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 소개(4명)

이전

저 : 알렉산드르 블로크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알렉산드르 블로크
관심작가 알림신청
Александр Блок
1880년 11월 16일 상트페테르부르크에서 출생했다. 그는 러시아 문화 전통이 살아 숨 쉬는 귀족 인텔리겐치아 집안 출신이다. 부친과 조부는 대학 교수였고, 외조부는 유명한 생물학자이자 상트페테르부르크 대학 총장을 역임한 알렉세이 베케토프(А. Н. Бекетов)다. 블로크 역시 상트페테르부르크 대학을 졸업했다. 시인의 부모는 그가 태어나기 전 사실상 결별했다. 블로크는 외가에서 자라며, 인문적인 가풍 속에서 일찍이 시에 눈을 떴다.

블로크는 1903년 잡지 [새로운 길(Новый путь)]을 통해 시인이자 비평가로서 등단했다. 1904년 출간된 첫 시집 『아름다운 여인에 관한 시(Стихи о Прекрасной Даме)』는 러시아 상징주의 시인들에 의해 열렬히 환영받았다. 그러나 이 무렵 블로크는 이미 초기 시의 이상과 서서히 결별하고 있었다. 첫 시집 출간 이후 1905∼1910년에 이르는 시기에 블로크의 창작 활동은 절정에 달했다. 시인은 개인적이고 사회적인 삶의 열기와 격동의 시적 체험을 연이어 상자된 네 권의 시집에 담았다. 블로크는 또한 1908년 『서정적 희곡집(Лирические драмы)』을 출간했다. 블로크는 이후 두 편의 드라마([운명의 노래(Песня Судьбы)](1908)와 [장미와 십자가(Роза и Крест)](1913)를 더 집필했다.

블로크의 창작에 있어 1910년대는 새로운 정신적 토대의 모색과 시의 운명의 본질적인 전환과 더불어 찾아왔다. 블로크는 1911∼1912년 다섯 권의 시집을 세 권의 『시 모음집(Собрание стихотворений)』으로 편찬하고자 심혈을 기울인다. 이때부터 블로크의 시는 독자의 의식 속에서 단일한 ‘서정적 3부작’으로서, ‘길의 신화(миф о пути)’를 창조하는 독특한 ‘시 소설’로서 존재하기 시작한다. ‘3부작’의 이상은 시인의 삶과 창작의 토대로 자리했고, 이후의 두 판본(1916년과 1918∼1921년)에서 변함없이 견지되었다. 생의 마지막 해인 1921년 블로크는 새로운 판본의 준비에 착수했으나 1권을 마무리하는 데 그쳤다. 편집인으로서 블로크가 펴낸 『아폴론 그리고리예프 시집(Стихотворения Аполлона Григорьева)』(1916)은 19세기의 잊혀진 ‘마지막 낭만주의 시인’을 부활시켰다.

1915∼1916년에 이르러 블로크의 창작 활동은 현저하게 쇠퇴한다. 자신의 세대와 러시아 인텔리겐치아 전체의 운명을 그리고자 블로크가 1914년 집필하기 시작한 서사시 [보복(Возмездие)]은 미완으로 남았다. 1차 대전의 암운과 징집은 시인에게 정신적 공동화를 안겼다. 2월 혁명과 더불어 페테르부르크(당시에는 페트로그라드)로 돌아온 블로크는 부르주아 임시정부의 조사위원회에 관여했다. 1917년 단 한 편의 시도 쓸 수 없었던 블로크는 10월 혁명 이후 ‘혁명이 지닌 정화의 힘’에 대한 믿음으로 고양되어 정신적 소생을 맞이한다. 1918년 1월 마지막으로 찾아온 짧고 격렬한 창조적 열기 속에서 블로크는 그를 불멸의 존재로 만든 서사시 [열둘]과 시 [스키타이], 그리고 에세이 [인텔리겐치아와 혁명]을 썼다.
마지막 불꽃은 이내 시들었다.

1921년에 이르러 시를 쓸 수 없는 시간이 다시 찾아왔다. 블로크는 창작을 대신하여 혁명정부 산하의 문화 기구들에서 일하며 문화 보존에 전력을 기울이는 한편, 문화철학 강연에 몰두한다. 애초에 블로크의 문화 계몽 활동은 민중에 대한 인텔리겐치아의 책임 의식의 소산이었다. 그러나 ‘정화의 불길로서의 혁명’의 이상과 전체주의적인 소비에트 관료 정권의 실상 사이의 괴리에 대한 뼈아픈 인식은 블로크를 깊은 환멸과 새로운 정신적 지주의 추구로 이끌었다. 말년의 그의 에세이와 수기를 관류하는 ‘문화의 카타콤’의 모티프가 그렇게 대두된다. 시인이 감당할 수 없었던 말년의 우울은 심장병을 동반한 정신착란으로 심화되었다. 1921년 8월 7일 시인은 영면했다.

저 : 표도르 솔로구프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표도르 솔로구프
관심작가 알림신청
Sologub, Fyodor Kuz'mich,표도르 쿠지미치 테테르니코프 Фёдор Кузьми_ч Тете_рников
표도르 쿠지미치 테테르니코프(Фёдор Кузьми_ч Тете_рников). 1863년 2월 17일 페테르부르크에서 가난한 농부의 자식으로 태어났다. 네 살 때 아버지가 죽은 뒤 가정부가 된 어머니를 따라 귀족 집안에서 어린 시절을 보냈으며, 주인집의 배려로 김나지야에서 교육을 받았다. 1882년 페테르부르크의 사범학교를 마친 후 노브고로드 근처의 한 지방 도시에서 교사 생활을 시작했다. 그 후 전근과 발령으로 10여 년간 여러 지역을 옮겨 다녔고 이때 경험한 러시아 지방 도시의 생활과 환경들이 그의 문학 작품에 생생히 묘사되고 있다. 대표작 『찌질한 악마』는 도스토옙스키 이래 가장 완벽한 러시아 소설이라는 극찬을 받았으며, 이 작품으로 솔로구프는 러시아뿐 아니라 세계적인 주목을 받는 작가가 되었다. 열두 살 때부터 시를 쓰기 시작해 1884년, 잡지 [봄]에 시 「여우와 고슴도치」를 발표하면서 문단에 등단했다. 이후 많은 시와 소설을 꾸준히 잡지에 발표하고 단행본으로 펴냈다. 「니토츠킨의 실수」(1894)와 「무덤에서 나온 주교」(1927)를 비롯해 백여 편의 단편소설을 썼고, 시선집 『시, 제1권』(1896), 『뱀』(1907) 등을 펴냈으며 장편으로 『악몽』(1895), 『창조되는 전설』(1912) 등을 출간했다.

저 : 미하일 쿠즈민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미하일 쿠즈민
관심작가 알림신청
Михаил Алексеевич Кузмин
1872년 러시아 야로슬라블에서 영락한 귀족 집안에서 태어났다. 상트페테르부르크에서 성장한 후 상트페테르부르크 음악원에서 니콜라이 림스키코르사코프의 지도하에 음악을 공부했다. 그러나 문학, 그중에서도 시에 매혹되어 음악원을 졸업하지 않았다. 바그너와 니체의 열렬한 지지자인 독일애호가이자 훗날 소련의 정치가이자 마르크스주의 이론가로 이름을 날린 친구 게오르기 치체린에게 깊은 영향을 받고, 이집트와 이탈리아를 여행한 후 구교도들의 삶에 감화되었다. 이후 러시아로 돌아와 상트페테르부르크에 근거지를 두고 젊은 문인들과 교류하며 본격적으로 글쓰기에 매진했다. 1906년 러시아문학 최초로 동성애를 다룬 소설 『날개』를 발표해 큰 반향을 일으켰다. 당시 상징주의 운동을 이끌던 문예지 [천칭자리]?가 한 호 전체를 『날개』에 할애할 정도로 소설은 열렬한 호응을 일으켰고, 동시에 외설적이라는 비판도 함께 받았다. 같은 해에 연작시 「알렉산드리아의 노래」?를 발표해 시인으로서도 큰 명성을 얻었다. 스스로 동성애자임을 숨기지 않고 작품에도 정체성을 자유롭게 드러냈으며, 어떤 유파에도 속하지 않고 스스로 하나의 스타일을 만들어냈다. 혁명 이후 소비에트 정부가 들어선 후로는 활발한 활동을 하지 못하고 생계를 위해 외국 문학을 번역하거나 연극 공연을 위한 음악을 작곡했다. 1913년 만난 화가 유리 유르쿤과 함께 자신의 아파트에서 1936년 사망할 때까지 동거했다. 소련 붕괴 이후 쿠즈민의 문학은 새로이 조명을 받아 『날개』가 재출간되고 시집 『송어가 얼음을 뚫는다』를 원작으로 한 연극이 만들어져 상연되기도 했다.

역 : 안지영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역 : 안지영
관심작가 알림신청
연세대학교 노어노문학과를 졸업하고 서울대학교 노어노문학과에서 박사 과정을 수료한 후 러시아학술원 산하 러시아문학연구소에서 “20세기 초 러시아모더니즘 드라마에 나타나는 ‘발라간’의 문제”라는 주제로 박사 학위를 받았다. 2003년부터 경희대학교 러시아어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역서로는 『러시아상징주의 희곡선』, 『아름다운 폭군』, N. 예브레이노프의 『가장 중요한 것』, A. 체호프의 『사랑에 관하여』와 『메이예르홀트의 연출세계』(공역), 『코레야, 1903 가을』(공역) 등이 있고, 주요 논문으로는 「예브레이노프의 연극론 읽기」, 「포스트소비에트의 아방가르드 연극에 관한 小考: 안드레이 모구치와 포르말느이 극장」, 「변환기의 햄릿과 체호프: 19세기 말 20세기 초 ‘러시아 햄릿주의’에 관한 小考」, 「긴카스와 체홉, 긴카스의 체홉」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