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 소개(7명)

이전

공저 : 전치형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공저 : 전치형
관심작가 알림신청
KAIST 과학기술정책대학원 부교수.
선조위 · 사참위 종합보고서 작성에 참여했고, 과학기술학의 관점에서 세월호 진상규명 과정을 연구하고 있다.

전치형의 다른 상품

대한민국 재난의 탄생

대한민국 재난의 탄생

15,300 (10%)

'대한민국 재난의 탄생' 상세페이지 이동

긋닛 1호+2호 세트

긋닛 1호+2호 세트

21,600 (10%)

'긋닛 1호+2호 세트' 상세페이지 이동

긋닛 1호 : 비대면 [2022]

긋닛 1호 : 비대면 [2022]

10,800 (10%)

'긋닛 1호 : 비대면 [2022]' 상세페이지 이동

과학잡지 에피 (계간) : 18호 [2021]

과학잡지 에피 (계간) : 18호 [2021]

13,500 (10%)

'과학잡지 에피 (계간) : 18호 [2021]' 상세페이지 이동

로봇의 자리

로봇의 자리

14,400 (10%)

'로봇의 자리' 상세페이지 이동

사람의 자리

사람의 자리

14,400 (10%)

'사람의 자리' 상세페이지 이동

호흡공동체

호흡공동체

15,300 (10%)

'호흡공동체' 상세페이지 이동

미래는 오지 않는다

미래는 오지 않는다

13,500 (10%)

'미래는 오지 않는다' 상세페이지 이동

공저 : 김성은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공저 : 김성은
관심작가 알림신청
카이스트에서 화학을 공부하고 현재 같은 학교 과학기술정책대학원 박사과정에 재학 중이다. 인간과 기계가 함께 움직일 때 생겨나는 기술적, 정치적, 문화적 문제들을 연구한다. 특히 교통망, 무선통신망, 대기질 측정망과 같은 거대한 사회기술적 인프라가 어떻게 작동하고 유지되는지에 관심이 많다. 세월호 참사 이후 과학기술을 활용해 재난을 관리하려는 한국 정부의 정책에 대한 석사 논문을 썼다.

김성은의 다른 상품

호흡공동체

호흡공동체

15,300 (10%)

'호흡공동체' 상세페이지 이동

공저 : 임태훈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공저 : 임태훈
관심작가 알림신청
성균관대학교 국어국문학과 조교수. 문학과 테크놀로지, SF 문화와 사운드스케이프 예술을 연구하고 있다. 인문학협동조합 미디어기획위원장으로 활동했다. 저서로 『블레이드 러너 깊이 읽기』(공저, 2021), 『기계비평들』(공저, 2019), 『한국 테크노컬처 연대기』(공저, 2017), 『시민을 위한 테크놀로지 가이드』(공저, 2017), 『검색되지 않을 자유』(2014), 『우애의 미디올로지』(2012) 등이 있다. 주요 논문으로는 「쓰레기 처리 제도의 변화와 소비 대중의 기억 문화 (1): ‘종량제 봉투’를 소재로 한 소설을 중심으로」(2021), 「기생 경제와 기식음의 정보 체계로부터: 이광수 <개척자> 재독」(2020), 「납 활자 인쇄소의 퇴출과 문학적 기록」(2019) 등이 있다.

임태훈의 다른 상품

블레이드 러너 깊이 읽기

블레이드 러너 깊이 읽기

16,200 (10%)

'블레이드 러너 깊이 읽기' 상세페이지 이동

서드 라이프 (큰글씨책)

서드 라이프 (큰글씨책)

30,000

'서드 라이프 (큰글씨책)' 상세페이지 이동

서드 라이프

서드 라이프

19,800

'서드 라이프' 상세페이지 이동

게임의 이론: 놀이에서 디지털 게임까지

게임의 이론: 놀이에서 디지털 게임까지

19,000 (5%)

'게임의 이론: 놀이에서 디지털 게임까지' 상세페이지 이동

스테이트 아방가르드의 유령

스테이트 아방가르드의 유령

23,750 (5%)

'스테이트 아방가르드의 유령' 상세페이지 이동

한국 테크노컬처 연대기

한국 테크노컬처 연대기

14,250 (5%)

'한국 테크노컬처 연대기' 상세페이지 이동

4차산업혁명이라는 거짓말

4차산업혁명이라는 거짓말

10,800 (10%)

'4차산업혁명이라는 거짓말' 상세페이지 이동

공저 : 김성원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공저 : 김성원
관심작가 알림신청
하자센터, 크리킨디센터, 파주타이포그라피 학교에서 청소년들에게 생활기술을 가르치고 많은 기고를 했다. ‘예술과 기술을 놀이처럼’이란 모토로 ‘PlayAT 연구소’를 운영중이다. 예술적이고 실험적인 놀이터 디자인과 놀이터 전시에 참여했고, 이 과정의 경험을 살려 『마을이 함께 만드는 모험 놀이터』 책을 냈다. 놀이터에 대한 관심을 학교로 확장해 학교 운동장의 재구조화와 학교 공간 혁신에 관심을 갖고 오랜 동안 연구하며 관련 프로젝트에 참여했고, 학교 공간 기획자로 활동하며 많은 교육현장에서 교육 공간에 관한 강연과 워크숍을 진행하고 있다. 또한 생태적 전환과 자급자족을 위한 다양한 삶의 기술인 적정기술, 텃밭, 공동체, 공예예술에 관심을 두고 지속해서 탐구하고 실험하고 있다. 삶을 경험을 꾸준히 책으로 저술해 지식과 정보를 다른 사람과 공유해왔다. 『마을이 함께 만드는 모험 놀이터』 『이웃과 함께 짓는 흙부대 집』 『시골, 돈보다 기술』 『근질거리는 나의 손』 『점화본능을 일깨우는 화덕의 귀환』 『화목난로의 시대』 등의 책을 썼고, 공저로 『똥의 인문학』, 『사물에 수작 부리기』, 『기계비평들』이 있다.

김성원의 다른 상품

학교의 발견, 교실의 발명

학교의 발견, 교실의 발명

22,500 (10%)

'학교의 발견, 교실의 발명' 상세페이지 이동

자연 미장

자연 미장

18,000 (10%)

'자연 미장' 상세페이지 이동

똥의 인문학

똥의 인문학

13,500 (10%)

'똥의 인문학' 상세페이지 이동

지구별 생태사상가

지구별 생태사상가

17,100 (10%)

'지구별 생태사상가' 상세페이지 이동

만드는 사람들

만드는 사람들

10,800 (10%)

'만드는 사람들' 상세페이지 이동

흙을 세우다

흙을 세우다

10,800 (10%)

'흙을 세우다' 상세페이지 이동

마을이 함께 만드는 모험 놀이터

마을이 함께 만드는 모험 놀이터

13,500 (10%)

'마을이 함께 만드는 모험 놀이터' 상세페이지 이동

사물에 수작 부리기

사물에 수작 부리기

16,150 (5%)

'사물에 수작 부리기' 상세페이지 이동

공저 : 장병극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공저 : 장병극
관심작가 알림신청
철도 문화사 연구자다. 영주공작창이 일터였던 할아버지, 30년간 철도 공무원으로 근무한 아버지 덕분에 어릴 때부터 늘 기차와 함께 살았다. 철도 관사에서 자란 그에게 7000호대의 디젤 전기 기관차와 각종 무개화차들이 수리를 기다리고 있던 철도공작창은 자연스럽게 대차 방식과 삭륜 과정을 터득한 놀이터였다. 2002년부터 서울 오류동의 철도직원자녀 기숙사에 살면서 다양한 연도에 생산된 전철의 둔탁한 구동음을 어렴풋이 구분하기 시작했다. 성균관대학교 동아시아학과 박사과정을 수료하고 한양대학교 에리카 캠퍼스, 서울자유시민대학 등에서 학생들을 가르쳤으며, 현재 인문학협동조합 조합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우리가 처음 철도라는 기계 장치와 조우했던 120년 전의 기억들을 수집하고 정리하는 작업을 진행하는 한편, 오늘도 객차 구석에 앉아 철도 테크노컬처의 형성 과정을 추적하고 있다.

공저 : 강부원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공저 : 강부원
관심작가 알림신청
성균관대, 한양대 등지에서 강의하며 학생들과 문학·문화와 역사에 대해 논하고 있다. 인문학협동조합원으로서 ‘앎’과 ‘삶’의 일치를 추구하며, ‘머리’와 ‘몸’이 같은 속도로 움직이는 ‘연구자’이자 ‘활동가’로 살아가고 싶어 한다.
오랜 시간 학교와 광장을 가리지 않고 학생과 시민을 만났다. 오래된 신문과 잡지 읽기를 즐기며, 책과 영상을 가리지 않는 잡식성 인문학자이기도 하다. 뉴미디어 운동과 참여형 플랫폼 확산에 기여하는 활동을 이어가고 있다.
일상에 영감을 불러일으키는 채널 ‘아홉시’의 중요 저자였으며, 현재는 서로 다른 관점을 나누는 미디어 플랫폼 ‘얼룩소’에 정기적으로 글을 연재하며 독자들과 만나고 있다.
지은 책으로 『역사에 불꽃처럼 맞선 자들』 『역사에 별빛처럼 빛난 자들』 『팽목항에서 불어오는 바람』(공저) 『기계비평들』(공저) 『진격의 독학자들』(공저) 등이 있다.

강부원의 다른 상품

한국 현대사를 뒤흔든 40가지 사건

한국 현대사를 뒤흔든 40가지 사건

18,000 (10%)

'한국 현대사를 뒤흔든 40가지 사건' 상세페이지 이동

역사에 별빛처럼 빛난 자들

역사에 별빛처럼 빛난 자들

14,850 (10%)

'역사에 별빛처럼 빛난 자들' 상세페이지 이동

역사에 불꽃처럼 맞선 자들

역사에 불꽃처럼 맞선 자들

15,300 (10%)

'역사에 불꽃처럼 맞선 자들' 상세페이지 이동

공저 : 언메이크 랩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공저 : 언메이크 랩
관심작가 알림신청
인간, 기술, 자연, 사회 사이에 형성되는 상호 관계 혹은 구조를 리서치하고 재배치하는 것에 관심이 있다. 특히 그 사이에서 발생되는 데이터와 연산의 패턴에 대한 관심을 가지고 활동하고 있다. 그리고 그 과정이 작업을 넘어 공동의 탐구가 될 수 있는 방법을 찾고 있다. 『우리의 밝은 미래, 사이버네틱 환상』(2017), 『두잇』(2017), 『Moscow Biennale for Young Art』(2018) 등의 전시에 참여했고, 일시적 기술예술 학교 ‘포킹룸(Forking Room)’을 진행하며 사람들과 생각을 나누고 있다. 현재는 1960?1980년대 한국의 기술 문화에 대한 리서치인 ‘키트의 사회문화사’와 스마트시티와 IoT에 대한 리서치 ‘당신의 똑똑한 이웃들’을 진행하며 작업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