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 소개(11명)

이전

저 : 황문환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황문환
관심작가 알림신청
성균관대학교를 졸업후, 한국정신문화 연구원 한국학대학원 졸업하였다. 서울대학교 한국문화연구소 선임연구원 역임하였고, 현재는 한국학중앙연구원(구 한국정신문화연구원) 한국학대학원 인문학부 교수이다. 대표 논저로는『16, 17세기 언간의 상대경어법』(태학사, 2002), 『역주 오륜행식도』(서울대출판부, 2006) 등이 있다.

황문환의 다른 상품

16, 17세기 언간의 상대경어법

16, 17세기 언간의 상대경어법

15,000

'16, 17세기 언간의 상대경어법' 상세페이지 이동

공저 : 주영하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공저 : 주영하
관심작가 알림신청
周永河
1962년 경남 마산에서 태어났다. 마산고등학교 2학년 때 읽은 리영희 교수의 《8억인과의 대화》에 감동하여 서강대학교 사학과에 진학했다. 대학을 졸업한 후 1986년 (주)풀무원에 입사했고, 얼마 후 생긴 김치 박물관에서 1994년 7월까지 학예연구원으로 있었다. 그곳에서 김치를 비롯한 한국음식의 문화인류학적 조망에 관심을 두게 되었고 1993년 12월 한양대학교 대학원 문화인류학과에서 〈김치의 문화인류학적 연구〉라는 석사학위 논문을 발표해 사람들의 주목을 받았다.
그러나 열일곱 살 때부터 꿈꾸었던 중국으로의 장정을 위해 직장을 그만두고 1994년 9월 베이징에 있는 중앙민족대학(中央民族大學) 민족학(인류학)과 박사 과정에 입학했다. 쓰촨, 윈난, 구이저우 3성(省)을 전공 지역으로 한 소수민족연구는 역사학과 인류학을 기초로 해 수행된 역사인류학 이었다. 특히 쓰촨성 량산(凉山) 지역에 사는 170여만 명의 롤로족〔?族〕에 관심을 가졌고 1998년에는 박사학위 논문으로 그들이 현재 식기로 사용하는 칠기를 대상으로 〈中國四川凉山?族傳統漆器硏究〉를 썼다. 이 책은 1996년에서 1997년 사이 중국에서 수행했던 현지 조사를 바탕으로 쓰였다. 오늘날 급속하게 변하는 현지 사정과 책 내용은 다를 수 있다. 2001년 한국학중앙연구원(옛 한국정신문화연구원) 한국학대학원의 민속학 전공 교수가 된 이후에는 한국을 중심으로 동아시아의 민속학과 음식사 연구를 진행하면서 음식의 역사와 문화에 대한 연구를 계속하고 있다. 최근 동아시아 음식의 역사와 문화에 관한 연구를 계속하고 있다.
그동안 지은 책으로는 《음식전쟁 문화전쟁》, 《차폰 잔폰 짬뽕》, 《음식인문학》, 《맛있는 세계사》, 《식탁 위의 한국사》, 《장수한 영조의 식생활》, 《밥상을 차리다》, 《한국인, 무엇을 먹고 살았나》(공저), 《한국인은 왜 이렇게 먹을까?》, 《조선의 미식가들》, 《백년식사》, 《음식을 공부합니다》, 《KOREAN CUISINE: The History of Exchange and Hybridization》, 《그림으로 맛보는 조선음식사》, 《분단 이전 북한 사람들은 무엇을 먹고 살았을까?: 일제 강점기 북한 음식》 등이 있으며, 《중 국 음식 문화사》를 우리말로 옮겼다. 또 ‘식탁 위의 글로벌 히스토리’ 시리즈(전 10권)와 《옥스퍼드 음식의 역사: 27개 주제로 보는 음식 연구》의 번역을 감수하고 한국어판 특집 글을 썼다.

주영하의 다른 상품

분단 이전 북한 사람들은 무엇을 먹고 살았을까?

분단 이전 북한 사람들은 무엇을 먹고 살았을까?

10,400

'분단 이전 북한 사람들은 무엇을 먹고 살았을까?' 상세페이지 이동

그림으로 맛보는 조선음식사

그림으로 맛보는 조선음식사

12,600

'그림으로 맛보는 조선음식사' 상세페이지 이동

음식을 공부합니다

음식을 공부합니다

11,200

'음식을 공부합니다' 상세페이지 이동

조선의 미식가들

조선의 미식가들

14,000

'조선의 미식가들' 상세페이지 이동

한국인은 왜 이렇게 먹을까?

한국인은 왜 이렇게 먹을까?

15,400

'한국인은 왜 이렇게 먹을까?' 상세페이지 이동

역사로 통하는 맛의 항해

역사로 통하는 맛의 항해

8,000

'역사로 통하는 맛의 항해' 상세페이지 이동

식탁 위의 한국사

식탁 위의 한국사

20,300

'식탁 위의 한국사' 상세페이지 이동

공저 : 박용만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공저 : 박용만
관심작가 알림신청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에서 석사 및 박사학위를 받았고, 현재 한국학중앙연구원 선임연구원으로 재직 중이다. 논저로 『역주 원중랑집』1~10(공역, 소명출판, 2004), 『아계 이산해의 학문과 사상』(공저, 지식산업사, 2010), 『조선의 왕으로 살아가기』(공저, 돌베개, 2011), 「이용휴의 시문학 연구」(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0) 등이 있다.

공저 : 옥영정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공저 : 옥영정
관심작가 알림신청
고문헌관리학 전공,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 인문학부 교수, 『금속활자인쇄술과 역사발전 Ⅰ』(공저), 「한국 古文獻의 현황과 기준 설정에 대한 검토」, 『완판본(完板本) 고전책방을 열다』(공저) 등의 논저가 있다.

옥영정의 다른 상품

조선에 전해진 중국 문헌

조선에 전해진 중국 문헌

91,000

'조선에 전해진 중국 문헌' 상세페이지 이동

공저 : 육수화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공저 : 육수화
관심작가 알림신청
Yuk, Su-Hwa,陸受禾
한국학중앙연구원(구 한국정신문화연구원) 한국학대학원에서 석.박사과정을 이수하였으며, <조선후기 왕실교육 연구>로 교육학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한국학중앙연구원 선임연구원을 역임하였고, 현재 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 연구원으로, 왕실문화총서 연구책임자를 겸하고 있으며, 연세대학교 등에 출강하고 있다.
논문으로는 <여훈서를 통해 본 조선왕실의 여성교육><조선왕실의 조기교육기관 연구><조선후기 서연연구> <조선시대 왕세자의 교육기관>등 10여 편이 있다.

공저 : 김건곤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공저 : 김건곤
관심작가 알림신청
金乾坤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 명예교수. 1956년 경상북도 청도에서 태어났다. 계명대학교 한문교육학과를 졸업하고,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에서 문학석사와 문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한국학중앙연구원 국문학전공 교수로 38년 11개월 봉직하며 많은 제자들을 양성하고 2021년 2월 정년퇴임하였다.

『이제현의 삶과 문학』 (이회, 1996), 『김극기 유고』 (정문연, 1997), 『고려시대 역사시 연구』 (정문연, 1999), 『신라 고려시대의 명시』 (이회, 2005), 『한국 명승고적 기문사전』 (이회, 2005), 『고려시대의 문인과 승려』 (파미르, 2007), 『해동문헌총록과 고려시대의 책』 (한중연, 2013), 『동국여지승람 제영사전(군현편)』 (한중연, 2014), 『동국여지승람 제영사전(산천편)』 (한중연, 2016), 『동국여지승람 제영사전(누정편)』 (한중연, 2017), 『천자문-장서각 소장 왕실 천자문 역해』 (한중연, 2016), 『천 개의 글자, 천년의 문화』 (한중연, 2018), 『역주 해동문헌총록』 (전자출판, 한중연, 2018), 『고려시대 외교문서와 사행시문』 (한중연, 2020), 『신라·고려 한문학의 비평과 재인식』(2021), 『역주 민은시』, 『역주 동시총화』 (출판 중) 등이 있다.

김건곤의 다른 상품

신라·고려 한문학의 비평과 재인식

신라·고려 한문학의 비평과 재인식

43,000

'신라·고려 한문학의 비평과 재인식' 상세페이지 이동

공저 : 이현주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공저 : 이현주
관심작가 알림신청
국어학(국어사) 전공, 한국학중앙연구원 책임연구원
주요 논저로는 「언간에 나타나는 중복형식에 대하여」(2014), 「언간에 나타나는 어기활용형에 대한 고찰」(2014), 「한자어 어기(漢字語語基)와 고유어 접사성(接辭性) 형태소의 결합에 대한 통시적 고찰」(2015)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