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 소개(6명)

이전

저 : 구난희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구난희
관심작가 알림신청
한국학중앙연구원 교수. 서울대학교를 졸업하고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에서 공부했다. 중등 역사교사, 교육부 교육연구관 등을 거치며 역사교육과 관련된 실무와 이론을 두루 겸비했다. 평화와 공존을 위한 역사 이해를 지향하면서 발해사 연구와 역사교육을 이어가고 있다.
대표 저서로 《발해의 역사와 문화》(동북아역사재단, 2007, 공저), 《8세기 동아시아의 역사상》(동북아역사재단, 2011, 공저), 《발해유적사전》(한국학중앙연구원출판부, 2015, 공저), 《우리 역사교육의 역사》(휴머니스트, 2015, 공저)가 있다. 주요 논문으로는 「발해와 일본의 교류 항로 변화에 관한 연구」(《역사교육》 126, 2013), 「발해의 수로 체계에 관한 시론적 고찰」(《고구려발해연구》 49, 2014), 「발해, 요, 금의 5경제와 상경」(《선사와 고대》 45, 2015)이 있다.

구난희의 다른 상품

발해왕조실록 - 살림지식총서 520

발해왕조실록 - 살림지식총서 520

4,800

'발해왕조실록 - 살림지식총서 520' 상세페이지 이동

저 : 김왕배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김왕배
관심작가 알림신청
연세대학교 사회학과 교수. 대안 사회를 위한 호혜경제, 인권, 감정사회학 등을 연구하고 있다. 연세대학교에서 사회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캘리포니아 대학교 버클리 캠퍼스 동아시아연구소 객원연구원, 시카고 대학교 사회학과 조교수(전임초빙)를 역임했다. 지은 책으로 『산업사회의 노동과 계급의 재생산』 『도시, 공간, 생활세계』 『감정과 사회』 등이 있다.

저 : 박형신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박형신
관심작가 알림신청
朴炯信
고려대학교 문과대학 사회학과를 졸업하고 고려대학교 대학원 사회학과에서 석사와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그간 강원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연구교수, 고려대학교 인문대학 사회학과 초빙교수 등을 지냈다. 지금은 다시 연세대학교 사회발전연구소 연구교수로 일하고 있다. 사회이론, 감정사회학, 음식과 먹기의 사회학에 관심을 가지고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지은 책으로는 『정치위기의 사회학』(1995),『감정은 사회를 어떻게 움직이는가』(2015, 공저), 『오늘의 사회이론가들』(2015, 공저),『에바 일루즈』(2018) 등이 있고, 옮긴 책으로는 『고전사회학의 이해』(2018),『은유로 사회 읽기』(2018), 『감정과 사회관계』(2017), 『탈감정사회』(2014),『낭만적 유토피아 소비하기』(2014, 공역), 『음식의 문화학』(2014, 공역),『낭만주의 윤리와 근대소비주의 정신』(2010, 공역),『문화사회학이론을 향하여』(2004, 공역) 등이 있다.

박형신의 다른 상품

저 : 정미량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정미량
관심작가 알림신청
한국학중앙연구원 책임연구원. 연세대학교 사학과를 졸업하고,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에서 석사과정을,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에서 박사과정을 마쳤다. 대표 저서로는 『1920년대 재일조선유학생의 문화운동』, 『발로 찾아 쓴 조선족 근현대 교육사』, 『글로벌 시대의 다문화 교육』(공저) 등이 있다.

저 : 정수남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정수남
관심작가 알림신청
고려대 인문대학 사회학과를 졸업하고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 사회학과에서 석사와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호주 뉴사우스웨일즈 대학 교환연구원, 서울대 사회학과 박사후연수연구원을 거쳐, 현재 한국학중앙연구원 현대한국연구센터 학술연구교수로 있다. 주요 연구분야는 감정사회학, 문화사회학, 역사사회학이다. 저서로 『한국의 종교와 사회운동』(공저), 『열풍의 한국사회』(공저) 등이 있다. 역서로는 『뒤르케임주의 문화사회학: 이론과 방법론』(제프리 알렉산더 외, 공역), 『감정의 거시사회학』(잭 바바렛, 공역), 『타임워치』(바바라 아담, 공역), 『사회이론의 역사』(알렉스 캘리니코스, 공역) 등이 있다.

저 : 정준영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정준영
관심작가 알림신청
서울대 사회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 대학원에서 <대중음악의 사회학적 일연구>로 석사학위를, <조선후기 신분변동과 청자존대법 체계의 변화>로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현재 한국방송통신대학교 교육과학대학 문화교양학과 교수이다

1980년대 사회 변혁기를 대학에서 보내며 문화가 사회의 변화 과정에서 어떤 역할을 수행하는가에 자연스럽게 관심 갖게 되었다. 결국 문화는 사회 변화를 안정화시키는 요소이자 새로운 변화의 싹을 마련하는 역할을 한다는 생각에 이르렀다. 또 문화가 그 역할을 수행하는 데는 광범위한 대중들에게 하나의 문화 형태를 널리 확산시킬 수 있는 대중 매체가 관건이 되리라 판단했다. 1990년대를 거치며 문화 형태에 대한 실제 비평을 통해 그 변화의 구체적 양상들을 점검해보고자 노력했다.

현재는 스포츠의 여러 측면들 중 특정 스포츠가 특정한 사회 집단들과 친화력을 갖게 되는 기제와 그 과정에서 대중 매체가 수행하는 역할 등을 밝히는 데 힘쓰고 있다.

저서로 《만화 보기와 만화 읽기》, 《열광하는 스포츠 은폐된 이데올로기》, 역서로 《사이버 에로스: 탈산업시대의 육체와 욕망》, 《스포츠, 그 열광의 사회학》 등이 있다.

정준영의 다른 상품

열광하는 스포츠 은폐된 이데올로기

열광하는 스포츠 은폐된 이데올로기

7,900

'열광하는 스포츠 은폐된 이데올로기' 상세페이지 이동

시청에서 비평으로, 텔레비전 보기

시청에서 비평으로, 텔레비전 보기

7,900

'시청에서 비평으로, 텔레비전 보기' 상세페이지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