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 소개(4명)

이전

편 : 한자경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편 : 한자경
관심작가 알림신청
이화여자대학교 철학과와 동 대학교 대학원을 졸업하였다. 독일 프라이부르크대학교에서 서양철학(칸트)을 공부하고, 동국대학교 불교학과에서 불교철학(유식)을 공부하였다. 계명대학교 철학과를 거쳐 현재 이화여자대학교 철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저서로 『칸트와 초월철학: 인간이란 무엇인가』, 『자아의 연구: 서양 근·현대 철학자들의 자아관 연구』, 『자아의 탐색』, 『유식무경: 유식불교에서의 인식과 존재』, 『동서양의 인간 이해』, 『일심의 철학』, 『불교철학의 전개: 인도에서 한국까지』, 『불교의 무아론』, 『칸트 철학에의 초대』, 『나를 찾아가는 21字의 여정』, 『명상의 철학적 기초』, 『한국철학의 맥』, 『불교철학과 현대윤리의 만남』, 『헤겔 정신현상학의 이해』, 『대승기신론 강해』, 『화두: 철학자의 간화선 수행 체험기』, 『선종영가집 강해』, 『심층 마음의 연구』, 『마음은 이미 마음을 알고 있다: 공적영지』, 『성유식론 강해 I: 아뢰야식』, 『실체의 연구: 서양 형이상학의 역사』, 『마음은 어떻게 세계를 만드는가: 일체유심조』 등이 있고, 역서로는 피히테의 『인간의 사명』, 『전체 지식론의 기초』와 셸링의 『인간 자유의 본질』, 『철학의 원리로서의 자아』, 『자연철학의 이념』이 있다.

한자경의 다른 상품

능엄경 강해 2

능엄경 강해 2

40,850 (5%)

'능엄경 강해 2' 상세페이지 이동

능엄경 강해 1

능엄경 강해 1

33,250 (5%)

'능엄경 강해 1' 상세페이지 이동

언어, 진실을 전달하는가 왜곡하는가

언어, 진실을 전달하는가 왜곡하는가

23,000

'언어, 진실을 전달하는가 왜곡하는가' 상세페이지 이동

본성, 개념인가 실재인가

본성, 개념인가 실재인가

25,000

'본성, 개념인가 실재인가' 상세페이지 이동

불교의 무아론

불교의 무아론

22,000

'불교의 무아론' 상세페이지 이동

의지, 자유로운가 속박되어 있는가

의지, 자유로운가 속박되어 있는가

24,000

'의지, 자유로운가 속박되어 있는가' 상세페이지 이동

매거진 G : 3호 [2021]

매거진 G : 3호 [2021]

8,910 (10%)

'매거진 G : 3호 [2021] ' 상세페이지 이동

20세기 동북아시아의 정신문화와 평화 사상

20세기 동북아시아의 정신문화와 평화 사상

23,000

'20세기 동북아시아의 정신문화와 평화 사상' 상세페이지 이동

공저 : 월암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공저 : 월암
관심작가 알림신청
1973년 경주 중생사에서 도문큰스님을 은사로 출가했다. 중국에 건너가 옛 선종 오가칠종의 200여 조정을 참배하고 선지식을 참문하였으며, 진여선사, 남화선사, 백림선사, 정거선사, 용천선사 등 선원에서 안거하였다. 그리고 북경대학 철학과에서 중국철학을 공부하고 선종사를 전공하여 『돈오선 연구』로 철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동국대학 선학과에서 후학을 지도하였으며, 백양사, 봉암사, 정혜사, 벽송사, 대승사 등 제방선원에서 수선안거하였다. 지금은 부산 미타선원 행복선수행학교 교장으로 활동하고 있으며, 문경 불이마을 한산사를 창건하여 용성선원증으로서 불이선 운동에 진력하고 있다. 저서로는 『간화정로』, 『돈오선』, 『선원청규』, 『친절한 간화선』, 『선원청 규』(주편), 『좌선요결』, 『니 혼자 부처 되면 뭐하노』, 『생각 이전 자리에 앉아라』 등이 있다.

월암의 다른 상품

전등수필 (傳燈隨筆) 2

전등수필 (傳燈隨筆) 2

15,120 (10%)

'전등수필 (傳燈隨筆) 2' 상세페이지 이동

선명상 마음의 평화

선명상 마음의 평화

9,000 (10%)

'선명상 마음의 평화' 상세페이지 이동

전등수필 (傳燈隨筆)

전등수필 (傳燈隨筆)

15,120 (10%)

'전등수필 (傳燈隨筆)' 상세페이지 이동

선율겸행禪律兼行

선율겸행禪律兼行

22,500 (10%)

'선율겸행禪律兼行' 상세페이지 이동

니 혼자 부처 되면 뭐하노

니 혼자 부처 되면 뭐하노

15,300 (10%)

'니 혼자 부처 되면 뭐하노' 상세페이지 이동

친절한 간화선

친절한 간화선

18,000 (10%)

'친절한 간화선' 상세페이지 이동

공저 : 오강남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공저 : 오강남
관심작가 알림신청
캐나다 리자이나 대학교(University of Regina) 종교학과 명예 교수. 우리 시대 대표적 비교종교학자인 오강남은 서울대학교 종교학과와 동 대학원을 졸업하고, 캐나다 맥매스터 대학교(McMaster University)에서 「화엄(華嚴) 법계연기(法界緣起) 사상에 관한 연구」로 종교학 박사학위(Ph. D.)를 받았다. 북미 여러 대학과 서울대 등의 객원교수, 북미 한인종교학회 회장, 미국종교학회 한국종교분과 공동의장을 역임했으며, 북미와 한국을 오가며 집필과 강의, 강연을 하고 있다.
저서로 문자주의에 빠진 한국 기독교계에 경종을 울린 명저 『예수는 없다』와 종교의 심층을 탐구한 『진짜 종교는 무엇이 다른가』를 비롯하여 『오강남의 그리스도교 이야기』, 『세계 종교 둘러보기』, 『종교란 무엇인가』, 『불교, 이웃 종교로 읽다』, 『살아 계신 예수의 비밀의 말씀』, 『종교, 이제는 깨달음이다』(공저) 등과, 노장 사상을 풀이한 『도덕경』과 『장자』가 있다.
번역서로는 『종교 다원주의와 세계 종교』, 『살아 계신 붓다, 살아 계신 예수』, 『귀향』, 『예언자』, 『예수 하버드에 오다』, 『기도』, 『데이비드 스즈키의 마지막 강의』, 『내 인생의 탐나는 영혼의 책 50』 등이 있으며, 제17회 《코리아타임스》 한국현대문학 영문번역상(장편소설 부문)을 수상했다.

오강남의 다른 상품

오강남의 생각 (큰글자도서)

오강남의 생각 (큰글자도서)

37,000

'오강남의 생각 (큰글자도서)' 상세페이지 이동

오강남의 생각

오강남의 생각

16,200 (10%)

'오강남의 생각' 상세페이지 이동

살아 계신 예수의 비밀의 말씀

살아 계신 예수의 비밀의 말씀

19,800 (10%)

'살아 계신 예수의 비밀의 말씀' 상세페이지 이동

코로나 이후 예배 설교 미래 리포트

코로나 이후 예배 설교 미래 리포트

13,500 (10%)

'코로나 이후 예배 설교 미래 리포트' 상세페이지 이동

매거진 G : 1호 [2020]

매거진 G : 1호 [2020]

8,910 (10%)

'매거진 G : 1호 [2020] ' 상세페이지 이동

나를 찾아가는 십우도 여행

나를 찾아가는 십우도 여행

13,500 (10%)

'나를 찾아가는 십우도 여행' 상세페이지 이동

진짜 종교는 무엇이 다른가

진짜 종교는 무엇이 다른가

21,600 (10%)

'진짜 종교는 무엇이 다른가' 상세페이지 이동

예언자

예언자

11,700 (10%)

'예언자' 상세페이지 이동

공저 : 정준영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공저 : 정준영
관심작가 알림신청
초기불교를 전공한 대학교수이자 명상지도자이다. 스리랑카 국립 켈라니아대학교에서 위빠사나 수행을 주제로 철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경전연구소 상임연구원, 한국연구재단의 우수등재지 「불교학연구」의 편집위원장을 역임했고, 대원불교문화대학 등에서 강의하고 있다. 현재 서울불교대학원대학교 불교학과 명상학전공 교수이다. 미얀마의 마하시, 순룬, 쉐우민 수행센터, 스리랑카의 칸두보다, 니싸라나와나야, 나우야나, 그리고 태국, 미국과 캐나다 등에서 수행했다.
저서로는 『위빠사나』, 『다른사람 다른명상』, 『욕망, 삶의 동력인가 괴로움의 뿌리인가』, 『나, 버릴 것인가 찾을 것인가』 등이 있고, 역서로는 『몰입이 시작이다』, 『어려울 때 힘이 되는 8가지 명상』, 『불교의 기원』, 논문으로는 「사마타와 위빠사나의 의미와 쓰임에 대한 일고찰」, 「상수멸정의 성취에 관한 일고찰」, 「장애의 두 가지 기능에 대한 연구」 등이 있다.

정준영의 다른 상품

상좌부불교에서 본 열반

상좌부불교에서 본 열반

18,000

'상좌부불교에서 본 열반' 상세페이지 이동

마음챙김 차명상, MTM

마음챙김 차명상, MTM

16,200 (10%)

'마음챙김 차명상, MTM' 상세페이지 이동

있는 그대로

있는 그대로

16,200 (10%)

'있는 그대로' 상세페이지 이동

불교의 기원

불교의 기원

43,200 (10%)

'불교의 기원' 상세페이지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