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 소개(8명)

이전

저 : 신주백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신주백
관심작가 알림신청
辛珠柏
성균관대학교에서 「만주지역 한인의 민족운동 연구(1925~1940)」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연세대학교 HK연구교수, 독립기념관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소장, 국무총리실 용산공원조성추진위원회 위원, 교육부 한일역사공동연구위원회 위원 등을 역임했다. 현재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의 전임연구원이며 성공회대학교에서 강의하고 있다. 한국 근현대사를 민족운동사, 학술사, 군사사, 역사교육사의 맥락에서 연구하면서도 ‘지역으로서의 동아시아’라는 시선도 놓치지 않고 있다. 저서로 『만주지역 한인의 민족운동사(1920~45)』(아세아문화사, 1999), 『역사화해와 동아시아형 미래 만들기』(선인, 2014), 『한국 역사학의 기원』(휴머니스트, 2016), 『한국 역사학의 전환』(휴머니스트, 2021), 『일본군의 한반도 침략과 일본의 제국 운영』(동북아역사재단, 2021) 등이 있다.

신주백의 다른 상품

벌거벗은 한국사 1 미노타 월드의 시작 : 깨어난 영웅들

벌거벗은 한국사 1 미노타 월드의 시작 : 깨어난 영웅들

12,600 (10%)

'벌거벗은 한국사 1 미노타 월드의 시작 : 깨어난 영웅들' 상세페이지 이동

광주·전남 지역 여기도 침략전쟁의 흔적이 그렇게 많아?

광주·전남 지역 여기도 침략전쟁의 흔적이 그렇게 많아?

6,650 (5%)

'광주·전남 지역 여기도 침략전쟁의 흔적이 그렇게 많아?' 상세페이지 이동

운암 김성숙 전집 1

운암 김성숙 전집 1

33,250 (5%)

'운암 김성숙 전집 1' 상세페이지 이동

한일 역사문제의 현재(2000~2022)

한일 역사문제의 현재(2000~2022)

19,000 (5%)

'한일 역사문제의 현재(2000~2022)' 상세페이지 이동

일본군의 한반도 침략과 일본의 제국 운영

일본군의 한반도 침략과 일본의 제국 운영

23,750 (5%)

'일본군의 한반도 침략과 일본의 제국 운영' 상세페이지 이동

한국 역사학의 전환

한국 역사학의 전환

22,800 (5%)

'한국 역사학의 전환' 상세페이지 이동

분단의 역사인식과 사유를 넘어

분단의 역사인식과 사유를 넘어

29,500

'분단의 역사인식과 사유를 넘어' 상세페이지 이동

용산기지의 역사 3 (1950~1953)

용산기지의 역사 3 (1950~1953)

35,000

'용산기지의 역사 3 (1950~1953)' 상세페이지 이동

저 : 윤해동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윤해동
관심작가 알림신청
서울대학교에서 한국근대사로 박사학위를 받았으며, 현재 한양대학교 비교역사문화연구소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한국 동아시아 근현대사와 동아시아 환경사 등을 주로 연구하고 있다. 저서로 《근대역사학의 황혼》, 《탈식민주의 상상의 역사학으로》, 《식민지 근대의 패러독스》, 《지배와 자치》, 《식민지의 회색지대》, 《植民地がつくった近代》 등이 있고, 공편저로 《식민주의 역사학과 제국》, 《종교와 식민지 근대》, 《식민지 공공성》, 《역사학의 세기》 등이 있다.

윤해동의 다른 상품

식민지의 사립전문학교, 한국대학의 또 하나의 기원

식민지의 사립전문학교, 한국대학의 또 하나의 기원

36,100 (5%)

'식민지의 사립전문학교, 한국대학의 또 하나의 기원' 상세페이지 이동

식민국가와 대칭국가

식민국가와 대칭국가

33,250 (5%)

'식민국가와 대칭국가' 상세페이지 이동

한국과 타이완에서 본 식민주의

한국과 타이완에서 본 식민주의

34,000

'한국과 타이완에서 본 식민주의' 상세페이지 이동

동아시아사로 가는 길

동아시아사로 가는 길

16,200 (10%)

'동아시아사로 가는 길' 상세페이지 이동

트랜스내셔널 지구공동체를 향하여

트랜스내셔널 지구공동체를 향하여

17,000

'트랜스내셔널 지구공동체를 향하여' 상세페이지 이동

저 : 장신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장신
관심작가 알림신청
성균관대학교 동아시아학과에서 「1930·40년대 조선총독부의 사상전향정책 연구」로 문학박사학위를 받았다. 한국교원대 한국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연구센터 전임연구원을 거쳐 2020년 9월부터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에서 한국 근대사를 가르치고 있다. 최근의 관심은 한국 근대의 요시찰 제도 등 국가의 개인 감시와 통제, 그리고 한국 근현대 교육사를 제도 중심으로 연구 중이다.

장신의 다른 상품

식민지의 사립전문학교, 한국대학의 또 하나의 기원

식민지의 사립전문학교, 한국대학의 또 하나의 기원

36,100 (5%)

'식민지의 사립전문학교, 한국대학의 또 하나의 기원' 상세페이지 이동

일제강점기 이왕직 연구

일제강점기 이왕직 연구

15,000

'일제강점기 이왕직 연구' 상세페이지 이동

조선·동아일보의 탄생 (큰글자책)

조선·동아일보의 탄생 (큰글자책)

26,000

'조선·동아일보의 탄생 (큰글자책)' 상세페이지 이동

조선·동아일보의 탄생

조선·동아일보의 탄생

14,400 (10%)

'조선·동아일보의 탄생' 상세페이지 이동

정태진

정태진

12,350 (5%)

'정태진' 상세페이지 이동

3·1운동 100년, 덕성 100년

3·1운동 100년, 덕성 100년

15,200 (5%)

'3·1운동 100년, 덕성 100년' 상세페이지 이동

저 : 정준영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정준영
관심작가 알림신청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교수. 서울대학교 사회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석사와 박사학위를 받았다. 일본 교토대학 외국인 공동연구자, 한림대학교 일본학연구소 연구교수를 역임했다. 역사사회학과 지식사회사가 전공이며, 한국에서 근대학문이 어떻게 제도화된 형태로 지금에 이르기까지 발전할 수 있었는지에 대해 지속적으로 연구해왔다. 「피의 인종주의와 식민지의학」, 「제국 일본의 도서관체제와 경성제대 도서관」, 「한국전쟁과 냉전의 사회과학자들」 등의 논문을 발표했으며, 공저로는 『식민권력과 근대지식』, 『한국현대생활문화사: 1980년대』, 『팬데믹 너머 대학의 미래를 묻다』 등이 있다. 최근에는 동료 연구자들과 함께 한국 대학사에 대한 새로운 연구 가능성을 모색하는 중이다.

정준영의 다른 상품

식민지의 사립전문학교, 한국대학의 또 하나의 기원

식민지의 사립전문학교, 한국대학의 또 하나의 기원

36,100 (5%)

'식민지의 사립전문학교, 한국대학의 또 하나의 기원' 상세페이지 이동

경성제국대학 법문학부와 조선 연구

경성제국대학 법문학부와 조선 연구

25,000

'경성제국대학 법문학부와 조선 연구' 상세페이지 이동

팬데믹 너머 대학의 미래를 묻다

팬데믹 너머 대학의 미래를 묻다

19,800

'팬데믹 너머 대학의 미래를 묻다' 상세페이지 이동

제국의 학술기획과 만주

제국의 학술기획과 만주

17,100 (5%)

'제국의 학술기획과 만주' 상세페이지 이동

서울, 권력 도시

서울, 권력 도시

25,200 (10%)

'서울, 권력 도시' 상세페이지 이동

저 : 허지향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허지향
관심작가 알림신청
현재 리츠메이칸 대학 전문연구원으로 출강하면서 교토에서 공부하고 있다. ‘philosophy’가 메이지 일본을 통해 번역되는 양상과 그것이 어떻게 이전 사상계까지 포괄하는 근대적 학제가 되었는지에 관한 연구로 2016년 리쓰메이칸立命館대학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박사학위 논문을 토대로 『philosophyから「哲+學」へ』(文理閣, 2019)를 출간했다. 니시 아마네와 막말-메이지 시기의 사상가들이 일본 내에서 논의되는 방식에 위화감을 갖고 일본 내의 근대화 스토리를 넘어선 사상사 서술을 모색하고 있다. 최근 쓴 글로 「경성제국대학 법문학부 철학과 강좌 개설 상황: 강좌 담임에 관한 역사적 검토」(2018), 「다이쇼 교양주의와 경성제국대학 ‘철학, 철학사 제1’강좌」(2018) 등이 있다.

허지향의 다른 상품

조선연구문헌지 (상)

조선연구문헌지 (상)

30,400 (5%)

'조선연구문헌지 (상)' 상세페이지 이동

백일신론

백일신론

25,200 (10%)

'백일신론' 상세페이지 이동

한자권의 성립

한자권의 성립

15,200 (5%)

'한자권의 성립' 상세페이지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