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 소개(2명)

이전

저 : 김미영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김미영
관심작가 알림신청
金美榮
안동대학교 민속학과를 졸업하고 인하대학교 대학원 국어국문학과에서 석사학위를 취득 후 일본 도요대학교 사회학연구과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한국국학진흥원 수석연구위원으로 재직 중이다. 저서로는 『가례의 수용과 조선 사대부의 집안 다스리기』, 『유교공동체와 의례문화』, 『유교의례의 전통과 상징』, 『가족과 친족의 민속학』, 『숭정처사의 삶을 살다, 봉화 팔오헌 김성구 종가』, 『도학의 길을 걷다, 안동 유일재 김언기 종가』 등이 있고, 논문으로는 「제례음식의 규범과 토착화」, 「유교이념의 실천도구로서 음식」 등 다수가 있다.

김미영의 다른 상품

안동 운천 김용 종가

안동 운천 김용 종가

17,000

'안동 운천 김용 종가' 상세페이지 이동

종가제례음식: 충청편

종가제례음식: 충청편

29,000

'종가제례음식: 충청편 ' 상세페이지 이동

종가제례음식: 전라편

종가제례음식: 전라편

22,000

'종가제례음식: 전라편 ' 상세페이지 이동

종가제례음식: 경상편

종가제례음식: 경상편

27,000

'종가제례음식: 경상편 ' 상세페이지 이동

종가제례음식 4

종가제례음식 4

31,000

'종가제례음식 4' 상세페이지 이동

종가제례음식 3

종가제례음식 3

25,000

'종가제례음식 3' 상세페이지 이동

종가제례음식 2

종가제례음식 2

26,000

'종가제례음식 2' 상세페이지 이동

종가제례음식 1

종가제례음식 1

28,000

'종가제례음식 1' 상세페이지 이동

저 : 박정혜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박정혜
관심작가 알림신청
朴廷蕙
오늘날 우리가 조선시대 궁궐과 왕실의 그림을 익숙하게 떠올릴 수 있게 된 것은 명실상부 그의 연구 덕이다. 누구보다 일찍 조선시대 기록화, 궁중회화, 채색화 분야 연구에 관심을 갖기 시작한 그는 조선 양반들이 남긴 사가기록화로 연구의 영역을 확장하여 조선시대 기록화의 세계가 우리 곁으로 생생하게 다가오게 한다.
*
홍익대학교 대학원 미술사학과에서 석사 및 박사학위를 받았고, 홍익대학교 미술사학과 겸임교수를 거쳐, 하버드대학교 옌칭연구소 방문교수로 있었던 그는 2002년부터 지금까지 한국학중앙연구원 교수로 재직하면서 후학 양성에 각별히 힘을 쏟고
있다. 또한 (사)한국미술사학회 회장, 서울시?경기도?경상북도 문화재위원, 국사편찬위원회 위원을 역임했으며, 현재는 문화재청 문화재위원회 위원, 영정동상심의위원회 위원, 서울역사박물관 운영자문 위원 활동 등을 통해 지식의 사회 환원에도 애쓰고 있다.
*
그동안 펴낸 책으로는 『조선시대 궁중기록화 연구』, 『영조 대의 잔치 그림』, Court Painting from the Joseon Dynasty 등이 있고, 이 밖에도 『왕과 국가의 회화』, 『조선궁궐의 그림』, 『왕의 화가들』, 『한국미술, 세계를 만나다: 근대기 외국인 컬렉터 연구』등의 여러 공저와 「의궤를 통해서 본 조선시대의 화원」, 「대한제국기 화원 제도의 변모와 화원의 운용」, 「현종정미온행계병과 17세기의 산수화 계병」, 「조선후기 〈왕회도〉 병풍의 제작과 의미」, 「19세기 궁궐 계화와 〈동궐도〉의 건축 표현」 등 다수의 논문이 있다.

박정혜의 다른 상품

조선시대 사가기록화, 옛 그림에 담긴 조선 양반가의 특별한 순간들

조선시대 사가기록화, 옛 그림에 담긴 조선 양반가의 특별한 순간들

53,100 (10%)

'조선시대 사가기록화, 옛 그림에 담긴 조선 양반가의 특별한 순간들' 상세페이지 이동

왕의 화가들

왕의 화가들

27,000 (10%)

'왕의 화가들' 상세페이지 이동

창덕궁 깊이 읽기

창덕궁 깊이 읽기

26,600 (5%)

'창덕궁 깊이 읽기' 상세페이지 이동

조선 궁궐의 그림

조선 궁궐의 그림

29,700 (10%)

'조선 궁궐의 그림' 상세페이지 이동

왕과 국가의 회화

왕과 국가의 회화

25,200 (10%)

'왕과 국가의 회화' 상세페이지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