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 소개(5명)

이전

저 : 서윤영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서윤영
관심작가 알림신청
건축과 관련된 사회, 문화, 역사 이야기를 글로 쓰는 건축 칼럼니스트이다. 명지대학교 대학원에서 건축 공부를 시작했고, 지금은 고려대학교에서 박사 과정을 공부하고 있다. 홍익대학교, 인하대학교 등에서 강의를 했다.

건축 설계 사무소에 다니면서 온라인 신문에 칼럼을 연재한 것이 계기가 되어 첫 책 『세상에서 가장 아름다운 집』을 펴냈고 그 뒤로는 철근과 콘크리트가 아닌, 말과 글로 집을 짓는 일에 전념하게 되었다. 결혼으로 4인가구에서 2인가구가 되었다. 개인의 공간을 소중하게 생각한다. 얼마 전 일에 더 열중하기 위해 집 근처에 작업실 겸 세컨드 하우스를 얻었다. 그렇게 지금은 간헐적 1인가구, 즉 1.5인가구로 산다.

『10대와 통하는 건축으로 살펴본 한국 현대사』, 『집우 집주』, 『우리가 살아온 집, 우리가 살아갈 집』, 『건축, 권력과 욕망을 말하다』, 『사람을 닮은 집, 세상을 담은 집』, 『내게 금지된 공간 내가 소망한 공간』, 『동경과 월경의 순간들』, 『꿈의 집, 현실의 집』, 『집에 들어온 인문학』, 『대중의 시대 보통의 건축』, 『침대는 거실에 둘게요』를 썼고, 함께 쓴 책으로 『나는 어떤 집에 살아야 행복할까?』가 있다.

서윤영의 다른 상품

생각이 크는 인문학 26 집

생각이 크는 인문학 26 집

13,320 (10%)

'생각이 크는 인문학 26 집' 상세페이지 이동

미래 세대를 위한 건축과 국가 권력 이야기

미래 세대를 위한 건축과 국가 권력 이야기

14,250 (5%)

'미래 세대를 위한 건축과 국가 권력 이야기' 상세페이지 이동

10대와 통하는 건축과 인권 이야기

10대와 통하는 건축과 인권 이야기

13,300 (5%)

'10대와 통하는 건축과 인권 이야기' 상세페이지 이동

이상한 나라의 기발한 건축가들

이상한 나라의 기발한 건축가들

12,600 (10%)

'이상한 나라의 기발한 건축가들' 상세페이지 이동

서윤영의 청소년 건축 특강

서윤영의 청소년 건축 특강

12,350 (5%)

'서윤영의 청소년 건축 특강' 상세페이지 이동

내가 미래 도시의 건축가라면

내가 미래 도시의 건축가라면

12,600 (10%)

'내가 미래 도시의 건축가라면' 상세페이지 이동

선생님, 건축이 뭐예요?

선생님, 건축이 뭐예요?

11,700 (10%)

'선생님, 건축이 뭐예요?' 상세페이지 이동

침대는 거실에 둘게요

침대는 거실에 둘게요

11,700 (10%)

'침대는 거실에 둘게요' 상세페이지 이동

저 : 노은주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노은주
관심작가 알림신청
건축은 땅이 꾸는 꿈이고, 사람들의 삶에서 길어 올리는 이야기다. 임형남&노은주 부부는 땅과 사람의 목소리에 귀 기울이고, 둘 사이를 중재해 건축으로 빚어내는 것이 건축가의 역할이라 생각한다. 이들은 홍익대학교 건축학과 동문으로, 1999년부터 함께 가온건축을 운영하고 있다.

‘가온’이란 순우리말로 가운데·중심이라는 뜻과 ‘집의 평온함(家穩)’이라는 의미를 함께 갖고 있다. 가장 편안하고, 인간답고, 자연과 어우러진 집을 궁리하기 위해 이들은 틈만 나면 옛집을 찾아가고, 골목을 거닐고, 도시를 산책한다. 그 여정에서 집이 지어지고, 글과 그림이 모여 책으로 엮인다.

2011년 ‘금산주택’으로 한국공간디자인대상을, 2014년 ‘루치아의 뜰’로 대한민국 공간문화대상 우리사랑상을, 2020년 ‘제따와나 선원’으로 아시아건축사협의회 건축상을 수상했다.

저서로 『공간을 탐하다』, 『건축탐구 집』, 『도시 인문학』, 『집을 위한 인문학』, 『골목 인문학』, 『내가 살고 싶은 작은 집』, 『생각을 담은 집 한옥』, 『그들은 그 집에서 무슨 꿈을 꾸었을까』, 『집, 도시를 만들고 사람을 이어주다』, 『사람을 살리는 집』, 『작은 집 큰 생각』, 『나무처럼 자라는 집』, 『이야기로 집을 짓다』, 『서울 풍경 화첩』 등이 있다. EBS <건축탐구-집>에 출연해 집의 존재 이유와 중요성을 전하고 있고, 최근 ‘이야기로 집을 짓다(이집)’라는 유튜브 채널을 시작했다.
홍익대, 중앙대 등에서 강의를 했고, ‘금산주택’으로 2011년 공간디자인대상, 2012년 한국건축가협회 아천상을, ‘제따와나 선원’으로 2020년 아시아건축가협회 건축상을 수상했다. 『건축탐구 집』, 『집을 위한 인문학』, 『골목 인문학』, 『도시 인문학』 『서울풍경화첩』 『이야기로 집을 짓다』 『나무처럼 자라는 집』 『작은 집, 큰 생각』, 『사람을 살리는 집』, 『생각을 담은 집 한옥』 등 15권의 저서가 있고, 동아일보와 한겨레신문에 건축칼럼을 집필 중이다. 또한 EBS 〈건축탐구-집〉에 프리젠터로 출연해 집의 존재 이유와 중요성을 전하고 있다. 대표작으로 〈금산주택(House in Geumsan)〉 〈루치아의 뜰(Lucia's earth)〉, 〈까사 가이아(CASA GAIA〉, 〈제따와나 선원(Buddhist temple ‘Jetavana’〉 등이 있다.

노은주의 다른 상품

도시 인문학 (큰글자책)

도시 인문학 (큰글자책)

28,000

'도시 인문학 (큰글자책)' 상세페이지 이동

집의 미래 (큰글자책)

집의 미래 (큰글자책)

28,000

'집의 미래 (큰글자책)' 상세페이지 이동

집의 미래

집의 미래

17,100 (10%)

'집의 미래' 상세페이지 이동

나무처럼 자라는 집

나무처럼 자라는 집

17,100 (10%)

'나무처럼 자라는 집' 상세페이지 이동

공간을 탐하다

공간을 탐하다

15,300 (10%)

'공간을 탐하다' 상세페이지 이동

건축탐구 집

건축탐구 집

21,600 (10%)

'건축탐구 집' 상세페이지 이동

집을 위한 인문학

집을 위한 인문학

14,400 (10%)

'집을 위한 인문학' 상세페이지 이동

골목 인문학

골목 인문학

15,300 (10%)

'골목 인문학' 상세페이지 이동

저 : 조광제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조광제
관심작가 알림신청
1955년 출생으로 총신대학교 신학과를 졸업했으며, 서울대학교 철학과 대학원에 입학하여 석사과정을 마치고, 「현상학적 신체론―E. 후설에서 M. 메를로퐁티에로의 길」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2000년 시민철학학교 철학아카데미를 설립해 대표와 공동대표를 역임했으며, 현재는 상임위원으로 활동 중이다. (주)철학아카데미 대표이사, 한국 프랑스철학회 회장직을 맡고 있다.

후설의 철학을 전반적으로 조감한 『의식의 85가지 얼굴』(글항아리, 2008)을 출간했고, 메를로-퐁티의 『지각의 현상학』에 대한 강해서인 『몸의 세계, 세계의 몸』(이학사, 2004)을 출간했다. 지난 10여 년간 하이데거의 『존재와 시간』, 사르트르의 『존재와 무』, 메를로-퐁티의 『행동의 구조』, 『지각의 현상학』, 『보이는 것과 보이지 않는 것』, 그리고 푸코의 『말과 사물』 등을 원전을 중심으로 철저하게 분석해서 해설하는 강의를 진행했다. 또한 2011년부터 ‘주체소’, ‘현상소’, ‘언어소’, ‘현존 벡터’, ‘자성과 대타성’, ‘수렴-응축과 확산-분절’ 등의 개념들을 구축하여 ‘함수적 존재론’이라는 이름의 존재론을 확립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그런 가운데, 정치사회사상을 확립하기 위해 여러 동료들과 함께 집단적인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조광제의 다른 상품

『천 개의 고원』,「서론: 리좀」읽기

『천 개의 고원』,「서론: 리좀」읽기

9,000 (10%)

'『천 개의 고원』,「서론: 리좀」읽기' 상세페이지 이동

불투명성의 현상학

불투명성의 현상학

19,800

'불투명성의 현상학' 상세페이지 이동

장소 철학 2 : 장소와 윤리

장소 철학 2 : 장소와 윤리

26,600 (5%)

'장소 철학 2 : 장소와 윤리' 상세페이지 이동

장소 철학 1

장소 철학 1

23,750 (5%)

'장소 철학 1' 상세페이지 이동

현대철학의 광장

현대철학의 광장

22,500 (10%)

'현대철학의 광장 ' 상세페이지 이동

나는 어떤 삶을 살아야 할까?

나는 어떤 삶을 살아야 할까?

11,700 (10%)

'나는 어떤 삶을 살아야 할까?' 상세페이지 이동

회화의 눈, 존재의 눈

회화의 눈, 존재의 눈

14,400 (10%)

'회화의 눈, 존재의 눈' 상세페이지 이동

존재의 충만, 간극의 현존 2

존재의 충만, 간극의 현존 2

31,350 (5%)

'존재의 충만, 간극의 현존 2' 상세페이지 이동

저 : 손낙구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손낙구
관심작가 알림신청
1986년에 역사학 공부를 중단하고 공장에 들어가 2000년대 중반까지 노동운동에 몸담았다. 주로 금속 산업 노동자들과 함께했고 1999년부터 2004년까지 민주노총 대변인과 정책국장을 맡았다. 노동운동을 떠난 뒤에는 17, 18, 19, 20대 국회의원 보좌관으로 일했다. 보좌관으로 일하면서 한국 사회의 부동산 문제를 파고들었고 그 성과를 모아 <부동산 계급사회>(2008), <대한민국 정치사회지도>(2010), <10대와 통하는 땅과 집 이야기>(2013)를 펴냈다. <부동산 계급사회>는 중국에서 번역 출판되었다. 노동운동을 하느라 접었던 공부를 다시 시작하여 ‘1950년대 기업별 노조 체제의 형성’을 주제로 석사 학위를, ‘일제하 세무관서의 설치와 운영’을 주제로 박사 학위를 받았다.

손낙구의 다른 상품

조세 없는 민주주의의 기원

조세 없는 민주주의의 기원

28,500 (5%)

'조세 없는 민주주의의 기원' 상세페이지 이동

한국형 노동회의소를 꿈꾸다

한국형 노동회의소를 꿈꾸다

19,000 (5%)

'한국형 노동회의소를 꿈꾸다' 상세페이지 이동

10대와 통하는 땅과 집 이야기

10대와 통하는 땅과 집 이야기

10,800 (10%)

'10대와 통하는 땅과 집 이야기' 상세페이지 이동

대한민국 정치 사회 지도 수도권편

대한민국 정치 사회 지도 수도권편

90,000 (10%)

'대한민국 정치 사회 지도 수도권편' 상세페이지 이동

의자를 뒤로 빼지 마

의자를 뒤로 빼지 마

10,800 (10%)

'의자를 뒤로 빼지 마' 상세페이지 이동

부동산 계급사회

부동산 계급사회

13,500 (10%)

'부동산 계급사회' 상세페이지 이동

저 : 이재성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이재성
관심작가 알림신청
강원도 산골, 전기도 없는 마을에서 태어나 열 살까지 자랐다. 들녘 쏘다니며 풀꽃과 놀기, 나무 위에서 하늘 보기가 일상이었다. 자동차가 많고 불이 번쩍이는 서울로 와서 학교 가는 길을 잃기도 했다. 다락방에서 책을 읽고 음악을 들으며 십대를 보냈고 북한강 근처 어디쯤에서 자전거포를 하며 시를 쓰고 싶었다. 잡지사 기자, 자유기고가, 논술강사로 일했다. 지금은 길담서원 학예실장으로 청소년인문학교실, 한뼘미술관 전시, 출판, 인문예술 프로그램 등을 기획·진행·기록하며 공부하고 있다. 지은 책으로 『길담서원, 작은 공간의 가능성』이 있고, 함께 강의해서 정리한 책으로 『나는 어떤 집에 살아야 행복할까?』(철수와영희), 『눈, 새로운 발견』(궁리)이 있다.

이재성 의 다른 상품

길담서원, 작은 공간의 가능성

길담서원, 작은 공간의 가능성

15,300 (10%)

'길담서원, 작은 공간의 가능성' 상세페이지 이동

눈, 새로운 발견

눈, 새로운 발견

13,500 (10%)

'눈, 새로운 발견' 상세페이지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