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 소개(3명)

이전

저 : 홍여하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홍여하
관심작가 알림신청
洪汝河
목재(木齋) 홍여하(洪汝河, 1620∼1674)는 본관이 부림[(缶林, 부계(缶溪)]이며 부림 홍씨 15세다. 부림은 곧 그의 선향인데, 지금 경북 군위군 부계면 대율리 일대다. 시조는 고려 중엽 때 재상을 지낸 난(鸞)이고, 1세가 직장을 지맨 좌(佐)이며 5세 인석(仁?)과 6세 문영(文永) 때 상주로 이거하고 다시 8세 득우(得禹) 때 함창으로 이거했는데, 5세 인석 이후를 함창파라 부른다. 성종과 연산군 때 양대(兩代) 홍문관 대제학 곧 문형(文衡)을 지낸 홍귀달은 홍여하의 5대조가 된다. 그리고 인조 때 대사헌을 지낸 홍호의 아들이 홍여하다. 홍호는 정경세의 제자로 퇴계에서 유성룡, 정경세로 이어지는 영남학맥의 위치에 있었다.
홍여하는 자가 백원, 호가 목재와 산택재다. 안동부 성동리, 즉 지금의 문경시 영순면 율리에서 홍호와 장흥 고씨 사이에서 태어났다. 14세 때 모친 고씨의 상을, 27세 때 부친상을 당했다. 35세 때 생원진사시와 식년 문과에 합격했다. 37세 봉교로 있을 때 송규렴의 반대를 무릅쓰고 이상진과 이원정을 추천한 일로 파직되었다. 다시 그해 응지 상소를 올렸다가 고상도 찰방으로 쫓겨났으며, 40세 경성 판관으로 있을 때 현종이 즉위해 응지 상소를 올렸는데, 북방 군정의 폐단과 함께 이후원에 대해 붕당의 행태가 심함을 지적하자 이조 판서로 있던 송시열이 이것은 자신을 배척하는 것이라고 여겨 상소한 뒤 사직하는 사건이 일어났다. 당시 서인 측에서 이 상소가 윤휴 등이 조종한 것이라고 보아 크게 문제를 삼으면서, 그는 당쟁 속에 휘말려 들었다. 이때에는 제1차 예송이 터지기도 했다. 41세 때 병마사 권우의 일을 다시 문제 삼았다가 파직된 뒤에 충청도 황간으로 유배되었으며, 얼마 후 풀려나 고향 함창 율리로 돌아왔다.
율리로 돌아온 후 그는 산택재를 짓고 학문 연구와 저술에 매진했다. 51세 때 예천 북쪽 복천촌에 존성재를 짓고 잠시 이거했다가 53세 때 다시 율리로 돌아왔다. 55세 때 숙종이 즉위해 병조 정랑과 사간의 관직을 내렸으나 병으로 나아가지 못하고 세상을 떠났다. 예천의 흑송리에 장사 지냈으며, 이장 후 묘갈은 계당 유주목이 지었다. 1689년 갈암 이현일의 주청으로 통정대부 부제학에 추증되었다. 1693년 근암 서원에 배향되었다.

홍여하의 다른 상품

지역 고전학 총서 1차 세트

지역 고전학 총서 1차 세트

224,000

'지역 고전학 총서 1차 세트' 상세페이지 이동

목재 시선 큰글자책

목재 시선 큰글자책

34,000

'목재 시선 큰글자책' 상세페이지 이동

편역 : 송희준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편역 : 송희준
관심작가 알림신청
1958년 대구시 달성에서 태어났다. 경북대학교 사학과를 졸업하고 고려대학교 국어국문학과 한문학전공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계명대학교 한학촌 교수를 역임하고 현재 한국고전번역원 권역별거점연구소 경북대학교 영남문화연구원 책임연구원으로 재직하고 있다. 역서로는 『사미헌집(四未軒集)』1권~3권과 『대동운부군옥(大東韻府群玉)』권11~권20(공역)이 있고, 편저로는 『심경주해총편(心經註解叢編)』10권과 『근사록주해총편(近思錄註解叢編)』10권 등이 있으며, 저서로는 『조선의 마지막문장』이 있다.

송희준의 다른 상품

편역 : 김숭호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편역 : 김숭호
관심작가 알림신청
1969년 대구의 명산 팔공산 자락의 속칭 갓바위에서 평범한 가정의 아들로 태어났다. 학창 시절 고사성어와 한문에 재미를 느껴 대구한의대 한문과에 입학했고 대학원에 진학해서는 체계적으로 한문을 이해하고 싶은 마음에 한문 문법을 전공했다. 1999년 한문 문법이 고려시대 문헌인 『삼국유사』에 어떻게 적용되었는가를 분석한 ‘『삼국유사』의 문장 형식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지금은 경북대 영남문화연구원의 연구원으로 있으며, 대구한의대와 계명대 등에서 강의하고 있다. 개인적으로는 대구의 관선서당에서 주덕회周德會 회원들과 한문 공부를 함께 하고 있다. 영재 이건창의 『명미당집明美堂集』과 도교 경전 『남화경南華經』 등을 읽었고, 현재는 『춘추좌씨전』을 함께 읽고 있다. 주요 논문으로 한문법을 통해 번역의 오류를 살펴본 「‘허사사전’의 국역상 몇 문제」 「‘중국고대어법’의 몇 가지 문제에 대하여」 등이 있다. 『주자대전』(전13책) 공역에 주도적으로 참여했으며, 저서로는 『한문법의 이해』 등이 있다.

김숭호의 다른 상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