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 소개(8명)

이전

저 : 요나스 피스터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요나스 피스터
관심작가 알림신청
Jonas Pfister
1977년생으로서 베른과 파리에서 철학과 역사를 공부했다. 2007년 베른 대학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하고 2008년부터 2009년까지 오슬로 대학에서 박사후 과정 연구를 했다. 현재는 베른 대학의 철학연구소에서 연구와 강의를 하고 있다. Werkzeuge des Philosophierens(Reclam, 2013), Fachdidak- tik Philosophie(2판, Bern: Haupt Verlag, 2014) 등의 책을 썼다.

공역 : 손영식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공역 : 손영식
관심작가 알림신청
서울대학교 철학과에서 학사·석사·박사를 했다. 각각 공자, 정이, 주희에 관한 논문을 썼다. 현재 울산대학교 철학과 교수로 있다. 주된 연구 분야는 중국과 한국의 신유학, 중국의 제자백가사상, 그리고 노자와 장자의 철학이다. 이 가운데 송나라 때의 성리학이 중심적인 연구 분야다. 이를 기반으로 해서 고대로 거슬러올라가 제자백가의 사상까지 갔다. 동시에 지역적으로 조선시대의 신유학 사상을 연구했다. 새로운 가설을 제시하는 것을 좋아해서, 2001~2006년에 걸쳐 벌어졌던 이이와 이황 철학의 성격을 두고 벌인 논쟁에 주된 논객으로 참여했다. 이를 기반으로 해서 성리학의 형이상학을 새롭게 정리한 『성리학의 형이상학 시론』과 『성리학의 형이상학 도론』이라는 책을 썼다.

손영식의 다른 상품

중국의 운명

중국의 운명

25,000

'중국의 운명' 상세페이지 이동

마음과 철학 유학편

마음과 철학 유학편

19,800

'마음과 철학 유학편' 상세페이지 이동

공역 : 권용혁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공역 : 권용혁
관심작가 알림신청
연세대 철학과를 졸업하고, 동국대 대학원 철학과에서 석사 학위를, 독일 베를린 자유대에서 철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1992년부터 지금까지 울산대 철학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으며, 울산대 인문대학 학장을 지냈다.

2000년 이전에는 의사소통 공동체 이론과 관련된 주제로 글을 썼고, 그후로는 동아시아 및 한국 현실의 변화상과 관련된 글을 발표해왔다. 최근 십 년간은 한국 및 동아시아 근대의 특징들을 철학적으로 개념화하는 작업과 공동체 관련 이론들을 재구성하는 일과 씨름하고 있다. 넓게 보자면 사회 현실을 대상으로 철학화하는 일을 주업으로 삼아왔다. 학문적 관심 영역은 사회철학, 정치철학, 실천윤리학 등이며, ‘사회와 철학 연구회’에서 주로 활동하고 있다(사회와 철학 연구회 회장 역임).

주요 저서로는 『홉스의 개인주의 비판』(1991), 『이성과 사회』(1998), 『철학과 현실』(2004), 『한국 가족, 철학으로 바라보다』(2012), 『한중일 사회에서의 다문화가족』(공저, 2014), 『열린 공동체를 꿈꾸며』(2020) 등이 있고, 주요 논문으로는 「민주주의와 소수자」(2010), 「개인과 공동체」(2012), 「공적 영역과 사적 영역」(2013), 「국민국가 시대의 민주주의」(2014), 「가족과 열린 공동체」(2015), 「근대성 탐구」(2016), 「한국의 근대화와 근대성」(2017), 「공동체의 미래」(2019) 등이 있다.

권용혁의 다른 상품

가족과 근대성

가족과 근대성

19,000 (5%)

'가족과 근대성' 상세페이지 이동

열린 공동체를 꿈꾸며

열린 공동체를 꿈꾸며

17,100 (5%)

'열린 공동체를 꿈꾸며' 상세페이지 이동

기업과 민주주의

기업과 민주주의

4,000

'기업과 민주주의' 상세페이지 이동

가족과 민주주의

가족과 민주주의

5,000

'가족과 민주주의' 상세페이지 이동

한중일 기업 문화를 말한다

한중일 기업 문화를 말한다

20,700 (10%)

'한중일 기업 문화를 말한다' 상세페이지 이동

공역 : 조창오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공역 : 조창오
관심작가 알림신청
부산대학교 철학과 교수다. 중점 연구 분야는 예술철학과 기술철학이다. 헤겔과 베냐민의 예술철학, 분석 미학을 중점적으로 연구했으며, 이외에 사회철학에도 관심을 두고 있다. 현재는 기술철학의 역사를 재구성하고 있다. 박사학위 논문은 『현대의 우울증적 구성과 상징, 헤겔의 현대비극 개념』(2014)이다. 논문으로 “‘고향 없음’의 삶에 관한 철학적 반성”(2019), “슈미트의 낭만주의 개념과 미적 주권”(2017), “슈미트와 벤야민의 종말론적 사유”(2016), “셸링의 ‘비극적인 것’의 철학”(2015), “단토의 예술 존재론”(2015), “안더스의 기술 개념과 인간 향상”(2013), “카시러의 기술 개념과 그 현재성”(2013) 등이 있다. 옮긴 책으로 『기술철학 입문』(2021), 『트랜스휴머니즘과 포스트휴머니즘』(2021), 『늙어감에 관하여』(2019), 『박물관 이론 입문』(2018) 등이 있고, 지은 책으로 『예술의 종말과 현대예술』(2019)이 있다.

조창오의 다른 상품

에른스트 카프 (큰글자책)

에른스트 카프 (큰글자책)

25,000

'에른스트 카프 (큰글자책)' 상세페이지 이동

에른스트 카프

에른스트 카프

12,000

'에른스트 카프' 상세페이지 이동

초연결시대 관계의 상전이相轉移 연구

초연결시대 관계의 상전이相轉移 연구

13,500 (10%)

'초연결시대 관계의 상전이相轉移 연구' 상세페이지 이동

기술철학 입문

기술철학 입문

19,000 (5%)

'기술철학 입문' 상세페이지 이동

기술철학 개요

기술철학 개요

28,000

'기술철학 개요' 상세페이지 이동

트랜스휴머니즘과 포스트휴머니즘

트랜스휴머니즘과 포스트휴머니즘

17,000

'트랜스휴머니즘과 포스트휴머니즘' 상세페이지 이동

예술의 종말과 현대예술

예술의 종말과 현대예술

18,000 (10%)

'예술의 종말과 현대예술' 상세페이지 이동

늙어감에 대하여 큰글자책

늙어감에 대하여 큰글자책

19,000

'늙어감에 대하여 큰글자책' 상세페이지 이동

공역 : 김남호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공역 : 김남호
관심작가 알림신청
리브 김
2004년 울산대학교 철학과를 졸업(B.A.)한 뒤에, 2010년 독일 브레멘(Bremen) 대학에서 철학 학사(BA)와 예술학 학사(BA) 학위를, 2017년 독일 본(Bonn) 대학에서 철학 박사(Ph.D) 학위를 받았다. 2016년부터 울산대학교에서 철학을 가르치고 있다. 전문 분야는 철학적 인간학, 형이상학, 윤리학이며, 주요 논문으로는 “인격, 인간인격, 그리고 인격 동일성”(2017) 외 다수가 있다.
저서로는 『철학자가 된 셜록 홈즈: 현대 심리철학으로의 모험』(새물결플러스, 2018)이 있으며, 역서로는『철학의 모든 것』(요나스 피스터 저, 손영식 외 공역, 북코리아, 2019)이 있다.

김남호의 다른 상품

당신은 자유로운가

당신은 자유로운가

14,400 (10%)

'당신은 자유로운가' 상세페이지 이동

신경과학 시대에 인간을 다시 묻다

신경과학 시대에 인간을 다시 묻다

20,000

'신경과학 시대에 인간을 다시 묻다' 상세페이지 이동

혐오와 한국 교회

혐오와 한국 교회

14,400 (10%)

'혐오와 한국 교회' 상세페이지 이동

등역 : 이상엽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등역 : 이상엽
관심작가 알림신청
성균관대학교 한국철학과 3년 수료 후 독일 베를린자유대학교에서 철학, 정치학, 사회학을 공부하여 철학 학사 및 석사 학위를 취득했고, 「허무주의와 극복인(Nihilismus und Ubermensch-Friedrich Nietzsches Versuch eines neuen menschlichen Lebens ohne Transzendenz)」으로 철학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현재 울산대학교 철학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주요 저서로는 『문화 및 문화 현상에 대한 철학적 성찰』(공저, 2002), 『역사철학, 21세기와 대화하다』(공저, 2015) 등이 있고, 역서로는 『니체와 소피스트』(2015), 『이 사람을 보라』(2016), 『니체, 건강의 기술』(2019) 등이 있다. 주요 논문으로는 「삶의 관점에서 본 비극의 의미」(2015), 「니체의 몸과 자기, 그리고 예술생리학」(2018), 「니체, 허무주의와 춤」(2019) 등이 있다.

이상엽의 다른 상품

바그너의 경우

바그너의 경우

12,350 (5%)

'바그너의 경우' 상세페이지 이동

비판적 사고와 논증적 글쓰기

비판적 사고와 논증적 글쓰기

17,000

'비판적 사고와 논증적 글쓰기' 상세페이지 이동

니체, 건강의 기술

니체, 건강의 기술

13,500

'니체, 건강의 기술' 상세페이지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