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 소개(15명)

이전

저 : 고봉준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고봉준
관심작가 알림신청
문학평론가. 후마니타스칼리지 교수로 재직 중이다. 1970년 부산에서 태어나 충렬고등학교를 졸업하고 1989년 부산외국어대학교 국어국문학과에 입학했다. 1995년 같은 학교 대학원 국어국문학과에 입학해 「해방기 전위시의 양식 선택과 세계 인식」으로 석사학위를 받았고, 2005년 경희대학교 대학원 국어국문학과에서 「한국 모더니즘 문학의 미적 근대성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2000년 『서울신문』 신춘문예에 문학평론이 당선되어 등단했으며, 2006년 제12회 고석규비평문학상, 2015년 제16회 젊은평론가상을 수상했다. 지은 책으로는 『반대자의 윤리』, 『다른 목소리들』, 『모더니티의 이면』, 『유령들』, 『비인칭적인 것』, 『고유한 이름들의 세계』 등이 있다.

고봉준의 다른 상품

한국문학사와 동인지문학

한국문학사와 동인지문학

26,600 (5%)

'한국문학사와 동인지문학' 상세페이지 이동

이 모든 무수한 반동이 좋다

이 모든 무수한 반동이 좋다

16,200 (10%)

'이 모든 무수한 반동이 좋다' 상세페이지 이동

김수영에서 김수영으로

김수영에서 김수영으로

23,750 (5%)

'김수영에서 김수영으로' 상세페이지 이동

나는 이렇게 읽었다

나는 이렇게 읽었다

15,000

'나는 이렇게 읽었다' 상세페이지 이동

나는 반려동물과 산다 (큰글자도서)

나는 반려동물과 산다 (큰글자도서)

36,000

'나는 반려동물과 산다 (큰글자도서)' 상세페이지 이동

다시 새로워지는 신동엽

다시 새로워지는 신동엽

20,700 (10%)

'다시 새로워지는 신동엽' 상세페이지 이동

근대시의 이념들

근대시의 이념들

23,750 (5%)

'근대시의 이념들' 상세페이지 이동

나는 반려동물과 산다

나는 반려동물과 산다

15,120 (10%)

'나는 반려동물과 산다' 상세페이지 이동

저 : 권현형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권현형
관심작가 알림신청
강원도 주문진 출생. 경희대 대학원에서 문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1995년 《시와시학》으로 등단했다. 시집으로 『중독성 슬픔』, 『밥이나 먹자, 꽃아』, 『포옹의 방식』 등이 있다. 미네르바 작품상, 시와시학 젊은시인상을 수상했다. 2008년 한국문화예술위원회 창작지원금 수혜, 2023년 아르코 창작기금(발간지원) 선정됨.

권현형 의 다른 상품

아마도 빛은 위로

아마도 빛은 위로

11,400 (5%)

'아마도 빛은 위로' 상세페이지 이동

저 : 김명인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김명인
관심작가 알림신청
김안
문학평론가. 강원도 도계에서 태어나 서울에서 초·중·고·대학을 다 마쳤고 인천에서 대학원 공부를 했다. 현재 인하대학교 사범대학 국어교육과에서 한국문학을 가르치고 있다. 30년 넘게 문학평론과 시사 칼럼을 써왔고, 지금은 계간 [황해문화]의 편집주간을 맡고 있기도 하다. 『희망의 문학』『불을 찾아서』『잠들지 못하는 희망』『김수영, 근대를 향한 모험』『조연현, 비극적 세계관과 파시즘 사이』『자명한 것들과의 결별』『환멸의 문학, 배반의 민주주의』『鬪爭の詩學』『내면 산책자의 시간』『문학적 근대의 자의식』등의 저서가 있다. 시집으로 『오빠 생각』, 『미제레레』, 『아무는 밤』이 있다. 제5회 김구용시문학상, 제19회 현대시작품상, 제7회 딩아돌하작품상을 수상했다.

김명인의 다른 상품

김구용의 시간과 그의 타자들 (큰글자도서)

김구용의 시간과 그의 타자들 (큰글자도서)

38,000

'김구용의 시간과 그의 타자들 (큰글자도서)' 상세페이지 이동

김구용의 시간과 그의 타자들

김구용의 시간과 그의 타자들

18,050 (5%)

'김구용의 시간과 그의 타자들' 상세페이지 이동

이 모든 무수한 반동이 좋다

이 모든 무수한 반동이 좋다

16,200 (10%)

'이 모든 무수한 반동이 좋다' 상세페이지 이동

김수영에서 김수영으로

김수영에서 김수영으로

23,750 (5%)

'김수영에서 김수영으로' 상세페이지 이동

폭력과 모독을 넘어서

폭력과 모독을 넘어서

20,900 (5%)

'폭력과 모독을 넘어서' 상세페이지 이동

부끄러움의 깊이

부끄러움의 깊이

10,800 (10%)

'부끄러움의 깊이' 상세페이지 이동

문학적 근대의 자의식

문학적 근대의 자의식

23,400 (10%)

'문학적 근대의 자의식' 상세페이지 이동

내면 산책자의 시간

내면 산책자의 시간

14,400 (10%)

'내면 산책자의 시간' 상세페이지 이동

저 : 김응교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김응교
관심작가 알림신청
Kim, Eung-gyo,金應敎
시인, 문학평론가. 수락산 갈매나무 숲길을 좋아하고 그 기슭에서 시와 산문을 쓰는 서생이다. 연세대 신학과 졸업, 연세대 국문과 박사학위를 받았다. 1996년 도쿄외국어대학을 거쳐, 도쿄대학원에서 비교문학을 공부했고, 1998년 와세다대학 객원교수로 임용되어 10년간 강의하고 귀국, 2019년 1월 봄학기 캐나다 트리니티웨스턴대학 VIEW대학원에서 객원교수로 강의했다. 2017년 동아일보에 「동주의 길」, 2018년 서울신문에 「작가의 탄생」을 연재했다. CBS TV [크리스천 NOW] MC, 국민TV에서 [김응교의 일시적 순간] 진행, MBC TV 무한도전 등에서 강연, KBS [TV, 책을 보다] 자문위원으로 있었다. 유튜브 [김응교TV]에 영상을 가끔 올린다. 현재 숙명여대 교수, 신동엽학회 학회장으로 있다.

스무 살에 야학에서 펼친 책 한 권, 그 우연한 몰두는 그에게 평생의 매혹이 되었다. 『신동엽 전집』에 빠진 몇 년 뒤 석사논문 「신동엽 엽구 - 쟝르론을 중심으로」를 낸 그는 아이들도 읽을 수 있는 인물전 『민족시인 신동엽』을 내고, 이어 인병선 여사의 고증을 받은 『시인 신동엽』을 냈다. 이후 논문을 엮은 『사랑과 혁명의 시인 신동엽』을 냈다.

시집 『씨앗/통조림』, 『부러진 나무에 귀를 대면』, 평론집 『처럼-시로 만나는 윤동주』, 『나무가 있다-윤동주 산문의 숲에서』, 『좋은 언어로-신동엽 평전』, 『곁으로-문학의 공간』, 『그늘-문학과 숨은 신』, 『일본적 마음』, 『이찬과 한국근대문학』, 『박두진의 상상력 연구』, 『한국시와 사회적 상상력』, 일본에서 『韓國現代詩の魅惑』 등을 냈다. 번역서로 다니카와 타로 『이십억 광년의 고독』, 양석일 장편소설 『어둠의 아이들』, 일본어로 번역한 고은 시선집 『いま君に詩が來たのか-高銀詩選集』(사가와 아키 공역) 등을 냈다.

김응교의 다른 상품

첫 문장은 마지막 문장이다 (큰글자도서)

첫 문장은 마지막 문장이다 (큰글자도서)

32,000

'첫 문장은 마지막 문장이다 (큰글자도서)' 상세페이지 이동

1923 간토대학살, 침묵을 깨라 + 백년 동안의 증언

1923 간토대학살, 침묵을 깨라 + 백년 동안의 증언

33,300 (10%)

'1923 간토대학살, 침묵을 깨라 + 백년 동안의 증언' 상세페이지 이동

백년 동안의 증언

백년 동안의 증언

15,300 (10%)

'백년 동안의 증언' 상세페이지 이동

첫 문장은 마지막 문장이다

첫 문장은 마지막 문장이다

15,750 (10%)

'첫 문장은 마지막 문장이다' 상세페이지 이동

폐허의 청년들, 존재와 탐색

폐허의 청년들, 존재와 탐색

27,000 (10%)

'폐허의 청년들, 존재와 탐색' 상세페이지 이동

신동엽과 문화콘텐츠

신동엽과 문화콘텐츠

30,400 (5%)

'신동엽과 문화콘텐츠' 상세페이지 이동

귀향

귀향

33,250 (5%)

'귀향' 상세페이지 이동

이 모든 무수한 반동이 좋다

이 모든 무수한 반동이 좋다

16,200 (10%)

'이 모든 무수한 반동이 좋다' 상세페이지 이동

저 : 남기택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남기택
관심작가 알림신청
문학평론가. 강원대학교 자유전공학부 교수. 1970년 대전 출생. 1999년 [작가마당], 2007년 [현대시]로 등단. 충남대학교 국어국문학과 및 동 대학원을 졸업했다. 주요 저서로는 『근대의 두 얼굴, 김수영과 신동엽』, 『강원영동지역문학의 정체와 전망』, 『경계와 소통, 한국 현대문학의 다층성』, 『지역, 문학, 로컬리티』 등이 있다.

남기택의 다른 상품

인문학 리더십 강의 1

인문학 리더십 강의 1

23,000

'인문학 리더십 강의 1' 상세페이지 이동

강원문학의 정체성과 모빌리티

강원문학의 정체성과 모빌리티

14,250 (5%)

'강원문학의 정체성과 모빌리티' 상세페이지 이동

역사와 고전의 창으로 본 21세기 공공리더십

역사와 고전의 창으로 본 21세기 공공리더십

16,000

'역사와 고전의 창으로 본 21세기 공공리더십' 상세페이지 이동

이 모든 무수한 반동이 좋다

이 모든 무수한 반동이 좋다

16,200 (10%)

'이 모든 무수한 반동이 좋다' 상세페이지 이동

김수영에서 김수영으로

김수영에서 김수영으로

23,750 (5%)

'김수영에서 김수영으로' 상세페이지 이동

지역, 문학, 로컬리티

지역, 문학, 로컬리티

13,500 (10%)

'지역, 문학, 로컬리티' 상세페이지 이동

대학생을 위한 글쓰기와 포트폴리오

대학생을 위한 글쓰기와 포트폴리오

18,000

'대학생을 위한 글쓰기와 포트폴리오' 상세페이지 이동

저 : 노혜경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노혜경
관심작가 알림신청
시인. 1991년 [현대시사상] 신인상으로 등단하였다. 부산 대학교 국어 국문학과 및 동 대학원 박사 과정을 수료하였고 북한 대학원 대학교에서 사회 언론 문화를 전공하여 박사 학위를 받았다. 1980년대에는 부산가톨릭센터 문화부에서 일하며 여성평우회 초청공연 행사 등을 치렀고, 1990년대엔 열음사 『외국문학』 편집장을 지냈다. 2000년대 ‘안티조선우리모두’를 중심으로 한 언론개혁운동, 노사모 운동, 개혁당 운동 등 사회변혁운동에 뛰어들었다. 열린우리당 중앙위원을 거쳐 참여정부 국정홍보비서관과 노사모 전국대표일꾼으로 일했다. 비누를 만들며 칼럼을 쓴다.

시집 『새였던 것을 기억하는 새』, 『뜯어먹기 좋은 빵』, 『캣츠아이』, 『말하라, 어두워지기 전에』 과 에세이집 『천천히 또박또박 그러나 악랄하게』, 『요즘 시대에 페미도 아니면 뭐해?』가 있다. 김준오 교수가 이끌었던 현대시학회 회원으로 『한국 현대시와 패러디』(현대미학사, 1996), 『한국 서술시의 시학(태학사, 1998) 공저자로 참여했고 여러 잡지에 평론과 서평을 기고했다. 김수영 연구회 회원으로 『50년 후의 시인』(도서출판b, 2019) 등을 함께 썼다. 공저 『유쾌한 정치반란 노사모』, 『페니스파시즘』, 『대통령 없이 일하기』 등이 있으며 문학을 통한 실천과 실천의 문학이라는 양날개로 날기 위해 꾸준히 노력하고 있다.

노혜경의 다른 상품

이 모든 무수한 반동이 좋다

이 모든 무수한 반동이 좋다

16,200 (10%)

'이 모든 무수한 반동이 좋다' 상세페이지 이동

그러나 최소한 나는 저항한다

그러나 최소한 나는 저항한다

15,300 (10%)

'그러나 최소한 나는 저항한다' 상세페이지 이동

요즘 시대에 페미도 아니면 뭐해?

요즘 시대에 페미도 아니면 뭐해?

13,500 (10%)

'요즘 시대에 페미도 아니면 뭐해?' 상세페이지 이동

50년 후의 시인

50년 후의 시인

22,800 (5%)

'50년 후의 시인' 상세페이지 이동

저 : 박수연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박수연
관심작가 알림신청
문학평론가. 1962년 충남 논산에서 태어났다. 1998년 [서울신문] 신춘문예에 박노해와 백무산의 시에 대한 평론으로 등단한 후 평론 활동을 이어 나가는 중이다. 충남대학교에서 문학을 가르치고 있으며, 계간지 [실천문학]의 편집위원을 거쳐 한국작가회의 기관지 [내일을 여는 작가]를 주관하고 있다. 시인 김수영과의 인연은 충남대학교에서 김수영의 시문학론으로 박사학위를 받으며 시작되었고 지금의 ‘김수영연구회’ 회장 역임까지 이어졌다. 현재는 김수영의 작품을 따라 읽고 만주, 일본, 부산, 거제도와 서울 등 그의 거주지를 걸으며 김수영 문학의 인문지리를 복원하는 작업 중이다. 평론집으로 『문학들』, 『국민, 미, 전체주의』, 『말할 수 없는 것과 말해야만 하는 것』, 공저로 『라깡과 문학』, 『친일문학의 내적 논리』, 『오장환 전집』 등 다수가 있다.

박수연의 다른 상품

나비가 된 불꽃

나비가 된 불꽃

13,500 (10%)

'나비가 된 불꽃' 상세페이지 이동

정본 노작 홍사용 문학 전집 2

정본 노작 홍사용 문학 전집 2

24,300 (10%)

'정본 노작 홍사용 문학 전집 2' 상세페이지 이동

정본 노작 홍사용 문학 전집 2

정본 노작 홍사용 문학 전집 2

24,300 (10%)

'정본 노작 홍사용 문학 전집 2' 상세페이지 이동

정본 노작 홍사용 문학 전집

정본 노작 홍사용 문학 전집

34,200 (10%)

'정본 노작 홍사용 문학 전집' 상세페이지 이동

이 모든 무수한 반동이 좋다

이 모든 무수한 반동이 좋다

16,200 (10%)

'이 모든 무수한 반동이 좋다' 상세페이지 이동

폐허에 폐허에 눈이 내릴까

폐허에 폐허에 눈이 내릴까

14,220 (10%)

'폐허에 폐허에 눈이 내릴까' 상세페이지 이동

시인의 거점

시인의 거점

31,350 (5%)

'시인의 거점' 상세페이지 이동

세계의 가장 비참한 사람이 되리라

세계의 가장 비참한 사람이 되리라

14,400 (10%)

'세계의 가장 비참한 사람이 되리라' 상세페이지 이동

저 : 이경수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이경수
관심작가 알림신청
Lee Kyung Soo,李京洙
문학평론가. 1968년 대전에서 태어났다. 고려대학교 국어국문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원에서 석사, 박사학위를 받았다. 중앙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교수. 중앙대 인문콘텐츠연구소 HK+사업단 공동연구원. 주요 저서로 『불온한 상상의 축제』 『바벨의 후예들 폐허를 걷다』 『춤추는 그림자』 『이후의 시』 『너는 너를 지나 무엇이든 될 수 있고』 『다시 읽는 백석 시』 『이용악 전집』 『백석 시를 읽는 시간』 등이 있다.

이경수의 다른 상품

개정판 이용악 전집

개정판 이용악 전집

56,050 (5%)

'개정판 이용악 전집' 상세페이지 이동

페미니즘 리부트 시대, 다시, 고정희

페미니즘 리부트 시대, 다시, 고정희

45,600 (5%)

'페미니즘 리부트 시대, 다시, 고정희' 상세페이지 이동

애타도록 서둘지 말라 나의 빛이여

애타도록 서둘지 말라 나의 빛이여

13,500 (10%)

'애타도록 서둘지 말라 나의 빛이여' 상세페이지 이동

이 모든 무수한 반동이 좋다

이 모든 무수한 반동이 좋다

16,200 (10%)

'이 모든 무수한 반동이 좋다' 상세페이지 이동

김수영에서 김수영으로

김수영에서 김수영으로

23,750 (5%)

'김수영에서 김수영으로' 상세페이지 이동

아직 오지 않은 시

아직 오지 않은 시

20,900 (5%)

'아직 오지 않은 시' 상세페이지 이동

백석 시를 읽는 시간

백석 시를 읽는 시간

22,800 (5%)

'백석 시를 읽는 시간' 상세페이지 이동

3·1운동의 문학적 재인식

3·1운동의 문학적 재인식

25,650 (5%)

'3·1운동의 문학적 재인식' 상세페이지 이동

저 : 이민호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이민호
관심작가 알림신청
김종삼 시인을 사사하여 스스로 종삼주의를 선언하고 아름다운 시의 길을 여는데 뜻을 둔 후 1994년 『문화일보』 신춘문예에 당선되어 시를 쓰기 시작했으며 서강 대학교 국문과 대학원에서 “김종삼 시의 담화론적 연구”로 석사 학위를, “현대시의 담화론적 연구-김수영·김춘수·김종삼을 대상으로”로 박사 학위를 받았다.

『국제 어문 학회』 등 각종 학회 이사로, 『한국 작가 회의』 이사로, 진보 문예 단체 『리얼리스트 100』 운영 위원으로, 『김수영 문학관』 운영 위원으로 강단과 문단에서 일하고 있는 경험을 바탕 삼아 김종삼의 문학과 삶을 향유하고 선양하는 모임 『종삼포럼』을 세워 대표를 맡고 있다. 김종삼의 시를 고전 음악과 감상하는 모임 ‘종삼 음악회’를 14회에 걸쳐 열고 있으며 출판사 ‘북치는소년’을 차려 김종삼의 문학적 업적을 기리기 위해 『김종삼정집金宗三正集』, 『김종삼·매혹시편』 등을 상재한 바 있다.

현재 서울 과학기술 대학교 기초교육 학부 초빙 교수로 재직하고 있으며 2021년 김종삼 시인 탄생 100주년을 맞이할 준비에 한창이다. 시집으로 『참빗 하나』, 『피의 고현학』, 『완연한 미연』, 평론집으로 『한국문학 첫 새벽에 민중은 죽음의 강을 건넜다』, 『도둑맞은 슬픈 편지』, 연구서로 『김종삼의 시적 상상력과 텍스트성』, 『흉포와 와전의 상상력』, 『낯설음의 시학』 등이 있음.

이민호의 다른 상품

청소년에게 시인이 읽어 주는 시인의 얼굴

청소년에게 시인이 읽어 주는 시인의 얼굴

13,500 (10%)

'청소년에게 시인이 읽어 주는 시인의 얼굴' 상세페이지 이동

토포포엠 topopoem _ 그 섬

토포포엠 topopoem _ 그 섬

13,500 (10%)

'토포포엠 topopoem _ 그 섬' 상세페이지 이동

전쟁과 음악과 평화와

전쟁과 음악과 평화와

9,000 (10%)

'전쟁과 음악과 평화와' 상세페이지 이동

내용 없는 아름다움

내용 없는 아름다움

25,200 (10%)

'내용 없는 아름다움' 상세페이지 이동

완연한 미연

완연한 미연

9,000 (10%)

'완연한 미연' 상세페이지 이동

우리 모두가 세월호였다

우리 모두가 세월호였다

9,000 (10%)

'우리 모두가 세월호였다' 상세페이지 이동

저 : 이성혁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이성혁
관심작가 알림신청
한국외국어대학교 일본어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교 대학원 국어국문학과에서 「1920년대 한국 근대시의 전위성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외대문학회]에서 시를 본격적으로 접하면서 문학에 입문했고 [외대대학원학술연구연합]에서 다방면의 공부를 했다. 1999년 김수영론으로 [문학과창작] 신인상을 받고 2003년 기형도론으로 서울신문 신춘문예 평론부문에 당선됐다. 대학에서는 주로 리얼리즘을, 대학원에서는 모더니즘과 아방가르드를 공부했다. 시와 정치의 관련성에 대한 관심이 많고 이를 바탕으로 현장평론 활동을 하고 있다. 현재 한국외대와 세명대에 출강하고 있다. 평론집으로는 『불꽃과 트임』(2005) 『불화의 상상력과 기억의 시학』(2011) 『서정시와 실재』(2011) 『미래의 시를 향하여』(2013) 『모더니티에 대항하는 역린』(2015) 『사랑은 왜 가능한가』(2019) 『시적인 것과 정치적인 것』(2020)이 있고 번역서로는 『화폐인문학』(2010, 공역) 『사건의 정치』(2017)가 있다.

이성혁 의 다른 상품

나비가 된 불꽃

나비가 된 불꽃

13,500 (10%)

'나비가 된 불꽃' 상세페이지 이동

김수영에서 김수영으로

김수영에서 김수영으로

23,750 (5%)

'김수영에서 김수영으로' 상세페이지 이동

이상 시문학의 미적 근대성과 한국 근대문학의 자장들

이상 시문학의 미적 근대성과 한국 근대문학의 자장들

29,000

'이상 시문학의 미적 근대성과 한국 근대문학의 자장들' 상세페이지 이동

시, 사건, 역사

시, 사건, 역사

16,000

'시, 사건, 역사' 상세페이지 이동

토크빌과 평등의 역설

토크빌과 평등의 역설

16,200 (10%)

'토크빌과 평등의 역설' 상세페이지 이동

시적인 것과 정치적인 것

시적인 것과 정치적인 것

14,400 (10%)

'시적인 것과 정치적인 것' 상세페이지 이동

사랑은 왜 가능한가

사랑은 왜 가능한가

13,500 (10%)

'사랑은 왜 가능한가' 상세페이지 이동

사건의 정치

사건의 정치

17,100 (10%)

'사건의 정치' 상세페이지 이동

저 : 이영준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이영준
관심작가 알림신청
문학평론가. 경희대학교 후마니타스칼리지 교수. 1958년 경남 울주에서 태어났다. 연세대학교 국어국문학과를 졸업하고 민음사에서 편집자로 일했다. 1997년 뉴욕대학교 비교문학과 방문학자로 지냈으며 이듬해 하버드대학교 동아시아문명학과에 입학, 김수영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버클리의 캘리포니아대학교, 하버드대학교, 어바나샴페인의 일리노이대학교에서 한국문학을 가르쳤고 2007년부터 지금까지 하버드대학교 한국학연구소에서 발간하는 영문 문예지 [AZALEA] 편집장으로 영어권 독자들에게 한국문학을 소개하고 있다. 경희대학교 서울캠퍼스 후마니타스칼리지 학장 겸 교양교육연구소장으로 재직 중이며 한국연구원 이사장이다.

『김수영 육필시고 전집』(민음사, 2009) 김수영 시 선집 『꽃잎』(민음사, 2016)을 편집해 발간했으며, “Howling Plants and Animals”(Harvard Journal of Asiatic Studies, 2012), “Sovereignty in the Silence of Language: The Political Vision of Kim Suyoung’s Poetry”(Acta Koreana, 2015) 「꽃의 시학: 김수영 시에 나타난 꽃 이미지와 언어의 주권」 등의 논문과 한국 문학에 대한 다수의 평문을 발표했다.

이영준의 다른 상품

이 모든 무수한 반동이 좋다

이 모든 무수한 반동이 좋다

16,200 (10%)

'이 모든 무수한 반동이 좋다' 상세페이지 이동

김수영에서 김수영으로

김수영에서 김수영으로

23,750 (5%)

'김수영에서 김수영으로' 상세페이지 이동

시여, 침을 뱉어라

시여, 침을 뱉어라

12,600 (10%)

'시여, 침을 뱉어라' 상세페이지 이동

꽃잎

꽃잎

9,900 (10%)

'꽃잎' 상세페이지 이동

50년 후의 시인

50년 후의 시인

22,800 (5%)

'50년 후의 시인' 상세페이지 이동

김수영 전집 1,2 세트

김수영 전집 1,2 세트

38,700 (10%)

'김수영 전집 1,2 세트' 상세페이지 이동

김수영 전집 2

김수영 전집 2

22,500 (10%)

'김수영 전집 2' 상세페이지 이동

김수영 전집 1

김수영 전집 1

16,200 (10%)

'김수영 전집 1' 상세페이지 이동

저 : 임동확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임동확
관심작가 알림신청
1959년 광주에서 태어나 전남대 국문과 및 같은 대학원, 서강대 대학원 국문과를 졸업했다. 1987년 시집 『매장시편』을 펴내면서 작품 활동을 시작했다. 현재 한신대 문예창작학과 교수이다. 독실한 천주교 집안의 둘째아들로 태어나 자식들에게 꾸지람 한 번 크게 하지 않은 부모님 밑에서 지극히 평범하고 무난한 아이로 성장했다. 다만 그 시절 유일하게 책 읽기를 좋아했는데, 대학 입학 직전까지 자신이 시인이 되리라곤 꿈에도 생각해 본 적이 없었다.

하지만 어릴 적 “글을 쓰면 평생 힘들게 산단다”라던 어머니 말이 ‘씨’가 되었을까? 불현듯 문학도의 길을 선택한 후 뜻하지 않은 역사적 격변에 휘말렸으며, 그로 인해 역사와 개인, 전체와 부분의 문제를 주요 시적 화두이자 삶의 자양으로 삼아 암울하고 험난한 시대를 관통해 왔다. 특히 세상의 모순과 불화에 주목하면서도 존재하는 모든 것들의 궁극적인 화해와 소통에 깊은 관심을 갖고 있으며, 여전히 알 수 없는 그 어떤 운명의 물살에 떠밀리면서도 그 운명의 부름에 귀 기울이며 힘겹게 돌파해 가는 중이다.

시집으로 『살아있는 날들의 비망록』, 『운주사 가는 길』, 『벽을 문으로』, 『처음 사랑을 느꼈다』, 『나는 오래전에도 여기 있었다』, 『태초에 사랑이 있었다』, 『길은 한사코 길을 그리워한다』, 시론집으로 『사람이 꽃보다 아름다운 이유』, 『매장시편』 『누군가 간절히 나를 부를 때』, 시 해설집 『우린 모두 시인으로 태어났다』 등이 있다.

임동확의 다른 상품

부분은 전체보다 크다

부분은 전체보다 크다

15,000

'부분은 전체보다 크다' 상세페이지 이동

시는 기도다

시는 기도다

20,900 (5%)

'시는 기도다' 상세페이지 이동

귀향

귀향

33,250 (5%)

'귀향' 상세페이지 이동

이 모든 무수한 반동이 좋다

이 모든 무수한 반동이 좋다

16,200 (10%)

'이 모든 무수한 반동이 좋다' 상세페이지 이동

김수영에서 김수영으로

김수영에서 김수영으로

23,750 (5%)

'김수영에서 김수영으로' 상세페이지 이동

2021 오늘의 좋은 시

2021 오늘의 좋은 시

14,400 (10%)

'2021 오늘의 좋은 시' 상세페이지 이동

2020 오늘의 좋은 시

2020 오늘의 좋은 시

13,500 (10%)

'2020 오늘의 좋은 시' 상세페이지 이동

50년 후의 시인

50년 후의 시인

22,800 (5%)

'50년 후의 시인' 상세페이지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