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 소개(7명)

이전

저 : 윤영관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윤영관
관심작가 알림신청
서울대학교 외교학과를 졸업 후 존스홉킨스대학교 국제관계대학원(SAIS)에서 국제정치학 석?박사 학위를 받았다. 1990년 서울대학교에 교수로 부임하기 전에는 캘리포니아대학(University of California, Davis)에서 3년간 국제정치경제학을 가르쳤다. 국제정치경제, 한국외교, 남북관계 분야에서 「외교의 시대」, 「21세기 한국정치경제모델」, 「한반도 통일」(공저), 「통일한국의 정치제도」(공저) 등의 저서와 80여 편의 학술 논문을 발표했고 World Politics, International Political Science Review, The National Interest 등의 국제학술지와 미디어에 실렸다. 비영리 민간연구소인 미래전략연구원과 한반도평화연구원을 설립해 초대 원장으로 일했고, 제32대 외교통상부 장관, 동아시아비전그룹 II 한국대표이자 공동회장을 역임했다. 현재는 아산정책연구원 이사장과 서울대 정치외교학부 명예교수를 맡고 있다.

윤영관의 다른 상품

대전환의 한반도, 통합으로 통일을 연다

대전환의 한반도, 통합으로 통일을 연다

14,400 (10%)

'대전환의 한반도, 통합으로 통일을 연다' 상세페이지 이동

시진핑 新시대 왜 한국에 도전인가?

시진핑 新시대 왜 한국에 도전인가?

25,200 (10%)

'시진핑 新시대 왜 한국에 도전인가?' 상세페이지 이동

외교의 시대 (큰글씨책)

외교의 시대 (큰글씨책)

39,000

'외교의 시대 (큰글씨책)' 상세페이지 이동

독일 통합과 한국

독일 통합과 한국

25,000

'독일 통합과 한국' 상세페이지 이동

북한의 오늘 2

북한의 오늘 2

12,600 (10%)

'북한의 오늘 2' 상세페이지 이동

외교의 시대

외교의 시대

18,000 (10%)

'외교의 시대' 상세페이지 이동

저 : 손열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손열
관심작가 알림신청
EAI 원장, 연세대학교 국제학대학원 교수. 시카고대학교 정치학 박사. 연세대학교 국제학대학원 원장과 언더우드국제학부장, 지속가능발전연구원장, 국제학연구소장 등을 역임하였고, 도쿄대학 특임초빙교수, 노스캐롤라이나대학(채플힐), 캘리포니아대학(버클리) 방문학자를 거쳤다. 한국국제정치학회 회장(2019)과 현대일본학회장(2012)을 지냈다. Fullbright, MacArthur, Japan Foundation, 와세다대 고등연구원 시니어 펠로우를 지내고, 외교부, 국립외교원, 동북아역사재단, 한국국제교류재단 자문위원, 동북아시대 위원회 전문위원 등을 역임했다. 전공분야는 일본외교, 국제정치경제, 동아시아국제정치, 공공외교. 최근 저서로는 Japan and Asia's Contested Order (2019, with T. J. Pempel), Understanding Public Diplomacy in East Asia (2016, with Jan Melissen), 「South Korea under US-China Rivalry: the Dynamics of the Economic-Security Nexus in the Trade Policymaking,」 (The Pacific Review 2019(32):6), 『한국의 중견국외교』(2017, 공편) 등이 있다.

손열의 다른 상품

미중 경제전쟁과 한국

미중 경제전쟁과 한국

25,000

'미중 경제전쟁과 한국' 상세페이지 이동

여론으로 보는 한일관계 2013-2023

여론으로 보는 한일관계 2013-2023

24,000

'여론으로 보는 한일관계 2013-2023' 상세페이지 이동

위기 이후 한국의 선택

위기 이후 한국의 선택

32,000

'위기 이후 한국의 선택' 상세페이지 이동

2022 신정부 외교정책 제언

2022 신정부 외교정책 제언

16,000

'2022 신정부 외교정책 제언' 상세페이지 이동

2022 대통령의 성공조건

2022 대통령의 성공조건

16,000

'2022 대통령의 성공조건' 상세페이지 이동

BTS의 글로벌 매력 이야기

BTS의 글로벌 매력 이야기

20,000

'BTS의 글로벌 매력 이야기' 상세페이지 이동

위기 이후 한국의 선택

위기 이후 한국의 선택

42,000

'위기 이후 한국의 선택' 상세페이지 이동

저 : 송지연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송지연
관심작가 알림신청
Song, Jiyeoun ,宋枝燕
현재 서울대학교 국제대학원 교수다. 고려대학교 정치외교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 대학원에서 석사를 취득, 2008년 미국 하버드대학교에서 정치학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주요 저서로 Inequality in the Workplace: Labor Market Reform in Japanand Korea?(Cornell University Press, 2014), “Activating Women in the Labor Market: The Development of South Korea’s Female-Friendly Employment and Labor Market Policies,” Korea Observer?(2016), “The Politics of Immigrant Incorporation Policies in Korea and Japan,” Asian Perspective?(2016), “Labor Markets, Care Regimes, and Foreign Care Worker Policies in East Asia,” Social Policy & Administration?(2015), “Japan’s Regional Inequality in Hard Times,” Pacific Focus?(2015) 등 다수의 논문이 있다.

송지연의 다른 상품

일본자본주의 위기, 새로운 자본주의의 기회인가?

일본자본주의 위기, 새로운 자본주의의 기회인가?

27,550 (5%)

'일본자본주의 위기, 새로운 자본주의의 기회인가?' 상세페이지 이동

아베 시대 일본의 국가전략

아베 시대 일본의 국가전략

37,000

'아베 시대 일본의 국가전략' 상세페이지 이동

저 : 신성호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신성호
관심작가 알림신청
서울대학교 국제대학원 교수이자 국제안보센터 소장으로 재직 중이다. 서울대학교 외교학과 학사과정을 마치고, 미국 터프츠대학교(Tufts University) 플레처 스쿨(Fletcher School of Law and Diplomacy)에서 국제정치학 석사 및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미 국방부 아태안보연구소(APCSS, Hawaii) 연구교수, 워싱턴 D.C. 브루킹스 연구소(Brookings Institute) 동북아펠로우 등을 역임했다. 주요 논문으로 『한반도 미사일 방어의 딜레마: 북핵과 미중 전략 핵 경쟁 사이에서』 (2021), 『U.S. Coercive Diplomacy toward Pyongyang: Obama vs. Trump』(2020) 등이 있다.

신성호의 다른 상품

디지털 안보의 세계정치

디지털 안보의 세계정치

29,000

'디지털 안보의 세계정치' 상세페이지 이동

평화학이란 무엇인가

평화학이란 무엇인가

32,000

'평화학이란 무엇인가' 상세페이지 이동

도전과 응전, 그리고 한국 육군의 선택

도전과 응전, 그리고 한국 육군의 선택

22,000

'도전과 응전, 그리고 한국 육군의 선택' 상세페이지 이동

전략적 경쟁시대 한반도 안보 정세 분석 및 전망

전략적 경쟁시대 한반도 안보 정세 분석 및 전망

16,000

'전략적 경쟁시대 한반도 안보 정세 분석 및 전망' 상세페이지 이동

디지털 안보의 세계정치

디지털 안보의 세계정치

39,000

'디지털 안보의 세계정치' 상세페이지 이동

도전과 응전, 그리고 한국 육군의 선택

도전과 응전, 그리고 한국 육군의 선택

29,000

'도전과 응전, 그리고 한국 육군의 선택' 상세페이지 이동

저 : 이근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이근
관심작가 알림신청
서울대학교 국제대학원 교수이다. 서울대학교 외교학과에서 정치학 및 국제정치를 전공하고 미국 위스콘신대학교에서 정치학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정부기관인 국가안전보장회의·청와대·외교부·국방부·통일부·미래기획위원회 등에서 정책자문위원을 역임하였으며, 다보스포럼 한국 위원회 의장을 지냈다. 2012년에는 동아일보 ‘10년 뒤 한국을 빛낼 100인’에 선정되었다.

《중앙일보》, 《한국일보》, 《경향신문》, 《프레시안》 등에 기고한 따뜻하고도 날카로운 그의 칼럼은 많은 독자에게 사랑받고 있다. 온라인에서는 쉽고 재미있는 글로 수천 명의 팔로워들과 소통하고 있는 커뮤니케이터로도 유명하다. 현재는 사단법인 싱크탱크 미래지 원장과 외교부 정책 자문위원을 겸임하고 있다. 「남북관계와 미국의 동북아정책」, 「A Theory of Soft Power and Korea’s Soft Power Strategy」 등의 논문을 저술했다.

이근의 다른 상품

대한민국, 넥스트 레벨

대한민국, 넥스트 레벨

20,700 (10%)

'대한민국, 넥스트 레벨' 상세페이지 이동

Why? 와이 한국사 사랑이야기

Why? 와이 한국사 사랑이야기

11,520 (10%)

'Why? 와이 한국사 사랑이야기' 상세페이지 이동

도발하라

도발하라

10,800 (10%)

'도발하라' 상세페이지 이동

저 : 임혜란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임혜란
관심작가 알림신청
이화여자대학교에서 정치학 학사와 석사학위, 미국 University of California, Davis에서 정치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가톨릭대 국제학부 교수, 국가안전보장회의 정책전문위원, 외교통상부 정책자문위원, 미국 부르킹스 연구소 객원연구원, 한국정치학회 부회장, 대법원 법원감사위원회 위원 등을 역임한 바 있다. 2004년 3월 이후 서울대학교 정치외교학부 교수로 재직중이며 동아시아 정치경제, 비교정치경제, 국제정치경제 등을 연구하면서 강의하고 있다. 비교정치, 동아시아 정치경제 등을 주로 연구하고 있으며, 주요 논저로 Korea's Growth and Industrial Transformation, 『동아시아 협력과 공동체: 국가주의적 갈등을 넘어서』(공편), 『자유기업 경제하에서의 한국사회의 통합』(공저), “Transformation of Developmental States and Economic Reform in Korea”, 「한국의 민주주의 위기와 경제개혁」, 「대변환기의 국제정치경제질서: 패권과 신자유주의 질서의 변환」 등이 있다.

임혜란의 다른 상품

1980년대 한미 통상협상

1980년대 한미 통상협상

12,000

'1980년대 한미 통상협상' 상세페이지 이동

양분법을 넘어서

양분법을 넘어서

25,000

'양분법을 넘어서' 상세페이지 이동

동아시아 발전국가모델의 재구성

동아시아 발전국가모델의 재구성

24,000

'동아시아 발전국가모델의 재구성' 상세페이지 이동

저 : 최태욱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최태욱
관심작가 알림신청
한국리버럴아츠센터(KLAC) 센터장. 대학에 있는 동안에는 한국의 합의제 민주주의 발전을 위한 연구와 운동을 지속해 왔다. 현재는 인문학교육 운동에 참여하고 있다. 한동대 교수, 한림국제대학원대 교수, 창비 편집위원. 참여연대 상집위원, 비례대표제포럼 운영위원장, 비례민주주의연대 공동대표 등을 역임했다. 저서로는 <세계화시대의 국내정치와 국제정치경제>, <한국형 합의제 민주주의를 말하다>, <청년의인당> 등이 있고, 역은 책으로는 <신자유주의 대안론>, <자유주의는 진보적일 수 있는가>, <사회 개선과 지속가능성 확보를 위한 인문학 교육 방안> 등이 있다.

미국 캘리포니아 대학교 LA 캠퍼스(UCLA) 정치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최태욱의 다른 상품

성공의 덫에서 벗어나기 2

성공의 덫에서 벗어나기 2

19,000 (5%)

'성공의 덫에서 벗어나기 2' 상세페이지 이동

성공의 덫에 빠진 대한민국

성공의 덫에 빠진 대한민국

16,200 (10%)

'성공의 덫에 빠진 대한민국' 상세페이지 이동

복지 한국 만들기

복지 한국 만들기

13,500 (10%)

'복지 한국 만들기' 상세페이지 이동

갈등과 제도

갈등과 제도

13,500 (10%)

'갈등과 제도' 상세페이지 이동

자유주의는 진보적일 수 있는가

자유주의는 진보적일 수 있는가

13,500 (10%)

'자유주의는 진보적일 수 있는가' 상세페이지 이동

신자유주의 대안론

신자유주의 대안론

9,500 (5%)

'신자유주의 대안론' 상세페이지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