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 소개(2명)

이전

저 : 알렉산드르 세르게예비치 푸쉬킨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알렉산드르 세르게예비치 푸쉬킨
관심작가 알림신청
Aleksandr Sergeevich Pushkin,Александр Сергеевич Пушкин
러시아 시인. 모스크바 출생. 러시아 국민문학의 창시자이다. 러시아 국민의 한결 같은 사랑을 받아온 최고의 국민 시인 푸쉬킨. 러시아의 대문호 푸쉬킨은 1799년 6월 6일 러시아의 수도 모스크바 근교에서 600년 전통의 유서 깊은 귀족 혈통으로 출생했다. 1811년 차르스코에셀로(지금의 푸슈킨시)에 개설된 귀족학교 리체이에 입학, 이 시절 자유주의 의식이 싹트고 야만적인 농노제로 신음하던 러시아 현실에 대해 깊은 각성을 하게 된다. 자유주의적 교풍 속에서 1814년 『나의 친구, 시인에게』를 발표하여 문학계에 첫발을 들여놓았다.

처음엔 선배이자 낭만주의 시인인 K.N.바튜슈코프, V.A.주코프스키 등 17.18세기 프랑스 시인들의 시풍을 따랐다. 1817년 리체이를 졸업하고 외무성에 근무하며 수도 페테르부르크에서 혁명적 사상가 P.Y.차다예프와 사귀고, 러시아 전제정치를 타도하려 한 무장봉기단체 데카브리스트의 그룹에 참여하는 등, 농노제 타도 정치사상이 확고해졌다. 데카브리스트의 사상에 공명하여 자유를 사랑하는 내용의 송시 「자유」(1817), 농노제 붕괴를 예언한 「농촌」(1819) 등 일련의 과격한 정치적 시를 써서 남러시아로 추방되었다.

G.G.바이런의 영향을 받고, 그곳에서 『카프카스의 포로』(1822), 『도둑 형제』(1821∼22), 『바흐치사라이의 샘』(1821∼23) 등의 작품 소재를 얻었다. 1820년 러시아 민간전승에서 취재한 동화풍 담시 『루슬란과 류드밀라』를 발표하여 젊은 세대의 열광적인 지지를 얻었다. 이후 비밀 결사와의 친교, 보론쏘프 장군의 아내와의 사랑, 아버지와의 불화, 나탈리야와의 열애와 결혼 등 1833년 가을 페테르부르그로 돌아오기까지 개인적인 불운과 고난 속에서 유명한 운문 소설 『예브게니 오네긴』(1823~1831)을 비롯, 서사시 『집시들』『청동의 기사』 중편소설『벨킨의 이야기』『스페이드 여왕』과 비극『모차르트와 살리에리』등 많은 작품들을 발표한다.

러시아 문학사상 최초의 리얼리즘 작품인 『예브게니 오네긴』을 쓰기 시작한 1823년 무렵에는 낭만주의 한계를 의식하게 되었으며, 『집시』(1824)에서 바이런적 주인공에 대한 비판의 눈길로 개인과 사회, 자유와 운명의 문제를 제기하였다.

24년 무신론을 긍정한 편지가 압수되면서 미하일로프스코에 마을에 연금된 동안, 비극시 「보리스 고두노프」(1825), 풍자적 서사시 「누손백작」(1825) 등을 완성하였다. 고독하고 불우한 유폐생활을 통해서 사상적.예술적 성장을 하게 되고 러시아 국민시인으로 성숙하는 계기를 맞게 되었다.

26년 황제 니콜라이 1세의 특사로 자유의 몸이 되었으나, 그뒤 만년까지 관헌의 엄중한 감시와 검열을 받았다. 아버지가 물려준 땅 니제고르드주에 갔을 때 콜레라로 발이 묶인 3개월이 창작의 정점을 이루는 시기가 되었는데, 단편소설집 『벨킨 이야기』, 4편의 작은 비극 『돌의 손님』, 『인색한 기사』, 『모차르트와 살리에리』, 『질병 때의 주연(酒宴)』 등 50편의 작품을 썼으며, 『예브게니 오네긴』의 기본적 부분도 이때 완성되었다.

나탈리야와의 결혼은 비극의 시작이 되었다. 궁정행사에 그녀가 참석하기를 바라는 황제에 의하여 푸슈킨은 시종보로 임명되었다. 이는 창작하는 시인에게는 어울리지 않는 일이었으나, 세속권력과의 충돌 속에서 역사적 시야를 확대해 가며, 표트르대제의 공적을 기리면서 그 희생이 된 페테르부르크 소시민의 비극을 묘사한 서사시 『청동의 기사』(1833), 소설 『스페이드 여왕』(1834), 역사소설 『대위의 딸』 등을 발표했다. 1837년에 자신의 아내와 염문을 일으킨 프랑스인과의 결투 도중에 치명상을 입고 사망했다.

알렉산드르 세르게예비치 푸쉬킨의 다른 상품

초판본 삶이 그대를 속일지라도 (큰글자도서)

초판본 삶이 그대를 속일지라도 (큰글자도서)

29,000

'초판본 삶이 그대를 속일지라도 (큰글자도서)' 상세페이지 이동

삶이 그대를 속일지라도 미니북

삶이 그대를 속일지라도 미니북

3,510 (10%)

'삶이 그대를 속일지라도 미니북' 상세페이지 이동

대위의 딸 큰글씨책

대위의 딸 큰글씨책

25,000

'대위의 딸 큰글씨책' 상세페이지 이동

초판본 삶이 그대를 속일지라도

초판본 삶이 그대를 속일지라도

10,800 (10%)

'초판본 삶이 그대를 속일지라도' 상세페이지 이동

눈보라

눈보라

15,750 (10%)

'눈보라' 상세페이지 이동

대위의 딸 (푸시킨 작품) : The Daughter of the Commandant (영문판)

대위의 딸 (푸시킨 작품) : The Daughter of the Commandant (영문판)

13,000

'대위의 딸 (푸시킨 작품) : The Daughter of the Commandant (영문판)' 상세페이지 이동

삶이 그대를 속일지라도

삶이 그대를 속일지라도

8,820 (10%)

'삶이 그대를 속일지라도' 상세페이지 이동

역 : 조주관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역 : 조주관
관심작가 알림신청
충북 옥천에서 태어나 대전고등학교를 졸업하고 고려대학교에 입학해 러시아어문학을 전공했으며, 동 대학원에서 러시아 문학으로 석사학위를 받았다. 이후 국비유학생으로 선발되어 미국 오하이오주립대학(OSU) 대학원 슬라브어문학과에서 석·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박사 학위 논문은 「데르자빈의 시학에 나타난 시간 철학(Time Philosophy in Derzhavin’s Poetics)」이다. 연세대학교 명예교수, 1998년 한국러시아문학회 회장이력이 있고 2002년 러시아문화예술 최고의 훈장인 푸시킨 메달, 2017년 조지아 대통령으로부터 명예 훈장을 받았다. 2017년 대한민국 학술원 회원 이력이 있다.

대표 논문으로는 「데르자빈의 시학에 나타난 바로크적 세계관과 토포이 문제」(교과부장관상 수상)가 있고, 저서로 『러시아 시 강의』, 『러시아 문학의 하이퍼텍스트』, 『고대 러시아 문학의 시학』(문광부 우수학술도서), 『‘죄와 벌’의 현대적 해석』 등이 있다. 번역서로는 『러시아 현대비평이론』, 『시의 이해와 분석』, 『주인공 없는 서사시』, 『말로 표현한 사상은 거짓말이다』, 『자살하고픈 슬픔』, 『오늘은 불쾌한 날이다』, 『루슬란과 류드밀라』, 『뻬쩨르부르그 이야기』, 『검찰관』, 『타라스 불바』, 『보리스 고두노프/모차르트와 살리에리』, 『아흐마둘리나 시선』, 『보즈네센스키 시선』, 『오쿠자바의 노래시』, 『아무것도 말할 필요가 없다』, 『중세 러시아 문학(11∼15세기)』, 『16세기 러시아 문학』, 『17세기 러시아 문학』, 『17세기 러시아 풍자문학』, 『참칭자 드미트리』(18세기 러시아문학 시리즈1), 『노브고로드의 바딤/마차 때문에 일어난 불행』(18세기 러시아 문학 시리즈2) 등이 있다.

조주관의 다른 상품

러시아 문학의 넓이와 깊이

러시아 문학의 넓이와 깊이

49,000

'러시아 문학의 넓이와 깊이' 상세페이지 이동

아흐마둘리나 시선 큰글씨책

아흐마둘리나 시선 큰글씨책

23,000

'아흐마둘리나 시선 큰글씨책' 상세페이지 이동

아흐마둘리나 시선

아흐마둘리나 시선

12,800

'아흐마둘리나 시선' 상세페이지 이동

보즈네센스키 시선 큰글씨책

보즈네센스키 시선 큰글씨책

23,000

'보즈네센스키 시선 큰글씨책' 상세페이지 이동

보즈네센스키 시선

보즈네센스키 시선

12,800

'보즈네센스키 시선' 상세페이지 이동

만물상 (큰글씨책)

만물상 (큰글씨책)

20,600

'만물상 (큰글씨책)' 상세페이지 이동

노브고로드의 바딤/마차 때문에 일어난 불행

노브고로드의 바딤/마차 때문에 일어난 불행

14,800

'노브고로드의 바딤/마차 때문에 일어난 불행' 상세페이지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