서 수확을 올렸다. 특히 그 오케스트라가 당시 명성을 얻고 있던 바그너를 영입하고 있던 관계도 있어 드보르작은 퍽 오래도록 바그너의 영향을 받게 된다. 그러나 드보르작은 바그너식의 오페라나 음악극의 체코판을 만들려고 한 것이 아니라 바그너의 멜로디나, 특히 화성의 특징을 자기 나름대로 소화하여 받아들였다. 드보르작은 꽤 노력형이어서 학생시절부터 친척집에 기숙하면서 침식을 잊고 공부하였다.

졸업 후에는 프라하의 일류 호텔이나 레스토랑에 출연하고 있던 갈레루 코므자크 악단에 가담하여 비올라를 켜게 되었으나 1862년에 체코인을 위한 국민극장이 건설될 때까지의 임시극장이 개관되어 악단과 더불어 이 극장 전속 오케스트라의 핵심이 되어 약 10년간 근속하였다. 1866년부터 스메타나가 이 극장의 오페라 감독에 취임, 자작의 오페라 등을 지휘하게 되었으므로 바그너, 슈베르트나 베토벤의 영향과 함께 스메타나의 민족주의적인 음악사상이 그의 작품을 채색하게 되었다. 드보르작은 오케스트라 동료들로부터 작곡 같은 것을 해서 무엇하느냐고 핀잔을 받았으나 묵묵히 작곡을 하였으며 특히 1861년(20세 때)부터 실내악의 대곡(작품 1의 현악 5중주곡)을, 또 1865년부터 교향곡(제1과 제2를 이해에)을 작곡한 것은 당시의 슬라브계의 민족음악의 작곡가들이 스메타나를 비롯하여 대체로 이와 같은 순음악보다도 표제 음악이나 오페라에 끌려 있던 것과 대조적이어서 주목할 만하다. 드보르작의 이러한 순음악에 대한 열정은 죽기 약 9년 전인 1895년까지 계속된다. 후기 낭만적 음악의 화성조직이나 색채적인 오케스트라의 사용법이라든가 그러한 개개의 기법에 이끌렸어도 고전적인 음악형식을 저버리려고 하는 그 무렵의 작곡계의 일반적인 경향에는 반대였고 새로운 고전주의를 목표로 한 점에서 독일의 대작곡가 브람스의 생각과 일맥상통하는 바가 있어 사실 브람스에게는 매우 총애를 받아 드보르작의 작품이 1877년 이후 베를린의 지므로크 음악출판사를 통해 출판되었고, 체코 이외의 나라에서 연주하게 된 것도 브람스의 소개로 된 것이었다.

브람스를 비롯하여 지휘자이며 피아니스트인 한스 폰 뷜로, 지휘자인 한스 리히터, 당시 빈에서 절대적인 영향력을 발휘한 평론가 한슬리크 등 독일, 오스트리아의 저명한 음악인 지위를 얻게 된 것도 드보르작의 명성과 작품을 세계적으로 만드는 데 큰 힘이 되었다. 독일, 오스트리아뿐만 아니라 1884년 말 영국에도 9번 방문하여 영국을 위해 <유령의 신부> 및 <교향곡 제7번 D단조>를 쓰고 케임브리지 대학에서 명예 음악 박사 학위를 받았다. 그러나 드보르작은 국제인으로서 사는 것을 바라지 않고 끝까지 체코인으로 살아갔다. 빈으로 이주하도록 재삼 권유된 것을 거절한 것도 그의 신념을 보여주는 것으로서, 빈 정부에 대해 독립투쟁을 밀고 있던 동포들을 버리고 자신만 빈에서 안일하게 생활을 한다는 것은 생각도 하지 않았다.

1890년부터 프라하 음악원에서 작곡과 그 밖의 것을 가르치고 있었으나, 1892년의 51세 때 뉴욕의 국민음악원의 원장으로 초빙되었다. 교향곡 제9번 <신세계로부터>, 현악 4중주곡 <아메리카> 등 오늘날 가장 많이 연주되고 있는 드보르작의 작품이 미국에 머무르는 동안에 작곡되었다. 그러나 1894년의 여름 휴가로 귀국(이 때 피아노 독주곡, 8개의 <유모레스크>를 작곡했다. 그 중에서 7번째 곡이 바이올린으로 편곡되어 유명해지자 다시 미국으로 가기가 싫어졌지만 일단 돌아가서 결국 다음해 봄 많은 사람들이 좀 더 오래도록 미국에 머물러 있을 것을 바라는데도 불구하고 계약을 중도파기하고 귀국했다. 미국에 머무는 동안에는 슬라브풍의 음악에 흑인과 인디언의 멜로디를 조화하며 작곡을 한 것으로 알려져있다.

귀국 후 만년의 약 10년간은 일반 민족주의 음악의 작곡가와 같이 오페라와 교향시에 주력하여 <루살카>(1901 초연)와 같은 귀여운 오페라도 만들었다. 그러나 그의 창작력이 그 정상에 달한 것은 이 이전, 특히 도미 직전인 수년간으로 추측된다. 피아노 3중주곡 <도무키>(1890-1891)가 그 좋은 한 예이듯이 종래의 독일류의 음악형식에 구속되지 않은, 슬라브인의 변화와 대조를 좋아하는 민족성에 한층 잘 맞는 새로운 형식적 질서를 낳은 것도 그 무렵이었다. 1901년엔 빈의 종신 상원의원으로 귀족이 되었고, 같은 해 프라하 음악원의 원장이 되기도 한, 독립 전의 체코의 문화인으로서는 최고의 영예를 받은 뒤 1904년 뇌일혈로 사망, 국장으로 모셔졌다.

드보르작은 이른바 귀재형의 음악가는 아니며 굳이 말하자면 평범 속에 위대성이 있는 사람이라는 평이 있다.

Antonin Dvorak의 다른 상품

Tomas Brauner 드보르작: 슬라브 춤곡(무곡) 전곡 op.46, 72 (Dvorak: Slavonic Dances op.46, 72)

Tomas Brauner 드보르작: 슬라브 춤곡(무곡) 전곡 op.46, 72 (Dvorak: Slavonic Dances op.46, 72)

19,900 (19%)

'Tomas Brauner 드보르작: 슬라브 춤곡(무곡) 전곡 op.46, 72 (Dvorak: Slavonic Dances op.46, 72)' 상세페이지 이동

Tomas Brauner 프라하를 위한 음악 - 드보르작, 오스트르칠, 스메타나, 수크 (Music for Prague - Smetana, Dvorak, Suk, Ostrcil)

Tomas Brauner 프라하를 위한 음악 - 드보르작, 오스트르칠, 스메타나, 수크 (Music for Prague - Smetana, Dvorak, Suk, Ostrcil)

19,900 (19%)

'Tomas Brauner 프라하를 위한 음악 - 드보르작, 오스트르칠, 스메타나, 수크 (Music for Prague - Smetana, Dvorak, Suk, Ostrcil)' 상세페이지 이동

Jacqueline Du Pre 자클린 뒤프레 연주회 실황 (1965-1969) - 드보르작, 슈만 협주곡, 베토벤 소나타 5번, 바흐 소나타 G단조 외 (Live Concert Performances 1965-1969)

Jacqueline Du Pre 자클린 뒤프레 연주회 실황 (1965-1969) - 드보르작, 슈만 협주곡, 베토벤 소나타 5번, 바흐 소나타 G단조 외 (Live Concert Performances 1965-1969)

21,300 (19%)

'Jacqueline Du Pre 자클린 뒤프레 연주회 실황 (1965-1969) - 드보르작, 슈만 협주곡, 베토벤 소나타 5번, 바흐 소나타 G단조 외 (Live Concert Performances 1965-1969)' 상세페이지 이동

Asmik Grigorian 드보르작: 오페라 '루살카' (Dvorak: Rusalka)

Asmik Grigorian 드보르작: 오페라 '루살카' (Dvorak: Rusalka)

42,900 (19%)

'Asmik Grigorian 드보르작: 오페라 '루살카' (Dvorak: Rusalka)' 상세페이지 이동

Asmik Grigorian 드보르작: 오페라 '루살카' (Dvorak: Rusalka)

Asmik Grigorian 드보르작: 오페라 '루살카' (Dvorak: Rusalka)

39,000 (19%)

'Asmik Grigorian 드보르작: 오페라 '루살카' (Dvorak: Rusalka)' 상세페이지 이동

Simon-Pierre Bestion 스카를라티 / 드보르작: 스타바트 마테르 (Scarlatti / Dvo?ak: Stabat Mater)

Simon-Pierre Bestion 스카를라티 / 드보르작: 스타바트 마테르 (Scarlatti / Dvo?ak: Stabat Mater)

29,900 (19%)

'Simon-Pierre Bestion 스카를라티 / 드보르작: 스타바트 마테르 (Scarlatti / Dvo?ak: Stabat Mater)' 상세페이지 이동

Ruggiero Ricci / Rudolf Firkusny 드보르작: 바이올린, 피아노 협주곡 등 (Dvorak: Violin Concerto, Piano Concerto)

Ruggiero Ricci / Rudolf Firkusny 드보르작: 바이올린, 피아노 협주곡 등 (Dvorak: Violin Concerto, Piano Concerto)

19,500 (19%)

'Ruggiero Ricci / Rudolf Firkusny 드보르작: 바이올린, 피아노 협주곡 등 (Dvorak: Violin Concerto, Piano Concerto)' 상세페이지 이동

Zara Nelsova 드보르작: 첼로 협주곡 - 자라 넬소바 (Dvorak: Cello Concerto, Silent Woods)

Zara Nelsova 드보르작: 첼로 협주곡 - 자라 넬소바 (Dvorak: Cello Concerto, Silent Woods)

19,500 (19%)

'Zara Nelsova 드보르작: 첼로 협주곡 - 자라 넬소바 (Dvorak: Cello Concerto, Silent Woods)' 상세페이지 이동

작곡 : Felix Mendelssohn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작곡 : Felix Mendelssohn
관심작가 알림신청
펠릭스 멘델스존,Felix Mendelssohn-Bartholdy
독일의 초기 낭만파 시대의 작곡가, 피아니스트, 오르가니스트, 지휘자로, 영어권 국가에서는 흔히 펠릭스 멘델스존이라고 한다.

펠릭스 멘델스존은 부유한 시민층 계급의 명망이 있는 유대인 가문에서 태어났다. 유명한 철학자인 모제스 멘델스존(Moses Mendelssohn)은 그의 할아버지다. 그의 아버지인 아브라함 멘델스존 바르톨디(Abraham Mendelssohn Bartholdy)는 1804년에 자신의 맏형 요제프의 은행에서 일하게 된다. 어머니인 레아 멘델스존 바르톨디(Lea Mendelssohn Bartholdy)는 살로몬의 제조업 가문 출신이다.

아브라함과 레아는 1804년에 결혼하여 베를린에서 함부르크로 거처를 옮긴다. 1805년에 태어난 펠릭스 멘델스존의 누나인 파니 멘델스존은 음악적 재능을 가졌다고 한다. 다른 남매로는 1811년생인 레베카 디리흘레트(Rebecca Dirichlet), 1812년생인 파울 멘델스존(Paul)이 있다. 아브라함 멘델스존의 모든 자녀들은 1816년 3월 21일에 개신교 목사로부터 개신교의 가정 세례를 받았다. 여기서 바로 펠릭스는 야코프 루트비히라는 세례명을 받게 된다.

1844년 여름에 있었던 멘델스존의 8번째 영국 방문에서 그는 런던에서 다섯 개의 필 하모닉 콘서트를 진행했으며 다음과 같이 썼다. "이 계절은 이전과 같았습니다. 3주 전에 매일 약속이 채워졌고 나머지 2개월 동안 나는 더 많은 음악을 듣게되었습니다." (레베카 멘델스존 바르 톨디에게 보낸 편지, 소덴, 1844년 7월 22일). 계속되는 방문에서 멘델스존은 빅토리아 여왕과 남편 앨버트 왕자를 만났는데, 그는 자신의 음악을 크게 경외했던 작곡가였다.

멘델스존의 오라토리오 엘리야는 버밍엄 트리엔날레 뮤직 페스티벌(Birmingham Triennial Music Festival)에 의해 초대받아 1846년 8월 26일 버밍엄 타운 홀(Town Hall)에서 초연되었다. 그것은 영국에서 그의 시간 동안 많은 멘델스존의 작품을 저술하고 번역한 윌리엄 바돌로매에 의해 영어로 번역된 독일어 텍스트로 구성되었다.

1847년 영국을 마지막으로 방문한 멘델스존은 베토벤의 피아노 협주곡 4번 솔로 연주자였으며, 오케스트라와 협연하여 스코틀랜드 교향곡을 연주했다.

멘델스존은 인생의 마지막 몇 년 동안 신경계 문제와 과로로 인해 건강이 악화되어 곤란을 겪었다. 잉글랜드로의 생애 마지막 여행은 그를 지치고 병들게 했고 1847년 5월 14일 친누나 파니의 죽음으로 정신적 고통이 가중되었다. 6개월 후인 11월 4일 멘델스존은 뇌졸중으로 라이프치히에서 사망했다.

그의 일생은 실로 작곡과 연주의 연속이었다. 그는 슈베르트와 같은 생활의 고통이 없이 비상한 재능을 충분히 발휘할 수 있었는데, 그것이 작품상에 나타나, 명쾌하고도 아름다운 음악이 되었다. 그는 색채적이며 우아한 낭만적인 작품을 많이 남겼는데, 그의 바이올린 협주곡은 베토벤·브람스의 곡과 함께 3대 바이올린 협주곡으로 손꼽힌다. 그의 유명한 작품은 바흐의 고전 음악 연구에서 배워 얻은 바가 많고, 바흐를 세상에 소개한 공적은 실로 크다. 그는 낭만파의 선구자로, 신고전파의 길을 지시한 것으로서, 음악 사상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

Felix Mendelssohn의 다른 상품

Pina Carmirelli 피나 카르미렐리 연주회 실황 (1964-1971) - 베토벤, 멘델스존, 모차르트, 쇼스타코비치 협주곡 (Concert Tours 1964-1971)

Pina Carmirelli 피나 카르미렐리 연주회 실황 (1964-1971) - 베토벤, 멘델스존, 모차르트, 쇼스타코비치 협주곡 (Concert Tours 1964-1971)

21,300 (19%)

'Pina Carmirelli 피나 카르미렐리 연주회 실황 (1964-1971) - 베토벤, 멘델스존, 모차르트, 쇼스타코비치 협주곡 (Concert Tours 1964-1971)' 상세페이지 이동

Johanna Martzy 베토벤: 바이올린 소나타 8번, 멘델스존: 바이올린 협주곡, 모차르트: 바이올린 협주곡 4번 (Live Concert Performances)

Johanna Martzy 베토벤: 바이올린 소나타 8번, 멘델스존: 바이올린 협주곡, 모차르트: 바이올린 협주곡 4번 (Live Concert Performances)

15,700 (19%)

'Johanna Martzy 베토벤: 바이올린 소나타 8번, 멘델스존: 바이올린 협주곡, 모차르트: 바이올린 협주곡 4번 (Live Concert Performances)' 상세페이지 이동

Artemis Quartet 아르테미스 사중주단 워너 레이블 녹음 전집 (The Complete Erato Recordings 1996-2018)

Artemis Quartet 아르테미스 사중주단 워너 레이블 녹음 전집 (The Complete Erato Recordings 1996-2018)

116,400 (19%)

'Artemis Quartet 아르테미스 사중주단 워너 레이블 녹음 전집 (The Complete Erato Recordings 1996-2018)' 상세페이지 이동

Arabella Steinbacher 멘델스존: 바이올린 협주곡 Op. 64 / 차이코프스키: 바이올린 협주곡 Op. 35 (Mendelssohn & Tchaikovsky: Violin Concertos)

Arabella Steinbacher 멘델스존: 바이올린 협주곡 Op. 64 / 차이코프스키: 바이올린 협주곡 Op. 35 (Mendelssohn & Tchaikovsky: Violin Concertos)

23,900 (19%)

'Arabella Steinbacher 멘델스존: 바이올린 협주곡 Op. 64 / 차이코프스키: 바이올린 협주곡 Op. 35 (Mendelssohn & Tchaikovsky: Violin Concertos)' 상세페이지 이동

Igor Levit 멘델스존: 무언가 (Mendelssohn: Lieder Ohne Worte)

Igor Levit 멘델스존: 무언가 (Mendelssohn: Lieder Ohne Worte)

18,600 (19%)

'Igor Levit 멘델스존: 무언가 (Mendelssohn: Lieder Ohne Worte)' 상세페이지 이동

Itzhak Perlman 멘델스존 / 브루흐: 바이올린 협주곡 (Mendelssohn & Bruch: Violin Concertos) [LP]

Itzhak Perlman 멘델스존 / 브루흐: 바이올린 협주곡 (Mendelssohn & Bruch: Violin Concertos) [LP]

32,200 (19%)

'Itzhak Perlman 멘델스존 / 브루흐: 바이올린 협주곡 (Mendelssohn & Bruch: Violin Concertos) [LP]' 상세페이지 이동

Sarah Beth Briggs 모차르트: 뒤포르 변주곡, 베토벤: '신이여 국왕을 보호하소서' 변주곡, 자작 주제 변주곡, 브람스: 슈만 변주곡 외 (Variations - Mozart, Beethoven, Mendelssohn, Brahms)

Sarah Beth Briggs 모차르트: 뒤포르 변주곡, 베토벤: '신이여 국왕을 보호하소서' 변주곡, 자작 주제 변주곡, 브람스: 슈만 변주곡 외 (Variations - Mozart, Beethoven, Mendelssohn, Brahms)

18,100 (19%)

'Sarah Beth Briggs 모차르트: 뒤포르 변주곡, 베토벤: '신이여 국왕을 보호하소서' 변주곡, 자작 주제 변주곡, 브람스: 슈만 변주곡 외 (Variations - Mozart, Beethoven, Mendelssohn, Brahms)' 상세페이지 이동

Benjamin Goodson 라인베르거 & 멘델스존: 합창 작품집 (Rheinberger & Mendelssohn Choral Works)

Benjamin Goodson 라인베르거 & 멘델스존: 합창 작품집 (Rheinberger & Mendelssohn Choral Works)

23,900 (19%)

'Benjamin Goodson 라인베르거 & 멘델스존: 합창 작품집 (Rheinberger & Mendelssohn Choral Works)' 상세페이지 이동

작곡 : Ottorino Respighi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작곡 : Ottorino Respighi
관심작가 알림신청
오토리노 레스피기

Ottorino Respighi의 다른 상품

Francesco Mazzonetto 이탈리아 피아노 작품 2집 - 말리피에로 / 레스피기 / 카셀라 (Italian Piano Works Vol. 2)

Francesco Mazzonetto 이탈리아 피아노 작품 2집 - 말리피에로 / 레스피기 / 카셀라 (Italian Piano Works Vol. 2)

18,600 (19%)

'Francesco Mazzonetto 이탈리아 피아노 작품 2집 - 말리피에로 / 레스피기 / 카셀라 (Italian Piano Works Vol. 2)' 상세페이지 이동

John Neschling 오토리노 레스피기: 관현악 작품집 (Ottorino Respighi: Orchestral Works)

John Neschling 오토리노 레스피기: 관현악 작품집 (Ottorino Respighi: Orchestral Works)

70,200 (19%)

'John Neschling 오토리노 레스피기: 관현악 작품집 (Ottorino Respighi: Orchestral Works)' 상세페이지 이동

Andrea Cappelletti 레스피기: 바이올린 협주곡 & 모음곡 (Respighi: Violin Concertos & Suite)

Andrea Cappelletti 레스피기: 바이올린 협주곡 & 모음곡 (Respighi: Violin Concertos & Suite)

14,600 (19%)

'Andrea Cappelletti 레스피기: 바이올린 협주곡 & 모음곡 (Respighi: Violin Concertos & Suite)' 상세페이지 이동

Pavel Berman / Maria Meerovitch 레스피기: 바이올린 소나타 나단조 / 쇼스타코비치: 바이올린 소나타 사장조  (Passacaglia)

Pavel Berman / Maria Meerovitch 레스피기: 바이올린 소나타 나단조 / 쇼스타코비치: 바이올린 소나타 사장조 (Passacaglia)

19,500 (19%)

'Pavel Berman / Maria Meerovitch 레스피기: 바이올린 소나타 나단조 / 쇼스타코비치: 바이올린 소나타 사장조 (Passacaglia)' 상세페이지 이동

Paul Huang 만화경 - 레스피기, 파가니니, 생상스, 쇼팽 (Kaleidoscope : Respighi, Paganini, Saint-Saens, Chopin)

Paul Huang 만화경 - 레스피기, 파가니니, 생상스, 쇼팽 (Kaleidoscope : Respighi, Paganini, Saint-Saens, Chopin)

19,500 (19%)

'Paul Huang 만화경 - 레스피기, 파가니니, 생상스, 쇼팽 (Kaleidoscope : Respighi, Paganini, Saint-Saens, Chopin)' 상세페이지 이동

Robert Trevino 레스피기: 로마 삼부작 (Respighi: Roman Trilogy)

Robert Trevino 레스피기: 로마 삼부작 (Respighi: Roman Trilogy)

22,100 (19%)

'Robert Trevino 레스피기: 로마 삼부작 (Respighi: Roman Trilogy)' 상세페이지 이동

Liya Petrova 월튼: 바이올린 협주곡 / 레스피기: 바이올린 소나타 (Momentum [1] - Walton: Violin Concerto / Respighi: Violin Sonata)

Liya Petrova 월튼: 바이올린 협주곡 / 레스피기: 바이올린 소나타 (Momentum [1] - Walton: Violin Concerto / Respighi: Violin Sonata)

20,500 (19%)

'Liya Petrova 월튼: 바이올린 협주곡 / 레스피기: 바이올린 소나타 (Momentum [1] - Walton: Violin Concerto / Respighi: Violin Sonata)' 상세페이지 이동

Alessandro Crudele 레스피기: 로마의 소나무, 브라질의 인상, 시바의 여왕 벨키스 (Respighi: Pini di Roma, Impressioni brasiliane & Belkis, regina di Saba)

Alessandro Crudele 레스피기: 로마의 소나무, 브라질의 인상, 시바의 여왕 벨키스 (Respighi: Pini di Roma, Impressioni brasiliane & Belkis, regina di Saba)

19,900 (19%)

'Alessandro Crudele 레스피기: 로마의 소나무, 브라질의 인상, 시바의 여왕 벨키스 (Respighi: Pini di Roma, Impressioni brasiliane & Belkis, regina di Saba)' 상세페이지 이동

실내악 : Novus String Quartet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실내악 : Novus String Quartet
관심작가 알림신청
노부스 콰르텟
김재영 Jaeyoung Kim (Violin)
김영욱 Young-Uk Kim (Violin)
김규현 Kyuhyun Kim (Viola)
이원해 Wonhae Lee (Cello)

“이 앙상블은 놀라울 만큼 견고하고 균형 잡힌 연주를 한다. 네 음악가들 모두 동등한 수준으로 연주하며, 음악을 만드는 방법은 매혹적이다. 우리는 노부스 콰르텟의 밝은 미래를 예견한다.“ - 루카스 하겐 (하겐 콰르텟 제1바이올리니스트)

“이 이십대 연주자들처럼 무대 위에서 미소를 많이 짓는 연주자를 보기는 쉽지 않다. 그리고 그들의 그 기쁨과 음악적인 표현은 관객에게도 직접 전달된다.” - Hannoversche Allgemeine Zeitung

젊은 현악사중주, NOVUS Quartet은 바이올린 김재영, 김영욱, 비올라 김규현, 첼로 문웅휘 이상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차세대 솔리스트 연주자들로 구성되어 있다. 2007년 한국 예술 종합학교 출신의 젊은 연주자들이 실내악에 대한 사명감으로 결성했으며 1바이올린과 2바이올린의 구분이 없는 인상적인 팀운영은 곡마다 표정이 변화무쌍한 음악을 만드는데 큰 자산이 되고 있다.

결성 직후 오사카 국제 실내악 콩쿠르를 비롯해서 리옹 국제 실내악 콩쿠르, 하이든 국제 실내악 콩쿠르 등 저명한 실내악 콩쿠르에서 순위입상을 했으며 노부스 콰르텟의 모든 콩쿠르 기록은 한국인 최초 순위입상이다. 2012년 세계 최고권위의 독일 ARD 국제 음악콩쿠르에서 2위를 수상했으며, 2014년 한국 현악사중주팀으로써는 최초로 제11회 모차르트 국제 콩쿠르에서 우승을 거머쥐면서 대한민국 실내악 역사를 완전히 새로 썼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2015년 제9회 대원음악상에서 신인상을 수상했다.

노부스 콰르텟은 2013년 뉴욕 카네기홀 데뷔 콘서트를 성공적으로 올렸으며 슈바츠발트 페스티벌, 하이델베르크 슈베칭엔 페스티벌, 리스본 체임버 뮤직 페스티벌, 바르나 뮤직 페스티벌 등 여러 저명한 해외 음악 페스티벌에서 초청받아 연주하였다. Suddeutsche Philharmonic Orchestra와 협연무대에서 슈포어의 현악사중주와 오케스트라를 위한 협주곡을 연주하였으며 국내에서도 서울스프링실내악축제, 대관령국제음악제, 통영국제음악제를 포함한 여러 음악축제에 지속적으로 초청받고 있다. 예술의전당과 LG아트센터 등에서의 정기 연주 외에 국회의사당 연주, 금호아트홀 재개관 기념 무대, 하이든 페스티벌 초청공연 등에서 폭넓은 레퍼토리로 청중들을 만나고 있으며 국내 최초로 바흐의 푸가의 기법 전곡연주를 했다. 2011년 국제교류재단의 후원으로 코스타리카 크레도마틱 국제음악제에 초청받아 10회가 넘는 연주무대에 올랐으며 클래식 한류를 앞장서며 엘살바도르, 파나마로 이어지는 중남미 투어를 성공적으로 마쳤다. 2013년 KBS FM이 주관하는 '한국의 음악가' 시리즈의 일환으로 음반 녹음을 했으며 2014년 제13회 통영국제음악제 상주음악가로 선정되었다. 2014년 4월 KBS교향악단과 슈포어의 현악사중주와 오케스트라를 위한 협주곡을 국내 초연하였으며 이듬해 코리안 심포니 오케스트라와 협연무대에 섰다. 2015년 3월 오스트리아 빈 뮤직페라인에 초청받아 연주하였으며, 9월에는 한국인 최초로 베를린 뮤직 페스티벌에 초청받아 성공적인 데뷔 무대를 선보였다. 2015년 12월, 국내 실내악단으로는 이례적으로 예술의전당 콘서트홀에서의 정기연주회 <죽음과 소녀>를 언론의 극찬 속에 성공적으로 마쳤고, 이 공연은 2016년 제2회 예술의전당 예술대상 음악분야에서 실내악부문 최우수상을 수상하였다. 이어 2016년 5월 노부스 콰르텟의 첫 인터내셔널 음반이 아파르떼 레이블로 발매되었다.

노부스 콰르텟은 베를린 국립음대, 뮌헨 국립음대 그리고 드레스덴 국립음대 등에서 수학하고 있는 개인 독주자 과정과는 별도로 뮌헨국립음대에서 멤버 전원이 명교수 크리스토프 포펜과 하리올프 슐리히티히의 지도로 실내악 최고연주자과정을 함께 수학했다. 현 하겐 콰르텟의 리더인 루카스 하겐의 멘토쉽을 받고 있는 동시에 전 아르테미스 콰르텟의 바이올리니스트인 하이메 뮐러의 가르침을 받고 있으며 2015년 벨치아 콰르텟의 멘토링 수혜자로 선정되어 앙상블을 세계정상의 수준으로 올리고 있다.

2014/2015시즌부터 하겐 콰르텟, 벨치아 콰르텟, 아르테미스 콰르텟 등이 소속 되어 있는 현악사중주 매니지먼트로 가장 독보적인 글로벌 에이전시 짐멘아우어(Impresariat Simmenauer)의 소속 연주자로 활동하게 되었다. 노부스 콰르텟은 이로써 짐멘아우어에 이름을 올린 첫 한국인 아티스트이자 현재 유일한 동양인 소속아티스트이다.

현재 해외무대에서 활동하고 있는 유일한 우리 현악사중주팀으로서 노부스 콰르텟은 그들의 역사가 대한민국 현악4중주의 역사가 될 것이라는 프론티어로서의 사명감과 진중한 발걸음으로 세계무대에서 약진하고 있다.

Violin 김재영
주목 받는 신예 바이올리니스트 김재영은 만 13세에 서울시향과 데뷔 무대를 가졌으며 이후 예원학교, 서울예고를 거쳐 한국예술종합학교에 영재 입학하여 김남윤을 사사했다. 뮌헨 국립음대에서 크리스토프 포펜 사사로 최고연주자과정을 졸업하였다. 이화 경향, 음악춘추, 한국일보, 동아, 부산 신인음악콩쿠르 등에서 입상했고, 이후 2003년 그리스에서 열린 영 바이올리니스트 국제 콩쿠르 2위, 사라사테 국제 콩쿠르에서 4위, 2005년 프라하 국제 현악콩쿠르 2위 및 최연소상, 현대곡상, 말러상 (지겐 콰르텟), 2007년 윤이상 국제 콩쿠르 3위와 특별상, 2010년 몬트리올 국제 콩쿠르 MIMC상, 루이스 시갈 국제 콩쿠르 3위를 수상했다. 현재 금호아시아나솔로이스츠의 멤버, 노부스 콰르텟의 리더로서 활발히 활동 중이다.

Violin 김영욱
“타고난 재능이 대단한, 완벽한 재목”이라는 평을 받은 바이올리니스트 김영욱은 2005년 서울예고 입학 이듬해인 2006년에 한국예술종합학교에 영재 입학했으며 이성주를 사사했다. 1999년 한국음악협회, 한국음악신문, 2000년 음악교육협회 주최 콩쿠르 1등 및 최우수상, 2003년 국민일보, 한세대 음악콩쿠르 1위, 2004년 스트라드 현악콩쿠르 1위, 2004년 이탈리아 카네티 국제 바이올린 콩쿠르 주니어 부문 3위, 2008년 동아음악콩쿠르 1위, 2011년 베오그라드 쥬네스 콩쿠르 바이올린부문 우승, 윤이상 국제음악콩쿠르 3위를 수상했다. 국내외 유명 교향악단으로부터 지속적으로 협연요청을 받고 있으며 현재 독일 뮌헨 국립음대에서 크리스토프 포펜을 사사하고 있다.

Viola 김규현

Cello 문웅휘
첼리스트 문웅휘는 풍부한 감성과 날카로운 테크닉을 조화롭게 엮어내는 연주자로 꼽힌다. 2008년 중앙음악콩쿠르 3위, 한전아트센터 콩쿠르 첼로 부문 1위, 제 3회 부산 뮤직페스티벌 전체 1위 및 서울첼로콩쿠르, 성정음악콩쿠르 등 여러 콩쿠르에서 입상했으며 2013년 폴란드에서 열린 펜데레츠키 국제 콩쿠르에서 3위에 입상했다. 작곡에도 재능이 있어 2009년 6월에는 크누아홀에서 자신의 곡을 초연하였으며 2011년 조선일보 신인음악회에 신인연주자로 선정되어 연주하고 2015년 함부르크 심포니 오케스트라와 협연하는 등 솔리스트로서도 활발히 활동하고 있다.. 한국예술종합학교를 졸업했으며 정명화, 박노을을 사사했고 함부르크 국립음대에서 아르토 노라스를 사사했다. 현재 드레스덴 국립 음대에서 단쥴로 이시자카를 사사하고 있으며 2015년 오스카 & 베라 리터 장학재단의 장학생으로 선발되었다.

Novus String Quartet의 다른 상품

노부스 콰르텟 / Michel Dalberto 프랑크: 피아노 솔로 작품과 피아노 오중주 (Franck: Piano Works, Quintet)

노부스 콰르텟 / Michel Dalberto 프랑크: 피아노 솔로 작품과 피아노 오중주 (Franck: Piano Works, Quintet)

19,500 (19%)

'노부스 콰르텟 / Michel Dalberto 프랑크: 피아노 솔로 작품과 피아노 오중주 (Franck: Piano Works, Quintet)' 상세페이지 이동

Novus String Quartet 차이코프스키: 현악 사중주 1번, 육중주 '플로렌스의 추억' - 노부스 콰르텟 (Tchaikovsky: String Quartet, Souvenir de Florence)

Novus String Quartet 차이코프스키: 현악 사중주 1번, 육중주 '플로렌스의 추억' - 노부스 콰르텟 (Tchaikovsky: String Quartet, Souvenir de Florence)

19,500 (19%)

'Novus String Quartet 차이코프스키: 현악 사중주 1번, 육중주 '플로렌스의 추억' - 노부스 콰르텟 (Tchaikovsky: String Quartet, Souvenir de Florence)' 상세페이지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