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 소개(2명)

이전

저 : 김소월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김소월
관심작가 알림신청
金素月, 김정식
1902년 9월 7일 평안북도 구성군에 있는 외가에서 부친 김성도와 모친 장경숙의 장자로 출생한다. 본명은 김정식이다. 태어난 지 백일 후부터 평안북도 정주군 곽산면의 본가에서 자란다. 1904년 부친 김성도가 당시 경의선 철도 부설공사를 하던 일본 목도꾼에게 폭행을 당한 이후 정신 이상 증세에 시달린다. 김소월은 광산을 경영하는 할아버지의 손에서 컸는데, 이 무렵 시인의 길로 가도록 영향을 준 숙모 계희영을 만났다. 1915년 평안북도 곽산의 4년제 남산보통학교를 졸업하고 평안북도 정주에 있는 오산고등보통학교에 입학해 김억과 사제관계를 맺게 되고 한시, 민요시, 서구시 등을 본격적으로 접하게 된다. 후에 경성 배재고등보통학교에 편입하여 1923년 졸업했다. 이후 일본 도쿄 상과대학교에 입학 후 귀국했을 시점에 시인 나도향과 만나 친구가 되었다. 일제강점기 시절 이별과 그리움을 주제로 우리 민족의 한과 슬픔을 노래하는 시를 썼다. 김소월은 자신의 문학적 스승인 김억의 격려를 받아 그의 지도 아래 시를 쓰기 시작하였으며 1920년 「낭인(浪人)의 봄」, 「야(夜)의 우적(雨滴)」 등 5편을 소월(素月)이라는 필명으로 동인지 『창조』 5호에 처음으로 시 「그리워」를 발표하며 등단하였다. 오산학교를 다니는 동안 김소월은 왕성한 작품 활동을 했으며, 1921년 [동아일보]에 「봄밤」, 「풀 따기」 등을 발표했다. 1922년 「금잔디」, 「엄마야 누나야」를 개벽지에 발표하였으며, 1925년에 시론 「시혼(詩魂)」을 발표하고, 같은 해 7월호에 떠나는 님을 진달래로 축복하는 한국 서정시의 기념비적 작품인 『진달래꽃』을 발표하여 크게 각광받았다. 이는 시인이 생전에 낸 유일한 시집으로 기록된다. 그 밖에 1923년 『깊고 깊은 언약』 『접동새』 1924년 『밭고랑 위에서』 『생과 사』 1926년 『봄』 『저녁』 『첫눈』 1934년 『제이, 엠, 에스』 『고향』 등을 발표했다.

1923년 도쿄상업대학교에 입학하였으나, 같은 해 9월 관동대지진이 발생하자 중퇴하고 귀국했다. 김소월은 고향으로 돌아간 후 조부가 경영하는 광산일을 돕다가 처가가 있는 구성군으로 거처를 옮겼다. 이어 1926년평안북도 구성군 남시에서 [동아일보 지국]을 개설하고서 이도 실패하자 극도의 빈곤에 시달리기도 했다. 예민한 성격이었던 김소월은 이에 큰 충격을 받았으며, 이후 류머티즘을 앓으며 친척들에게도 대접을 받지 못하는 등 고생하다가 1934년 12월 24일 만 32세의 나이로 평안북도 곽산에서 아편을 마시고 스스로 목숨을 끊었다. 1939년 스승 김억이 엮은 『소월시초(素月詩抄)』가 발간된다. 1977년 [문학사상] 11월호에 미발표 소월 자필 유고시 40여 편이 발굴, 게재된다.

김소월의 다른 상품

평생 간직하고픈 필사 시 (큰글자책)

평생 간직하고픈 필사 시 (큰글자책)

23,000

'평생 간직하고픈 필사 시 (큰글자책) ' 상세페이지 이동

김소월 시집 컬러 일러스트

김소월 시집 컬러 일러스트

11,700 (10%)

'김소월 시집 컬러 일러스트 ' 상세페이지 이동

김소월 시집, 예전엔 미처 몰랐어요

김소월 시집, 예전엔 미처 몰랐어요

12,600 (10%)

'김소월 시집, 예전엔 미처 몰랐어요' 상세페이지 이동

모든 슬픔이 사라진다

모든 슬픔이 사라진다

15,030 (10%)

'모든 슬픔이 사라진다' 상세페이지 이동

중고등생 필독서 한국 소설 수필 시 국어교과서 수록 작품 읽기 1

중고등생 필독서 한국 소설 수필 시 국어교과서 수록 작품 읽기 1

15,700

'중고등생 필독서 한국 소설 수필 시 국어교과서 수록 작품 읽기 1' 상세페이지 이동

매일, 시 한 잔

매일, 시 한 잔

15,120 (10%)

'매일, 시 한 잔' 상세페이지 이동

필사의 힘 : 김소월처럼, 진달래 꽃 따라쓰기

필사의 힘 : 김소월처럼, 진달래 꽃 따라쓰기

15,120 (10%)

'필사의 힘 : 김소월처럼, 진달래 꽃 따라쓰기' 상세페이지 이동

우리들 마음에 빛이 있다면

우리들 마음에 빛이 있다면

12,150 (10%)

'우리들 마음에 빛이 있다면' 상세페이지 이동

그림 : 박건웅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그림 : 박건웅
관심작가 알림신청
1972년 서울에서 태어났다. 어렸을 때부터 그림 그리기를 좋아했으며 대학에서 회화를 전공했다. 대학 시절을 거치며 한국 근현대사의 숨겨진 이야기에 관심을 가지고 작업을 해 왔다. 어른을 위한 책으로는 빨치산 이야기를 다룬 『꽃』, 한국전쟁 당시 미군의 민간인 학살을 다룬 『노근리 이야기』, 제주 4·3항쟁을 담은 『홍이 이야기』, 비전향 장기수인 허영철 선생의 삶을 다룬 『어느 혁명가의 삶』, 민주주의자 김근태가 남영동에서 견뎌 낸 22일을 기록한 『짐승의 시간』, 인혁당 사형수 8명의 이야기를 담은 『그해 봄』, 독립운동가의 삶을 다룬 『제시 이야기』, 『옌안송』을 만화로 그렸다. 어린이를 위한 책으로는 사회적 약자인 장애인에게 자행된 착취에 대한 동화책 『섬소년』, 문화다양성 동화 『사랑의 솜사탕』, 광릉숲 생물권 보전지역 우수 콘텐츠 선정도서 『광릉숲의 요정』 등에 그림을 그렸다. 수상 경력으로는 2002년 대한민국만화대상 신인상, 2011년 오늘의 우리만화상, 2014년 부천만화대상 대상을 수상한 바 있다.

박건웅의 다른 상품

삼국사기와 삼국유사

삼국사기와 삼국유사

13,500 (10%)

'삼국사기와 삼국유사' 상세페이지 이동

세월 1994-2014

세월 1994-2014

19,800 (10%)

'세월 1994-2014' 상세페이지 이동

최고운전

최고운전

10,800 (10%)

'최고운전' 상세페이지 이동

방긋 방게

방긋 방게

16,200 (10%)

'방긋 방게' 상세페이지 이동

황금동 사람들

황금동 사람들

37,800 (10%)

'황금동 사람들' 상세페이지 이동

4.3 표류기

4.3 표류기

13,050 (10%)

'4.3 표류기' 상세페이지 이동

생각숲 상상바다 시리즈

생각숲 상상바다 시리즈

89,730 (10%)

'생각숲 상상바다 시리즈' 상세페이지 이동

주청공사관 일기

주청공사관 일기

10,800 (10%)

'주청공사관 일기' 상세페이지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