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 소개(19명)

이전

저 : 김영희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김영희
관심작가 알림신청
서울대학교 언론정보학과 객원교수다. 현재 [언론정보연구](서울대학교 언론정보연구소 발행 등재학술지) 편집위원장으로 활동하고 있다. 이화여자대학교 신문방송학과(현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부) 졸업, 서울대학교 대학원 신문학과(현 언론정보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원 박사 과정을 수료했다. 한양대학교 대학원에서 언론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한국전쟁기 미디어와 사회」 등 한국 미디어 역사를 주제로 다수의 저서와 논문을 출판했다. 저서로 『한국전쟁기 미디어와 사회』(2015, 대한민국학술원 우수학술도서), 『한국사회의 미디어 출현과 수용: 1880-1980』(2009, 대한민국학술원 우수학술도서), 『통일·미디어·커뮤니케이션』(2016, 공저), 『한국 신문의 사회문화사』(2013, 공저), 『한국 현대 언론인 열전』(2011, 공저), 『한국 텔레비전 방송 50년』(2011, 공저) 등이 있다. 2010년 한국언론학회 학술상(저술상), 2019년 한국언론학회 창립 60주년 학술영예상(논문부문)을 받았다.

김영희의 다른 상품

한국언론학선구자 : 김동성과 김현준

한국언론학선구자 : 김동성과 김현준

29,000

'한국언론학선구자 : 김동성과 김현준' 상세페이지 이동

언론인 박권상과 한국 현대 언론 큰글씨책

언론인 박권상과 한국 현대 언론 큰글씨책

36,000

'언론인 박권상과 한국 현대 언론 큰글씨책' 상세페이지 이동

언론인 박권상과 한국 현대 언론

언론인 박권상과 한국 현대 언론

25,800

'언론인 박권상과 한국 현대 언론' 상세페이지 이동

저 : 김은미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김은미
관심작가 알림신청
서울대학교 사회과학대학 언론정보학과 교수이며 연합전공 정보문화학의 교육에도 참여하고 있는 뉴미디어 연구자다. 미국 노스웨스턴대학에서 커뮤니케이션학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학부와 대학원에서 대인커뮤니케이션, 문화콘텐츠와 커뮤니케이션, 네트워크 미디어와 인간관계, 디지털 미디어 리터러시 등을 강의한다. 국민대학교와 연세대학교 교수를 거쳐 현재에 이르기까지 연구와 교육에 임하는 시기가 우연히도 디지털 미디어가 빠른 속도로 확산하면서 사회의 거의 모든 영역에 크고 작은 변화를 일으키는 기간이었다. 사회 전 분야에 걸쳐 미디어 기술과 서비스가 가져오는 변화와 이에 대한 개인적·사회적 대응에 연구 관심을 쏟아왔으며 특히 학제 간 연구에 많은 흥미를 가지고 있다. 미디어 기술이 빠르게 발전하는 만큼 이에 대한 호기심을 풀어내다 보니 2015년 한국연구재단 한국학술지인용색인(KCI) 조사에서 신문방송학 분야 총피인용횟수 1위에 오르기도 했다. 최근에는 미디어 콘텐츠의 구전 현상을 대상으로 미디어 생태계가 대인 커뮤니케이션 과정과 어떻게 접목되는가를 관찰하고 있으며 디지털 미디어 안에서 이루어지는 크고 작은 창의적 활동과 문화예술 활동을 중심으로 창의성은 무엇이고 어떻게 계발되는지에 대해서도 관심을 갖고 있다. 주요 공저서로는 『창조성의 원천』(2013), 『SNS혁명의 신화와 실제』(2011)[중국어 번역본 『한국 사교 매체 문화: SNS의 발전과 한국 사회(韓國社交媒體文化: SNS的發展與韓國社會)』(2015)], 『우리는 마이크로 소사이어티로 간다』(2008) 등이 있으며 가장 최근에는 Handbook of Mediated Communication(2018)과 Handbook of Korean Culture and Society(2017)에 챕터 저자로 참여했다.

김은미의 다른 상품

기업시민, 미래경영을 그리다

기업시민, 미래경영을 그리다

18,500

'기업시민, 미래경영을 그리다' 상세페이지 이동

연결된 개인의 탄생 큰글씨책

연결된 개인의 탄생 큰글씨책

35,000

'연결된 개인의 탄생 큰글씨책' 상세페이지 이동

연결된 개인의 탄생

연결된 개인의 탄생

24,800

'연결된 개인의 탄생' 상세페이지 이동

저 : 박재영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박재영
관심작가 알림신청
서울대학교 법과대학을 졸업하고 조선일보 기자로 일하다가 미국 미주리대학교 저널리즘스쿨에서 석사 및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고려대학교 미디어학부 교수로서 KUMA(고대언론인교우회 후원 기자양성프로그램) 주임교수를 맡고 있다.

박재영의 다른 상품

탁월한 스토리텔러들 (큰글자도서)

탁월한 스토리텔러들 (큰글자도서)

45,000

'탁월한 스토리텔러들 (큰글자도서)' 상세페이지 이동

한국의 정치 보도

한국의 정치 보도

30,000

'한국의 정치 보도' 상세페이지 이동

버릴 관행, 지킬 원칙

버릴 관행, 지킬 원칙

25,000

'버릴 관행, 지킬 원칙' 상세페이지 이동

탁월한 스토리텔러들

탁월한 스토리텔러들

22,500 (10%)

'탁월한 스토리텔러들' 상세페이지 이동

뉴스 스토리

뉴스 스토리

28,500 (5%)

'뉴스 스토리' 상세페이지 이동

텔레비전 뉴스의 품질

텔레비전 뉴스의 품질

24,000

'텔레비전 뉴스의 품질' 상세페이지 이동

저 : 박종민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박종민
관심작가 알림신청
미국 미주리저널리즘스쿨 언론학 박사
현 경희대학교 언론정보학과 교수, 사회과학연구원장
전 한국방송학회, 방송재원특별위원회 위원장
전 한국광고홍보학회 회장

박종민의 다른 상품

조선 500년 대민 커뮤니케이션 윤음 연구

조선 500년 대민 커뮤니케이션 윤음 연구

18,000

'조선 500년 대민 커뮤니케이션 윤음 연구' 상세페이지 이동

산업적 지속가능성을 위한 방송영상산업의 재구조화

산업적 지속가능성을 위한 방송영상산업의 재구조화

15,300 (10%)

'산업적 지속가능성을 위한 방송영상산업의 재구조화' 상세페이지 이동

현대사회와 미디어

현대사회와 미디어

38,000

'현대사회와 미디어' 상세페이지 이동

저 : 배진아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배진아
관심작가 알림신청
공주대학교 영상학과 교수이다. 이화여대에서 언론학 박사학위를 취득한 후 문화방송 편성국에서 전문연구위원으로 일하면서 방송 수용자와 편성에 대해 연구했다. 미디어 수용자, 콘텐츠, 미디어 정책에 대해 연구하고 가르친다. 방송분쟁조정위원회, 여론집중도조사위원회, 방송미래발전위원회 등의 위원을 역임했다. 논문으로는 「미디어 다양성 재정립」(2019) 등이 있다.

배진아의 다른 상품

공영방송의 이해

공영방송의 이해

42,000

'공영방송의 이해' 상세페이지 이동

미디어 공진화

미디어 공진화

24,000

'미디어 공진화' 상세페이지 이동

미디어 교육 선언 큰글씨책

미디어 교육 선언 큰글씨책

25,000

'미디어 교육 선언 큰글씨책' 상세페이지 이동

미디어 교육 선언

미디어 교육 선언

14,800

'미디어 교육 선언' 상세페이지 이동

미디어 공진화

미디어 공진화

33,000

'미디어 공진화' 상세페이지 이동

저 : 백혜진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백혜진
관심작가 알림신청
한양대학교 광고홍보학과 교수다. ‘이론을 실천’하고픈 마음으로 교수직을 잠시 휴직하고 식품의약품안전처 소비자위해예방국장으로 3년 일했다. 기자가 되고 싶어 연세대학교 신문방송학과를 갔으나 졸업 후엔 광고인이 되었다. 더 효과적으로 실무를 할 수 있는 방법을 알기 위해 공부가 절실했다. 위스콘신대학교에서 매스 커뮤니케이션 석사와 박사학위를 받았다. 조지아대학교에서 조교수, 미시간주립대학교에서 종신교수로 근무 후 귀국해 한양대에 정착했다. 건강·위험·위기 커뮤니케이션, 소셜 마케팅, 광고PR의 사회적 책임 등 사회에 도움이 되는 연구를 하고자 한다. 주요 저서로는 『헬스 커뮤니케이션』(역서, 2010), 『소셜 마케팅(2013)』, 『공공 커뮤니케이션 캠페인』(역서, 2015), 『헬스 커뮤니케이션의 메시지 수용자 미디어 전략』(공저, 2012), 『커뮤니케이션 과학의 지평』(공저, 2015), 『광고PR 커뮤니케이션 효과 이론』(공저, 2018), 『한국 언론학 연구 60년: 성과와 전망』(공저, 2019), 『디지털시대의 PR학 신론』(공저, 2021) 등이 있다. 한국헬스커뮤니케이션학회 회장을 역임했다.

백혜진의 다른 상품

호모 퍼블리쿠스와 PR의 미래

호모 퍼블리쿠스와 PR의 미래

35,000

'호모 퍼블리쿠스와 PR의 미래' 상세페이지 이동

헬스 커뮤니케이션 메시지: 이론과 전망

헬스 커뮤니케이션 메시지: 이론과 전망

30,000

'헬스 커뮤니케이션 메시지: 이론과 전망' 상세페이지 이동

호모 퍼블리쿠스와 PR의 미래

호모 퍼블리쿠스와 PR의 미래

46,000

'호모 퍼블리쿠스와 PR의 미래' 상세페이지 이동

공공 위기 소통(큰글자책)

공공 위기 소통(큰글자책)

25,000

'공공 위기 소통(큰글자책)' 상세페이지 이동

공공 위기 소통

공공 위기 소통

12,000

'공공 위기 소통' 상세페이지 이동

디지털 시대의 PR학신론

디지털 시대의 PR학신론

24,000

'디지털 시대의 PR학신론' 상세페이지 이동

광고PR 커뮤니케이션 효과이론

광고PR 커뮤니케이션 효과이론

24,500

'광고PR 커뮤니케이션 효과이론' 상세페이지 이동

저 : 심민선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심민선
관심작가 알림신청
인하대 언론정보학과 교수. 미국 펜실베니아대학에서 커뮤니케이션학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미국 조지아대학 커뮤니케이션학과 조교수를 역임했고, 건강 커뮤니케이션을 가르치고 연구하며, 다수의 논문을 발표했다.
주요 저서로는 Korean Communication, Media, and Culture(공저, 2018), The Bibliography of Korean Communication and Media Studies(공저, 2018), ??한국 언론학 연구 60년: 성과와 전망??(공저, 2019) 등이 있으며, Journal of Communication, Health Communication, Journal of Health Communication 등의 국제 학술지에 다수의 논문을 게재했다.

심민선의 다른 상품

헬스 커뮤니케이션 메시지: 이론과 전망

헬스 커뮤니케이션 메시지: 이론과 전망

30,000

'헬스 커뮤니케이션 메시지: 이론과 전망' 상세페이지 이동

건강과 커뮤니케이션

건강과 커뮤니케이션

27,000

'건강과 커뮤니케이션' 상세페이지 이동

건강과 커뮤니케이션

건강과 커뮤니케이션

39,000

'건강과 커뮤니케이션' 상세페이지 이동

저 : 이기형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이기형
관심작가 알림신청
경희대학교 미디어학과 교수로 대중문화와 민속지학, 청년연구와 미디어 생산연구에 관심을 갖고 연구하고 있다. 연세대학교 영어영문학과를 졸업하고 미국 일리노이대학교 대학원 사회학 석사 및 커뮤니케이션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책으로는 《미디어 문화연구와 문화정치로의 초대》, 《플랫폼 변동의 시대 미디어 생산연구로의 초대》(공저), 《문화연구의 렌즈로 대중문화를 읽다》(공저), 《미디어 문화연구의 질적 방법론》(공저), South Korean Golden Age Melodrama(공저) 등이 있다.

이기형의 다른 상품

포스트텔레비전

포스트텔레비전

24,000

'포스트텔레비전' 상세페이지 이동

플랫폼 변동의 시대 : 미디어 생산연구로의 초대

플랫폼 변동의 시대 : 미디어 생산연구로의 초대

28,000

'플랫폼 변동의 시대 : 미디어 생산연구로의 초대' 상세페이지 이동

한국언론정보학보 117호

한국언론정보학보 117호

25,000

'한국언론정보학보 117호' 상세페이지 이동

현대사회와 미디어

현대사회와 미디어

38,000

'현대사회와 미디어' 상세페이지 이동

저 : 이동후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이동후
관심작가 알림신청
인천대학교 신문방송학과 교수다. 뉴욕대학교 미디어생태학 프로그램에서 박사학위를 받고 미디어생태학 이론과 ‘뉴미디어’ 문화를 연구하고 있으며, 인간·미디어, 문화·미디어 관계에 관심이 많다. 주요 저서로 『모바일미디어환경과 인간』, 『월터 옹』, 『커뮤니케이션학의 확장』(공저, 2016), 『모바일과 여성』(공저, 2015), 『미디어 생태이론』(2013), 『지금, 여기, 여성적 삶과 문화』(공저, 2013), 『TV 이후의 텔레비전』(공저, 2012), 『SNS 혁명의 신화와 실제』(공저, 2011) 등이 있고, 역서로 『미디어 생태학 사상』(2008) 등이 있다. 논문으로 「리터러시에 관한 매체 생태학적 고찰」(2017), 「‘뉴’미디어의 이해: 미디어 생태학의 지적 실천과 함의」(2015) 등이 있다. 최근에는 미디어 생태학적 시각의 이해를 돕는 저서를 준비하면서, 미디어 환경 변화에 따른 미디어-인간, 미디어-미디어의 복합적 관계 양상을 연구하고 있다.

이동후의 다른 상품

포스트텔레비전

포스트텔레비전

24,000

'포스트텔레비전' 상세페이지 이동

디지털 미디어 소비와 젠더

디지털 미디어 소비와 젠더

28,000

'디지털 미디어 소비와 젠더' 상세페이지 이동

디지털 미디어 소비와 젠더 (큰글자책)

디지털 미디어 소비와 젠더 (큰글자책)

55,000

'디지털 미디어 소비와 젠더 (큰글자책)' 상세페이지 이동

미디어는 어떻게 인간의 조건이 되었는가

미디어는 어떻게 인간의 조건이 되었는가

24,000

'미디어는 어떻게 인간의 조건이 되었는가' 상세페이지 이동

미디어 생태계

미디어 생태계

18,000

'미디어 생태계' 상세페이지 이동

월터 옹 큰글씨책

월터 옹 큰글씨책

25,000

'월터 옹 큰글씨책' 상세페이지 이동

모바일 미디어 환경과 인간 큰글씨책

모바일 미디어 환경과 인간 큰글씨책

20,000

'모바일 미디어 환경과 인간 큰글씨책' 상세페이지 이동

저 : 이재신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이재신
관심작가 알림신청
중앙대학교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부와 문화예술경영학과 교수다. 서울대학교 공업화학과에서 학사와 석사학위를 받았고, 미시간주립대학교에서 텔레커뮤니케이션학 석사, 코넬대학교에서 커뮤니케이션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R&I 멀티미디어 대표, 싱가포르 난양대학교 커뮤니케이션 스쿨 교수를 지냈다. 저서로는 『감정과 느낌으로서의 위험: 뇌 과학과 생물학적 접근』(2018), 『뇌과학과 커뮤니케이션』(2015) 등이 있으며 “유료 OTT 서비스 추천 콘텐츠 시청의도의 영향 요인 탐구” (2021), “국내 지상파 방송사 웹사이트 디자인의 시기별 변화에 대한 탐구”(2020) 등의 논문을 발표했다.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KISTEP) 기술영향평가위원회 위원장 등을 역임했으며 현재 한국인터넷자율규제기구(KISO)에서 정책위원, 검색어검증위원장, 인공지능 신기술위원장 등을 맡고 있다.

이재신의 다른 상품

인공지능 알고리즘과 다양성 그리고 편향 (큰글자책)

인공지능 알고리즘과 다양성 그리고 편향 (큰글자책)

25,000

'인공지능 알고리즘과 다양성 그리고 편향 (큰글자책)' 상세페이지 이동

인공지능 알고리즘과 다양성 그리고 편향

인공지능 알고리즘과 다양성 그리고 편향

12,000

'인공지능 알고리즘과 다양성 그리고 편향' 상세페이지 이동

저 : 이준웅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이준웅
관심작가 알림신청
서울대학교 언론정보학과 교수. 레토릭과 민주주의, 설득 커뮤니케이션, 정치 커뮤니케이션 등을 강의하고 있으며 언론과 민주주의, 뉴스의 사회적 기능, 정치 캠페인 효과 등에 대해 연구하고 있다. 저서로는 『말과 권력: 레토릭에서 의사소통 민주주의로』 등이 있다.

이준웅의 다른 상품

시민정치의 시대

시민정치의 시대

28,000

'시민정치의 시대' 상세페이지 이동

팬데믹 너머 대학의 미래를 묻다

팬데믹 너머 대학의 미래를 묻다

19,800

'팬데믹 너머 대학의 미래를 묻다' 상세페이지 이동

대한민국 ICT의 미래, 어떻게 준비할 것인가

대한민국 ICT의 미래, 어떻게 준비할 것인가

18,000

'대한민국 ICT의 미래, 어떻게 준비할 것인가' 상세페이지 이동

저 : 조연하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조연하
관심작가 알림신청
이화여자대학교 영어영문학과를 졸업하고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신문방송학과 언론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이화여자대학교 커뮤니케이션·미디어연구소 연구교수를 역임했다. 현재 이화여자대학교 커뮤니케이션·미디어연구소 책임연구위원, 이화여자대학교 정책과학대학원 정책과학과 초빙 교수로 재직중이다. 언론법제, 미디어 정책 및 규제, 미디어 교육 분야에서 연구하고 있으며, 저서 『미디어 저작권』으로 한국언론법학회 철우언론법상을 수상했다.
주요 저서로는 『미디어와 법』(커뮤니케이션북스, 2017) (공저), 『텔레비전 프로그램과 시청자』(한국학술정보, 2010) (공저), 『가족과 디지털 미디어: 미디어가 만드는 새로운 가족관계와 문화』(한울, 2010) (공저)가 있으며 주요 논문으로는 「교육 목적의 저작물 이용의 공정이용 판단요소: 미국 판결의 성향 및 함의」(2016) 「미디어 콘텐츠의 시간·공간이용의 법적 성격: 저작물 이용자의 자율성 이익의 관점에서」(2014) 「저작물의 사적복제에 관한 사법적 판단기준: 사적 이용을 중심으로」(2014) 「슬링박스를 이용한 TV프로그램의 장소이동 시청의 저작권법상의 성격」(2013) 「방송내용 심의기준 관련 법 규정의 체계성: 위임입법의 관점에서」(2012) 「저작물 성립 요건으로서의 창작성의 개념과 판단기준: 국내 법원의 판결 논리를 중심으로」(2011) (공저) 「디지털 미디어 저작권 판례에서의 변형적 이용 기준의 적용: 미국 연방항소법원의 기능론적 접근 사례를 중심으로」(2010) 「공정이용 관점에서의 개인용 비디오녹화기(PVR) 이용 연구: 디지털 방송저작물의 복제 및 전송을 중심으로」(2006) (공저) 「PVR(Personal Video Recorder)을 이용한 방송저작물 녹화의 법적 성격: 사적복제 및 공정 이용의 관점에서」(2006) 등이 있다.

조연하의 다른 상품

미디어 저작권

미디어 저작권

26,000

'미디어 저작권' 상세페이지 이동

메타버스와 저작권

메타버스와 저작권

12,000

'메타버스와 저작권' 상세페이지 이동

인공지능 창작과 저작권

인공지능 창작과 저작권

26,000

'인공지능 창작과 저작권' 상세페이지 이동

미디어 교육 선언 큰글씨책

미디어 교육 선언 큰글씨책

25,000

'미디어 교육 선언 큰글씨책' 상세페이지 이동

미디어 교육 선언

미디어 교육 선언

14,800

'미디어 교육 선언' 상세페이지 이동

저 : 차희원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차희원
관심작가 알림신청
이화여자대학교 커뮤니케이션·미디어학부 교수다. 이화여자대학교 신문방송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커뮤니케이션학 석사·박사 학위를 받았다. 코콤포터노벨리(주) 커뮤니케이션 전략연구소 소장을 지냈으며, 닐슨코리아에서 P&G 팀장 및 연구원으로 활동했다. 2011년 시라큐스대학교에서 방문학자로 연구했다. 저서로 『기업명성과 커뮤니케이션』(2018, 세종도서 우수학술도서, 한국PR학회 저술상), 『국가브랜드와 빅데이터』(공저, 2017) 등이 있으며, “Big Data Analyses of Korea’s Nation Branding on Google and Facebook”(2020), “From concerned citizens to activists: a case study of 2015 South Korean MERS outbreak and the role of dialogic government communication and citizens’ emotions on public activism”(2018) 등의 논문을 발표했다.

차희원의 다른 상품

커뮤니케이션과 사회

커뮤니케이션과 사회

29,000

'커뮤니케이션과 사회' 상세페이지 이동

PR커뮤니케이션과 명성

PR커뮤니케이션과 명성

29,700 (10%)

'PR커뮤니케이션과 명성' 상세페이지 이동

빅데이터와 국가브랜드

빅데이터와 국가브랜드

12,000

'빅데이터와 국가브랜드 ' 상세페이지 이동

빅데이터와 국가브랜드 (큰글씨책)

빅데이터와 국가브랜드 (큰글씨책)

25,000

'빅데이터와 국가브랜드 (큰글씨책)' 상세페이지 이동

PR커뮤니케이션과 명성

PR커뮤니케이션과 명성

46,000

'PR커뮤니케이션과 명성' 상세페이지 이동

공중 관계 핸드북: Public Relations 바로보기 큰글씨책

공중 관계 핸드북: Public Relations 바로보기 큰글씨책

28,310 (5%)

'공중 관계 핸드북: Public Relations 바로보기 큰글씨책' 상세페이지 이동

공중 관계 핸드북: Public Relations 바로보기

공중 관계 핸드북: Public Relations 바로보기

18,810 (5%)

'공중 관계 핸드북: Public Relations 바로보기' 상세페이지 이동

저 : 홍주현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홍주현
관심작가 알림신청
국민대학교 언론정보학부 조교수다. 이화여자대학교 신문방송학과를 졸업했다. 이화여자대학교에서 석사학위와 언론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박사학위 후 베이징대학교 신문방송학과에서 1년간 연구학자를 했다. 서울특별시청 여론조사 전문직, 분산공유형건설연구인프라 구축사업단에서 연구원 등을 거쳤다. 인터넷 여론, 소셜 미디어에서의 루머 확산, 소셜 네트워크 분석이 주요 연구 분야다. 저서로 ??소셜콘텐츠의 흥망성쇠: 싸이월드에서 배틀그라운드까지??(공저, 2018), ??한국사회와 뉴미디어 확산??(공저, 2018)이 있다. “트위터에 나타난 미투(#Me Too)운동과 젠더 갈등이슈 분석: 네트워크 분석과 의미분석을 중심으로”(2019), “루머의 사실성·파급력과 소셜 미디어를 통해 형성된 공중의 관계: 사드배치 관련 루머의 확산 네트워크 분석”(2017), “사드 루머(THADD rumor) 보도에 나타난 한국 언론의 정파성?네트워크 분석과 프레임 분석을 중심으로”(2017) 등 다수의 논문을 발표했다.

홍주현의 다른 상품

디지털 뉴스 소비자 (큰글씨책)

디지털 뉴스 소비자 (큰글씨책)

37,000

'디지털 뉴스 소비자 (큰글씨책)' 상세페이지 이동

디지털 뉴스 소비자

디지털 뉴스 소비자

27,000

'디지털 뉴스 소비자' 상세페이지 이동

편 : 한국언론학회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편 : 한국언론학회
관심작가 알림신청

한국언론학회의 다른 상품

데이터 테크놀로지와 커뮤니케이션 연구 큰글씨책

데이터 테크놀로지와 커뮤니케이션 연구 큰글씨책

45,000

'데이터 테크놀로지와 커뮤니케이션 연구 큰글씨책' 상세페이지 이동

데이터 테크놀로지와 커뮤니케이션 연구

데이터 테크놀로지와 커뮤니케이션 연구

33,800

'데이터 테크놀로지와 커뮤니케이션 연구' 상세페이지 이동

한국 언론학 설계자들

한국 언론학 설계자들

16,200 (10%)

'한국 언론학 설계자들' 상세페이지 이동

4차 산업혁명 시대의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4차 산업혁명 시대의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26,600 (5%)

'4차 산업혁명 시대의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 상세페이지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