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 소개(18명)

이전

저 : 강난형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강난형
관심작가 알림신청
건축가이자 건축연구자로 홍익대학교 건축학과를 졸업하고 서울시립대학교 건축학과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버클리대학교 건축학과 및 동아시아연구소 방문학자였고, 현재 건축사사무소 아키텍토닉스의 대표 연구자로 활동 중이다. 주요 저서로는 『경복궁의 모던 프로젝트』(2018, 제9회 심원건축학술상 수상작), 공저 『국가 아방가르드의 유령』 (프로파간다, 2019), 『HURPI구술집 1964-1967』(마티, 2022) 등이 있다.

건축가이자 건축역사학자로 아시아 도시의 압축적 맥락 속에서 건축 설계와 역사의 관계를 궁리한다. 서울시립대학교 건축학과에서 박사학위를 받았고, 버클리대학교 건축학과 및 동아시아연구소 방문학자(2017~2018)였다. 현재 아시아 발전국가의 도시 개발과 유산 보존, 수공예 콘크리트 기술사를 연구중이다. 『경복궁의 모던프로젝트』(2018, 제9회 심원건축학술상)를 썼고, ‘광화문의 함성과 촛불’(서울역사박물관, 2017), ‘세운상가 전시 ‘잃어버린 항해’’(광주디자인 비엔날레, 2011) 등의 전시에 참여했다.

강난형 의 다른 상품

지붕 없는 방

지붕 없는 방

22,500 (10%)

'지붕 없는 방' 상세페이지 이동

경복궁의 모던 프로젝트

경복궁의 모던 프로젝트

18,000 (10%)

'경복궁의 모던 프로젝트' 상세페이지 이동

스테이트 아방가르드의 유령

스테이트 아방가르드의 유령

23,750 (5%)

'스테이트 아방가르드의 유령' 상세페이지 이동

저 : 김정혜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김정혜
관심작가 알림신청
2018년 현재 UCL 바틀렛 스쿨 오브 아키텍처, 건축사 및 이론 박사 과정으로, 도시 환경에서 일어나는 건축 디자인 및 미술 작업을 중심으로 논의하는 연구자 겸 번역가로 활동하고 있다. 주요 연구 관심사는 도시 환경과 정치/사회/경제의 관계성을 통한 에콜로지의 균형, 트라우마를 내재한 역사적 공간, 장소성 및 비장소성에 관한 것이다. 번역서로는 할 포스터의 『콤플렉스』 (The Art-Architecture Complex, 2011/2013)와 찰스 젠크스 및 네이선 실버의 『임시변통과 즉석제작의 미학』(Adhocism 증보판, 2013/2016) 등이 있다.

김정혜의 다른 상품

스테이트 아방가르드의 유령

스테이트 아방가르드의 유령

23,750 (5%)

'스테이트 아방가르드의 유령' 상세페이지 이동

저 : 김현경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김현경
관심작가 알림신청
서울대에서 인류학을 공부하고 프랑스 사회과학고등연구원(EHESS)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박사논문은 1895년부터 1990년대 중반까지 한국인의 해외유학을 '세속적인 순례'라는 관점에서 분석한 것이다. 2005년부터 서울대, 연세대, 덕성여대 등에서 인류학을 가르쳤고 현재는 글쓰기에 전념하고 있다. 저서로 『사람, 장소, 환대』(2015)가 있다.

김현경의 다른 상품

스테이트 아방가르드의 유령

스테이트 아방가르드의 유령

23,750 (5%)

'스테이트 아방가르드의 유령' 상세페이지 이동

저 : 신정훈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신정훈
관심작가 알림신청
미국 빙엄턴 소재 뉴욕주립대 미술사학과에서 1960년대 이후 서울의 변화와 미술의 전환이 교차하는 지점들을 조명하는 논문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서울대학교 인문대학 박사후연수연구원 및 한국예술종합대학교 한국예술연구소 학술연구교수를 역임하고 현재 서울대학교 미술대학 서양화과와 협동과정 미술경영의 조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한묵, 김수근, 김구림, 현실과 발언, 최정화, 박찬경, 성남프로젝트, 플라잉시티에 대한 논문과 에세이가 있다. 공저로 『한국미술 1900?2020』(국립현대미술관, 2021), Interpreting Modernism in Korean Art(Routledge, 2021), Collision, Innovation, Interaction: Korean Art from 1953(Phaidon, 2020) 등이 있고, 주요 논문으로는 「기계, 우주, 전자: 1960년대 말 한국미술과 과학기술」, 「모방과 필연: 1950?60년대 한국미술비평의 쟁점」 등이 있다.

신정훈의 다른 상품

비평으로 보는 현대 한국미술

비평으로 보는 현대 한국미술

36,000 (10%)

'비평으로 보는 현대 한국미술' 상세페이지 이동

한국 미술 다시 보기 세트

한국 미술 다시 보기 세트

117,000 (10%)

'한국 미술 다시 보기 세트 ' 상세페이지 이동

한국 미술 다시 보기 1

한국 미술 다시 보기 1

36,000 (10%)

'한국 미술 다시 보기 1' 상세페이지 이동

민중미술, 역사를 듣는다 2

민중미술, 역사를 듣는다 2

31,500 (10%)

'민중미술, 역사를 듣는다 2' 상세페이지 이동

로이어스 민사법 기록형 2019년판을 위한 추가해설

로이어스 민사법 기록형 2019년판을 위한 추가해설

12,350 (5%)

'로이어스 민사법 기록형 2019년판을 위한 추가해설' 상세페이지 이동

레드 아시아 콤플렉스

레드 아시아 콤플렉스

18,000 (10%)

'레드 아시아 콤플렉스' 상세페이지 이동

스테이트 아방가르드의 유령

스테이트 아방가르드의 유령

23,750 (5%)

'스테이트 아방가르드의 유령' 상세페이지 이동

X : 1990년대 한국미술

X : 1990년대 한국미술

26,100 (10%)

'X : 1990년대 한국미술' 상세페이지 이동

저 : 조현정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조현정
관심작가 알림신청
현재 카이스트 인문사회과학부에서 미술사와 건축사를 가르치고 있다. 서울대학교 고고미술사학과를 졸업하고 미국 남캘리포니아대학(USC)에서 일본 전후건축에 관한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한국과 일본 건축의 영향 관계 및 건축가와 미술가의 협업에 관심을 갖고 있으며, 주요 논문으로는 「예술로서의 건축, 작가로서의 건축가: 김중업과 1950년대 한국 건축」(2018), 「Tange Kenz?’s Tokyo Plan, 1960, A Plan for Urban Mobility」(2018), 「Metabolism and Cold War Architecture」(2014) 등이 있다.

저 : 안창모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안창모
관심작가 알림신청
서울대학교 건축학과를 졸업한 후 동대학원에서 한국 근현대 건축을 공부하고, “한국전쟁을 전후한 한국건축의 성격변화”와 “건축가 박동진에 관한 연구”로 석사?박사학위를 받았다. 1990년에 건축사 면허를 취득했다. 미국 콜롬비아대학교와 일본 동경대학에서 객원연구원을 지냈고, 건축역사학회 부회장을 지냈으며, 현재 경기대학교 건축학과 교수로 한국 근대건축의 역사와 이론을 연구하며 역사문화환경보존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대통령 소속 국가건축정책위원회 위원, 문화재청 문화재위원, 서울시 미래유산보존위원회 위원을 역임했고, 현재 (사)근대도시건축연구와실천을위한모임 회장과 문화유산국민신탁 이사로 활동하고 있다. 저서에 『한국현대건축50년』(1996), 『덕수궁?시대의 운명을 안고 제국의 중심에 서다』(2009), 『서울건축사』(1999, 공저), 『평양건축가이드』(2011, 공저), 『북한문화, 둘이면서 하나인 문화』(2008, 공저) 등이 있고, 국가상징거리조성종합계획, 구서울역사복원과 문화공간화사업 등에 참여했고, 역사문화도시관리기본계획 등 역사도시서울과 근대건축문화유산의 보존과 활용에 관한 연구에 참여하고 있다. 2014년 베니스 건축비엔날레에서 황금사자상을 수상한 한국관의 공동큐레이터를 맡았다. 2021년 한국건축역사학회 학술상을 수상했다.

안창모의 다른 상품

힐튼이 말하다

힐튼이 말하다

22,500 (10%)

'힐튼이 말하다' 상세페이지 이동

가회동 두 집, 북촌의 100년을 말하다

가회동 두 집, 북촌의 100년을 말하다

27,000 (10%)

'가회동 두 집, 북촌의 100년을 말하다' 상세페이지 이동

기술과 사회로 읽는 도시건축사 1863-1945

기술과 사회로 읽는 도시건축사 1863-1945

46,800 (10%)

'기술과 사회로 읽는 도시건축사 1863-1945' 상세페이지 이동

모델 시티 평양

모델 시티 평양

27,900 (10%)

'모델 시티 평양' 상세페이지 이동

스테이트 아방가르드의 유령

스테이트 아방가르드의 유령

23,750 (5%)

'스테이트 아방가르드의 유령' 상세페이지 이동

한국의 근대건축

한국의 근대건축

9,000 (10%)

'한국의 근대건축' 상세페이지 이동

덕수궁

덕수궁

13,500 (10%)

'덕수궁' 상세페이지 이동

저 : 임태훈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임태훈
관심작가 알림신청
성균관대학교 국어국문학과 조교수. 문학과 테크놀로지, SF 문화와 사운드스케이프 예술을 연구하고 있다. 인문학협동조합 미디어기획위원장으로 활동했다. 저서로 『블레이드 러너 깊이 읽기』(공저, 2021), 『기계비평들』(공저, 2019), 『한국 테크노컬처 연대기』(공저, 2017), 『시민을 위한 테크놀로지 가이드』(공저, 2017), 『검색되지 않을 자유』(2014), 『우애의 미디올로지』(2012) 등이 있다. 주요 논문으로는 「쓰레기 처리 제도의 변화와 소비 대중의 기억 문화 (1): ‘종량제 봉투’를 소재로 한 소설을 중심으로」(2021), 「기생 경제와 기식음의 정보 체계로부터: 이광수 <개척자> 재독」(2020), 「납 활자 인쇄소의 퇴출과 문학적 기록」(2019) 등이 있다.

임태훈의 다른 상품

블레이드 러너 깊이 읽기

블레이드 러너 깊이 읽기

16,200 (10%)

'블레이드 러너 깊이 읽기' 상세페이지 이동

서드 라이프 (큰글씨책)

서드 라이프 (큰글씨책)

30,000

'서드 라이프 (큰글씨책)' 상세페이지 이동

서드 라이프

서드 라이프

19,800

'서드 라이프' 상세페이지 이동

게임의 이론: 놀이에서 디지털 게임까지

게임의 이론: 놀이에서 디지털 게임까지

19,000 (5%)

'게임의 이론: 놀이에서 디지털 게임까지' 상세페이지 이동

기계비평들

기계비평들

16,200 (10%)

'기계비평들' 상세페이지 이동

스테이트 아방가르드의 유령

스테이트 아방가르드의 유령

23,750 (5%)

'스테이트 아방가르드의 유령' 상세페이지 이동

한국 테크노컬처 연대기

한국 테크노컬처 연대기

14,250 (5%)

'한국 테크노컬처 연대기' 상세페이지 이동

저 : 김경태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김경태
관심작가 알림신청
중앙대학교에서 시각디자인을 전공하고 스위스 로잔의 ECAL에서 아트디렉션 과정을 졸업했습니다. 크고 작은 사물을 촬영하여 재현의 이미지를 통해 바라보는 경험과 형식에 관해 탐구하고 있습니다. 개인전 『Linear Scan』 (휘슬, 2022), 『Bumping Surfaces』 (두산갤러리, 2021), 『표면으로 낙하하기』 (휘슬, 2019) 및 다수의 그룹전에 참여했습니다. 사진집 『온더록스』 (유어마인드, 2013), 『Angles』 (프레스룸, 2016), 『Float 9 ? 일련의 구성』 (헤적프레스, 2018), 『표면으로 낙하하기』 (프레스룸, 2019), 『공예: 재료와 질감』 (온양민속박물관, 2020) 등을 출간했습니다.

김경태의 다른 상품

이토록 다정한 그림책

이토록 다정한 그림책

24,750 (10%)

'이토록 다정한 그림책' 상세페이지 이동

BGIMG

BGIMG

54,000 (10%)

'BGIMG ' 상세페이지 이동

스테이트 아방가르드의 유령

스테이트 아방가르드의 유령

23,750 (5%)

'스테이트 아방가르드의 유령' 상세페이지 이동

저 : 김성우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김성우
관심작가 알림신청
서울대학교 건축학과와 동 대학원, 네덜란드 베를라헤 인스티튜트에서 건축설계와 도시 리서치를 공부했다. 2011년부터 N.E.E.D. 건축사사무소를 운영하고 있으며 한국예술종합학교에서 故 이종호와 함께 서울 도심 을지로 지역 리서치와 소필지 주거지역의 거주 환경 및 건축 유형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서울시 공공건축가로 활동하면서 서울 도심의 거대구조를 활용한 공공영역 재구축 작업에 참여하고 있으며 대표 설계작품으로 상계동 주거복합, 더북컴퍼니, 코리아크래프트브류어리 등이 있다.

김성우의 다른 상품

넥스토피아

넥스토피아

8,550 (5%)

'넥스토피아 ' 상세페이지 이동

스테이트 아방가르드의 유령

스테이트 아방가르드의 유령

23,750 (5%)

'스테이트 아방가르드의 유령' 상세페이지 이동

저 : 바래(BARE)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바래(BARE)
관심작가 알림신청
전진홍, 최윤희에 의해 서울에 설립된 건축 스튜디오다. 역동적으로 변모하는 도시 속 시간과 환경에 조응하는 리서치 기반의 건축작업을 2014년부터 지속해오고 있다. 전진홍은 영국AA스쿨 졸업 후 네덜란드 OMA와 공간그룹에서 실무를 쌓았다. 최윤희는 영국 캠브리지 대학교와 AA스쿨 졸업 후 윌킨슨아이어, 제이슨브루지스 스튜디오 등에서 공공 예술 및 건축 프로젝트를 이끌었으며 현재 한국예술종합학교 초빙교수로 있다. <아름지기 헤리티지 투모로우> 공모전 수상 (2015), <젊은 건축가 프로그램 2016> 최종후보군으로 선정되었고, ACC <새로운 유라시아> 키네틱파빌리온 설치 및 전시(2015)에 참여하였다. 최근 서울도시건축비엔날레(2017)에 초대되어 세운상가 일대에 새로운 재활용 네트워크를 조명한 영상작업을 선보였다.

바래(BARE)의 다른 상품

스테이트 아방가르드의 유령

스테이트 아방가르드의 유령

23,750 (5%)

'스테이트 아방가르드의 유령' 상세페이지 이동

저 : 서현석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서현석
관심작가 알림신청
영상, 퍼포먼스, 글쓰기를 통해 공간과 감각에 관한 탐구를 진행한다. 장소 기반의 퍼포먼스와 전시를 통해 ‘작품’ 및 체험의 경계를 질문하는 형식을 실험하는 한편, 아시아에서의 국가 형성과 모더니즘 건축의 관계를 탐색하는 작품들을 만든다. 『미래 예술』 (2016)과 『Horror to the Extreme: Changing Boundaries in Asian Cinema』 (2009)를 공동으로 썼고, 비정기 간행물 『옵.신』을 만들고 있다. 연세대학교 커뮤니케이션대학원에서 영화를 가르친다.

서현석의 다른 상품

우리가 공유하는 시간

우리가 공유하는 시간

19,800 (10%)

'우리가 공유하는 시간' 상세페이지 이동

옵/신 페스티벌 2020

옵/신 페스티벌 2020

10,800 (10%)

'옵/신 페스티벌 2020' 상세페이지 이동

불가능한 춤

불가능한 춤

16,200 (10%)

'불가능한 춤' 상세페이지 이동

저 : 설계회사(SGHS)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설계회사(SGHS)
관심작가 알림신청
강현석, 김건호에 의해 2015년 설립된 건축사무소로 내러티브와 텍토닉에 중점을 두고 있다. 강현석은 성균관대학교와 코넬건축대학원에서 공부하고 헤르조그 & 드 뫼롱의 바젤 사무실에서 일했다. 김건호는 성균관대학교 졸업 후 DMP건축에서 근무했고, 이후 코넬건축대학원과 하버드디자인대학원을 졸업했다. 일민미술관 <그래픽 디자인 2005~2015>(서울, 2016), 국립현대미술관 과천관 30년 특별전 <상상의 항해>(서울, 2016)에 참여했고, <젊은 건축가 프로그램 2017>에 최종 후보군에 선정되었다.

설계회사(SGHS)의 다른 상품

스테이트 아방가르드의 유령

스테이트 아방가르드의 유령

23,750 (5%)

'스테이트 아방가르드의 유령' 상세페이지 이동

저 : 정지돈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정지돈
관심작가 알림신청
2013년 문학과사회 신인문학상을 통해 작품 활동을 시작했다. 소설집 《내가 싸우듯이》 《우리는 다른 사람들의 기억에서 살 것이다》 《농담을 싫어하는 사람들》 《인생 연구》, 연작소설집 《땅거미 질 때 샌디에이고에서 로스앤젤레스로 운전하며 소형 디지털 녹음기에 구술한, 막연히 LA/운전 시들이라고 생각하는 작품들의 모음》, 중편소설 《작은 겁쟁이 겁쟁이 새로운 파티》 《야간 경비원의 일기》 《…스크롤!》, 장편소설 《모든 것은 영원했다》, 산문집 《문학의 기쁨》(공저), 《영화와 시》 《당신을 위한 것이나 당신의 것은 아닌》 《스페이스 (논)픽션》 《우리는 가끔 아름다움의 섬광을 보았다》(공저)가 있다. 문학동네 젊은작가상, 문지문학상, 김현문학패, 김용익소설문학상 등을 수상했다.

정지돈의 다른 상품

우리는 가끔 아름다움의 섬광을 보았다 (큰글자도서)

우리는 가끔 아름다움의 섬광을 보았다 (큰글자도서)

32,000

'우리는 가끔 아름다움의 섬광을 보았다 (큰글자도서)' 상세페이지 이동

브레이브 뉴 휴먼

브레이브 뉴 휴먼

13,500 (10%)

'브레이브 뉴 휴먼' 상세페이지 이동

현대적이라고 말할 수 없는 죽음들

현대적이라고 말할 수 없는 죽음들

11,700 (10%)

'현대적이라고 말할 수 없는 죽음들' 상세페이지 이동

너는 지구에 글 쓰러 오지 않았다

너는 지구에 글 쓰러 오지 않았다

15,030 (10%)

'너는 지구에 글 쓰러 오지 않았다' 상세페이지 이동

소설엔 마진이 얼마나 남을까 (큰글자도서)

소설엔 마진이 얼마나 남을까 (큰글자도서)

29,000

'소설엔 마진이 얼마나 남을까 (큰글자도서)' 상세페이지 이동

우리는 가끔 아름다움의 섬광을 보았다

우리는 가끔 아름다움의 섬광을 보았다

15,750 (10%)

'우리는 가끔 아름다움의 섬광을 보았다' 상세페이지 이동

영원히 알거나 무엇도 믿을 수 없게 된다

영원히 알거나 무엇도 믿을 수 없게 된다

13,500 (10%)

'영원히 알거나 무엇도 믿을 수 없게 된다' 상세페이지 이동

인생 연구

인생 연구

13,500 (10%)

'인생 연구' 상세페이지 이동

저 : 박성태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박성태
관심작가 알림신청
정림건축문화재단 상임이사로 『건축신문』을 발간하고, 건축학교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프로젝트원>, <원맨원북> 등의 포럼 시리즈와 <뉴 셸터스: 난민을 위한 건축적 제안들>, <협력적 주거 공동체>, <파빌리온씨> 등의 건축 전시를 기획했다. 『월간 미술』, 『인서울매거진』, 『공간』에서 예술 건축 관련 저널리스트로 일하면서 <페차쿠차 나잇 서울>, <테드x서울> 큐레이터로 활동했다.

박성태의 다른 상품

스테이트 아방가르드의 유령

스테이트 아방가르드의 유령

23,750 (5%)

'스테이트 아방가르드의 유령' 상세페이지 이동

저 : 최춘웅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최춘웅
관심작가 알림신청
현재 서울에서 활동 중인 건축가다. 2008년 광주비엔날레와 2010년 서울미디어아트비엔날레에서 공간디자이너로 활동했고, 「플랫폼 인 기무사」(기무사, 2009), 「플레이타임」(문화역서울284, 2012), 「탁월한 협업자들」(일민미술관, 2013), 「아트선재 공간 프로젝트」(아트선재, 2014), 「보이드」(국립현대미술관, 2016) 등의 전시에 참여했다. 버클리와 하버드 대학교에서 공부한 후 미국과 스페인을 거쳐 2007년부터 서울을 기반으로 활동하고 있으며, 현재 서울대학교 건축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최춘웅의 다른 상품

미술관을 위한 주석

미술관을 위한 주석

19,000 (5%)

'미술관을 위한 주석' 상세페이지 이동

트로피컬 스페이스 H&P 아키텍츠

트로피컬 스페이스 H&P 아키텍츠

19,800 (10%)

'트로피컬 스페이스 H&P 아키텍츠' 상세페이지 이동

리우지아쿤

리우지아쿤

18,000 (10%)

'리우지아쿤' 상세페이지 이동

스테이트 아방가르드의 유령

스테이트 아방가르드의 유령

23,750 (5%)

'스테이트 아방가르드의 유령' 상세페이지 이동

파빌리온, 도시에 감정을 채우다

파빌리온, 도시에 감정을 채우다

14,400 (10%)

'파빌리온, 도시에 감정을 채우다' 상세페이지 이동

저 : 박정현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박정현
관심작가 알림신청
박정현은 서울시립대학교 건축학과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다. 『건축은 무엇을 했는가: 발전국가 시기 한국 현대 건축』을 비롯해 『김정철과 정림건축』(편저), 『전환기의 한국 건축과 4.3그룹』(공저), 『중산층 시대의 디자인 문화: 1989~1997』(공저) 등을 쓰고, 『포트폴리오와 다이어그램』, 『건축의 고전적 언어』 등을 번역했다. 2018년 베니스 비엔날레 한국관 <국가 아방가르드의 유령>, (2015, 런던), (2019, 부다페스트) 등의 전시에 큐레이터로 참여했다. 현재 비평가로 활동하며 서울시립대학교와 연세대학교에서 강의하고 있다.

박정현의 다른 상품

원불교 원남교당

원불교 원남교당

16,200 (10%)

'원불교 원남교당' 상세페이지 이동

하이데거적 장소성과 도무스의 신화

하이데거적 장소성과 도무스의 신화

12,820 (5%)

'하이데거적 장소성과 도무스의 신화 ' 상세페이지 이동

매거진 G : 4호 [2021]

매거진 G : 4호 [2021]

8,910 (10%)

'매거진 G : 4호 [2021] ' 상세페이지 이동

삶을 짓는 사람들

삶을 짓는 사람들

12,000

'삶을 짓는 사람들' 상세페이지 이동

건축은 무엇을 했는가

건축은 무엇을 했는가

18,000 (10%)

'건축은 무엇을 했는가' 상세페이지 이동

스테이트 아방가르드의 유령

스테이트 아방가르드의 유령

23,750 (5%)

'스테이트 아방가르드의 유령' 상세페이지 이동

저 : 정다영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정다영
관심작가 알림신청
건축과 도시계획을 전공하고 『공간』에서 기자와 편집자로 일한 뒤 국립현대미술관 학예연구사로 재직하며 건축 부문 전시 기획과 연구를 맡고 있다. 아카이브와 도큐멘테이션을 매개로 건축과 시각문화에 대한 이야기를 풀어가는 큐레이터로 건축의 다양한 확장과 그것을 이론화하는데 관심을 갖고 있다. 기획한 주요 전시로 「아트폴리 큐브릭」(2012), 「그림일기: 정기용 건축 아카이브」(2013), 「이타미 준: 바람의 조형」(2014), 「아키토피아의 실험」(2015), 「보이드」(2016), 「종이와 콘크리트: 한국 현대건축 운동 1987-1997」(2017), 「김중업 다이얼로그」(2018) 등이 있다. 『파빌리온, 도시에 감정을 채우다』를 비롯해 여러 책을 다른 연구자와 함께 썼다. 현재 건국대학교 산업디자인학과 겸임교수로 디자인문화 연구에 대한 강의를 진행하고 있다.

정다영의 다른 상품

뉴 큐레이터

뉴 큐레이터

28,500 (5%)

'뉴 큐레이터' 상세페이지 이동

미술관을 위한 주석

미술관을 위한 주석

19,000 (5%)

'미술관을 위한 주석' 상세페이지 이동

스테이트 아방가르드의 유령

스테이트 아방가르드의 유령

23,750 (5%)

'스테이트 아방가르드의 유령' 상세페이지 이동

파빌리온, 도시에 감정을 채우다

파빌리온, 도시에 감정을 채우다

14,400 (10%)

'파빌리온, 도시에 감정을 채우다' 상세페이지 이동

저 : 로랑 페레이라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로랑 페레이라
관심작가 알림신청
Laurent Pereira
브뤼셀에서 태어나 생 뤽 건축대학을 졸업했으며 파리 장 누벨 건축사무소에서 일했다. 2005년 최성희와 서울공연예술센터를 위한 국제 아이디어 공모전에서 최우수상으로 수상하며 최-페레이아 건축을 시작했다. ‘젊은 건축가상’을 비롯해 다수의 건축상을 수상했다. 한양대학교, 숭실대학교, 고려대학교에서 건축학과 교수로 재직한 바 있다.

로랑 페레이라의 다른 상품

스테이트 아방가르드의 유령

스테이트 아방가르드의 유령

23,750 (5%)

'스테이트 아방가르드의 유령' 상세페이지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