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 소개(11명)

이전

편 : 소현숙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편 : 소현숙
관심작가 알림신청
소현숙 한국여성인권진흥원 일본군‘위안부’문제연구소 학술연구팀 팀장

한국 근대 가족사, 젠더사 전공. 주요 논저로는 『이혼법정에 선 식민지 조선 여성들(역사비평사, 2017), 『한국과 타이완에서 본 식민주의』(공저, 한울아카데미, 2018), 『日本殖民統治下的 底層社會 臺灣與朝鮮』(공저, 臺北: 中央?究院·臺灣史?究所, 2018), 『한국근대사 연구의 쟁점』(공저, 한국학중앙연구원, 2023), 「근대 전환기 동아시아에서 이혼법의 변화-한중일 비교」(『역사와 담론』 94, 2020), 「한국‘근대가족’의 식민주의적 기원과 남은 유산들-가족법을 중심으로」(『역사학연구』 84, 2021) 등이 있으며, 2021년 용재신진학술상, 2022년 이화현우 여성과 평화 학술상을 수상하였다.

소현숙의 다른 상품

가족제도(1)

가족제도(1)

28,500 (5%)

'가족제도(1)' 상세페이지 이동

한국 근대사 연구의 쟁점

한국 근대사 연구의 쟁점

30,000

'한국 근대사 연구의 쟁점' 상세페이지 이동

연결(불)가능한 신체의 역사

연결(불)가능한 신체의 역사

28,800 (10%)

'연결(불)가능한 신체의 역사' 상세페이지 이동

약속과 예측

약속과 예측

27,000 (10%)

'약속과 예측' 상세페이지 이동

3·1운동에 앞장 선 여성들

3·1운동에 앞장 선 여성들

14,000

'3·1운동에 앞장 선 여성들' 상세페이지 이동

이혼 법정에 선 식민지 조선 여성들

이혼 법정에 선 식민지 조선 여성들

31,500 (10%)

'이혼 법정에 선 식민지 조선 여성들' 상세페이지 이동

편 : 윤해동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편 : 윤해동
관심작가 알림신청
서울대학교에서 한국근대사로 박사학위를 받았으며, 현재 한양대학교 비교역사문화연구소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한국 동아시아 근현대사와 동아시아 환경사 등을 주로 연구하고 있다. 저서로 《근대역사학의 황혼》, 《탈식민주의 상상의 역사학으로》, 《식민지 근대의 패러독스》, 《지배와 자치》, 《식민지의 회색지대》, 《植民地がつくった近代》 등이 있고, 공편저로 《식민주의 역사학과 제국》, 《종교와 식민지 근대》, 《식민지 공공성》, 《역사학의 세기》 등이 있다.

윤해동의 다른 상품

식민지의 사립전문학교, 한국대학의 또 하나의 기원

식민지의 사립전문학교, 한국대학의 또 하나의 기원

36,100 (5%)

'식민지의 사립전문학교, 한국대학의 또 하나의 기원' 상세페이지 이동

식민국가와 대칭국가

식민국가와 대칭국가

33,250 (5%)

'식민국가와 대칭국가' 상세페이지 이동

경성제국대학과 동양학 연구

경성제국대학과 동양학 연구

33,000

'경성제국대학과 동양학 연구' 상세페이지 이동

동아시아사로 가는 길

동아시아사로 가는 길

16,200 (10%)

'동아시아사로 가는 길' 상세페이지 이동

트랜스내셔널 지구공동체를 향하여

트랜스내셔널 지구공동체를 향하여

17,000

'트랜스내셔널 지구공동체를 향하여' 상세페이지 이동

편 : 홍양희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편 : 홍양희
관심작가 알림신청
한양대학교 비교역사문화연구소 연구교수

한양대학교 사학과를 졸업하고, 동대학원에서 석?박사학위를 취득 했다. 현재 한양대학교 비교역사문화연구소 연구교수로 재직 중이 다. 식민지 가족법과 젠더론에 주목하여 가족사와 여성사를 연구해 왔다. 편저서로 『고아, 족보 없는 자: 근대, 국민국가, 개인』, 『성스 러운 국민: 젠더와 섹슈얼리티를 둘러싼 근대 국가의 법과 과학』 등 이, 공저로 『신사임당, 그녀를 위한 변명: 시대와 권력이 만들어낸 신사임당의 이미지』, 『한국과 타이완에서 본 식민주의』, 『일제의 식 민지배와 재조일본인 엘리트』 등이, 역서로 『조선풍속집: 제국의 경 찰이 본 조선풍속』이 있다. 논문은 「‘상실’과 ‘훼손’의 문화정치학: 식 민지 조선의 ‘강간’죄 구성과 ‘수치심’」, 「식민지시기 ‘의학’ ‘지식’과 조선의 ‘전통’: 쿠도(工藤武城)의 “婦人科學”적 지식을 중심으로」, 「“애 비 없는” 자식, 그 ‘낙인’의 정치학: 식민지시기 ‘사생아’ 문제의 법적 구조」, 「조선총독부 판사, 노무라 초타로(野村調太郞)의 조선 사회 인 식」, “A Dangerous Tradition: Chohon Discourses and Population Management in Colonial Korea” 등이 있다.

홍양희의 다른 상품

조선총독부의 가족 정책

조선총독부의 가족 정책

19,000 (5%)

'조선총독부의 가족 정책' 상세페이지 이동

일제의 식민지배와 재조일본인 엘리트

일제의 식민지배와 재조일본인 엘리트

16,200 (10%)

'일제의 식민지배와 재조일본인 엘리트' 상세페이지 이동

트랜스내셔널 지구공동체를 향하여

트랜스내셔널 지구공동체를 향하여

17,000

'트랜스내셔널 지구공동체를 향하여' 상세페이지 이동

편 : 박찬승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편 : 박찬승
관심작가 알림신청
朴贊勝
한양대학교 사학과 명예교수. 서울대학교 국사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으며, 목포대학교와 충남대학교를 거쳐 한양대학교 사학과 교수로 재직했다. 한양대학교 동아시아문화연구소·비교역사문화연구소 소장, 한국사회사학회 회장, 한국사연구회 회장 등을 역임한 바 있다. 저서로 『한국근대정치사상사연구』, 『근대이행기 민중운동의 사회사』, 『민족주의의 시대』, 『민족, 민족주의』, 『마을로 간 한국전쟁』, 『언론운동』(「한국독립운동의 역사」 시리즈), 『대한민국은 민주공화국이다』, 『21세기 한국사학의 진로』, 『1919?: 대한민국의 첫 번째 봄』 등이 있다. 한국출판문화상, 단재상, 임종국상 등을 수상하였다.

박찬승의 다른 상품

일제 식민지 조선 지배의 성격

일제 식민지 조선 지배의 성격

28,500 (5%)

'일제 식민지 조선 지배의 성격' 상세페이지 이동

세계사 속의 한국 근현대사

세계사 속의 한국 근현대사

29,000

'세계사 속의 한국 근현대사' 상세페이지 이동

혼돈의 지역사회 (하)

혼돈의 지역사회 (하)

32,000

'혼돈의 지역사회 (하) ' 상세페이지 이동

혼돈의 지역사회 (상)

혼돈의 지역사회 (상)

32,000

'혼돈의 지역사회 (상) ' 상세페이지 이동

한국독립운동사 (큰글자책)

한국독립운동사 (큰글자책)

25,000

'한국독립운동사 (큰글자책)' 상세페이지 이동

누구를 위한 역사인가

누구를 위한 역사인가

14,850 (10%)

'누구를 위한 역사인가' 상세페이지 이동

1919 (큰글자도서)

1919 (큰글자도서)

38,000

'1919 (큰글자도서)' 상세페이지 이동

1919

1919

16,200 (10%)

'1919' 상세페이지 이동

편 : 정혜경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편 : 정혜경
관심작가 알림신청
鄭惠瓊
1960년 서울 출생. 서울시 문화재 위원. 한국정신문화연구원(현 한국학중앙연구원)에서 식민지 시기 재일한인의 역사를 주제로 석사와 박사학위를 받았다. 1995년부터 구술사(Oral History)를 시작했고, 1999년부터 기록학(Achival Science) 분야도 공부했다. 그간 단행본 12권(단독)과 논문 40여 편을 발표했다. ‘국무총리 소속 대일항쟁기 강제동원피해조사 및 국외강제동원희생자 등 지원위원회’에서 11년간 조사과장으로 일했다. 현재 일제강제동원& 평화연구회에서 일제말기 조선인 인력동원에 대해 공부하고 있으며, 역사콘텐츠를 통한 역사대중화에 관심을 가진 이들과 펼친 난장亂場 (역사문화콘텐츠 공간)에서 놀고 있다.

정혜경의 다른 상품

전사가(戰士) 되어라, 조선여자근로정신대

전사가(戰士) 되어라, 조선여자근로정신대

6,650 (5%)

'전사가(戰士) 되어라, 조선여자근로정신대 ' 상세페이지 이동

일제의 의료정책과 조선 지배

일제의 의료정책과 조선 지배

19,000 (5%)

'일제의 의료정책과 조선 지배' 상세페이지 이동

팩트로 보는 일제 말기 강제동원 2

팩트로 보는 일제 말기 강제동원 2

22,000

'팩트로 보는 일제 말기 강제동원 2' 상세페이지 이동

일제의 전시 조선인 노동력 동원

일제의 전시 조선인 노동력 동원

28,500 (5%)

'일제의 전시 조선인 노동력 동원' 상세페이지 이동

항일과 친일의 재일코리안운동

항일과 친일의 재일코리안운동

40,000

'항일과 친일의 재일코리안운동' 상세페이지 이동

팩트로 보는 일제 말기 강제동원 1

팩트로 보는 일제 말기 강제동원 1

15,000

'팩트로 보는 일제 말기 강제동원 1' 상세페이지 이동

아시아태평양전쟁에 동원된 조선의 아이들

아시아태평양전쟁에 동원된 조선의 아이들

18,000 (10%)

'아시아태평양전쟁에 동원된 조선의 아이들' 상세페이지 이동

일제강점기 조선인 강제동원 연표

일제강점기 조선인 강제동원 연표

13,000

'일제강점기 조선인 강제동원 연표' 상세페이지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