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 소개(2명)

이전

저 : 클라우스 피베크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클라우스 피베크
관심작가 알림신청
Klaus Vieweg
동독에서 태어나 예나 대학과 베를린 훔볼트 대학에서 공부했다. 전체주의화된 사회주의 동독 체제에서의 삶은 자유를 철학의 주제로 삼는 계기가 되었지만, 그렇다고 자유주의적 자유에 심취하지 않았다. 특히 통독 이후에 등장한 신자유주의적 자유가 세계를 어떻게 황폐화시키는지를 목격하면서 헤겔의 자유 개념에 입각한 사회정치철학을 전개한다. 통일 이후 서독 지역과 서유럽의 여러 대학들에서 초빙연구원으로 활동하면서 서유럽의 지식인들, 예컨대 디터 헨리히(Dieter Henrich)와 오토 푀겔러(Otto Poggeler) 같은 철학자들과 지적 교류를 다져나갔다. 2000년부터 예나 대학에서 독일관념론, 특히 헤겔 철학 전공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아울러 미국, 이탈리아, 일본 등 세계 유수의 대학과 연구소에서 방문교수를 역임했다.

저서로 『헤겔의 정신현상학』(Hegels Phanomenologie des Geistes, 2008), 『낭만주의의 현실적 유효성』(Die Aktualitat der Romantik, 2012), 『현대의 형성』(Die Bildung der Moderne, 2013), 『실천이성의 건축술』(Zur Architektonik praktischer Vernunft: Hegel in Transformation, 2014), 『자유로운 예술의 시작으로서의 예술의 종말』(Das Ende der Kunst als Anfang freier Kunst, 2015) 등 다수가 있으며, 현재 방대한 분량의 헤겔 평전을 완성하여 출판을 앞두고 있다.

역 : 정대성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역 : 정대성
관심작가 알림신청
1964년 전남 고흥에서 태어나 연세대 철학과를 졸업했다. 같은 대학교 대학원에서 석사학위를 받았으며, 독일 보쿰 대학에서 「주체성에서 상호주체성으로」(Von der Subjektivitaet zur Intersubjektivitaet: Die Auseinandersetzung von Habermas mit der Subjektivitaetsphilosophie)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독일관념론 시기의 철학 및 현대 사회정치철학과 관련한 논문들을 썼으며, 근대 한국철학의 담론 양상을 분석하는 데 관심을 가지고 연구하고 있다. 주요 논문으로 「반성문화에 대한 청년헤겔의 비판」, 「평등 자유주의적 정의이념의 철학적 함의와 그 한계에 대해」, 「자유주의와 공화주의를 넘어서」, 「서양철학의 수용과 언어의 문제: 이규호의 언어철학을 중심으로」 등이 있다. 저서로 『세상을 바꾼 철학자들』(공저, 동녘 2015), 『교육독립선언』(공저, 현암사, 2017) 등이 있으며, 역서로는 『청년헤겔의 신학론집』(헤겔, 인간사랑, 2005 / 그린비, 2018), 『비판, 규범, 유토피아』(세일라 벤하비브, 울력, 2007), 『헤겔』(찰스 테일러, 그린비, 2014), 『언어, 의미 그리고 철학』(게오르크 W. 베르트람, 박이정, 2015), 『사회적 존재의 존재론 2, 3, 4』(게오르크 루카치, 공역, 아카넷, 2018) 등이 있다. 연세대 언어정보연구원 HK연구교수를 거쳐, 현재 연세대 근대한국학연구소 HK교수로 있다.

정대성의 다른 상품

현대 영미 철학에서 헤겔로의 귀환

현대 영미 철학에서 헤겔로의 귀환

25,000

'현대 영미 철학에서 헤겔로의 귀환' 상세페이지 이동

정치철학사

정치철학사

34,200 (10%)

'정치철학사' 상세페이지 이동

철학, 중독을 이야기하다

철학, 중독을 이야기하다

19,000 (5%)

'철학, 중독을 이야기하다' 상세페이지 이동

호모포비아

호모포비아

16,200 (10%)

'호모포비아' 상세페이지 이동

청년 헤겔의 신학론집

청년 헤겔의 신학론집

37,050 (5%)

'청년 헤겔의 신학론집' 상세페이지 이동

사회적 존재의 존재론 4

사회적 존재의 존재론 4

28,500 (5%)

'사회적 존재의 존재론 4' 상세페이지 이동

사회적 존재의 존재론 3

사회적 존재의 존재론 3

24,700 (5%)

'사회적 존재의 존재론 3' 상세페이지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