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 소개(2명)

이전

저 : 이백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이백
관심작가 알림신청
李白,태백太白, 이한림李翰林,청련거사靑蓮居士
시선(詩仙) 이백(李白, 701∼762)의 자는 태백(太白), 호는 청련거사(靑蓮居士)이고 이 한림(李翰林)이라고도 부른다. 별칭으로 적선謫仙이라 불리기도 했다. 두보(杜甫)와 함께 ‘이두(李杜)’로 병칭되며 1000여 편의 작품을 남겼다. 이백의 출생과 어린 시절은 명확하지 않다. 전해지는 바로는 조적(祖籍)은 지금의 간쑤성 톈수이(天水) 부근의 농서현(?西縣) 성기(成紀)였으나, 수나라 말기에 부친이 서역으로 이사해 서안도호부 관할이었던 중앙아시아에서 이백을 낳았고, 부친이 다시 사천성 면주(綿州) 창륭현(昌隆縣) 청련향(靑蓮?)으로 옮겨 옴에 따라 이백 또한 이곳에서 어린 시절을 보냈다고 전해진다.

725년(25세) 촉 땅을 떠나서 장강을 따라 삼협을 거쳐 강남 일대를 유람했으며 산동, 산서 등지를 떠돌며 도교(道敎)에 심취했다. 742년(42세) 도사 오균(吳筠)의 추천으로 한림공봉(翰林供奉)에 제수되었으나, 자신의 정치적 포부를 실현할 수 없자 3년 만에 관직을 버리고 장안을 떠나 다시 방랑의 길로 들어선다.
755년(55세) 안녹산이 난을 일으켰을 때 이백은 안휘성 선성(宣城)에 있었다. 57세에 황자(皇子) 영왕(永王) 인(璘)의 막료가 되었으나, 영왕이 권력 투쟁에서 패하고 숙종이 즉위하자 이백도 역도로 몰려 강서성 심양(尋陽)에 투옥되었다. 송약사(宋若思)가 구명해 그의 막료가 되었으나 끝내 귀주성 야랑으로 유배되었다. 야랑으로 가는 도중, 삼협을 거슬러 무산에 당도했을 때 특사를 받아 강릉으로 내려가며 「조발백제성(早發白帝城)」을 지었다.

이후 노쇠한 이백은 금릉과 선성을 오가다가 당도(當塗) 현령으로 있던 친척 이양빙(李陽?)에게 몸을 의탁했다. 762년 병이 중해지자 이백은 자신의 원고를 이양빙에게 주고 「임종가(臨終歌)」를 짓고는 회재불우의 한 많은 한평생을 끝마쳤다. 우리에게는 당도에 있는 채석기(採石磯)에서 노닐다 장강에 비친 달그림자를 잡으려다가 익사했다는 전설이 훨씬 더 익숙하다.

이백은 굴원 이후 가장 뛰어난 낭만주의자로 꼽힌다. 그는 당시의 민간 문예뿐 아니라 진한(秦漢)과 위진(魏晉) 이래 악부 민가를 이어받아 자신만의 독특한 풍격을 형성했다. 더구나 그는 도가에 심취해서 그의 시는 인간의 세계를 초월한 환상적인 경향 또한 짙다. 이백의 문장은 거의 모든 문장 형식을 망라하고 있어 그가 다양한 종류의 글에 능했음을 짐작할 수 있다. 자신을 대붕大鵬에 비유하며 기상을 떨치고자 하였지만 결국 실패하고 쓸쓸히 세상을 떠났다. 그의 시에는 호방하고 높은 기상이 빛나며 타고난 상상력으로 불후의 작품을 많이 남겼다. 그가 남긴 시는 중국뿐만 아니라 한국의 문인들에게도 영향을 많이 미쳤으며 지금도 세계의 많은 사람들이 그의 시를 애송하고 있다.

이백의 다른 상품

이백 시전집 8

이백 시전집 8

19,040

'이백 시전집 8' 상세페이지 이동

이백 시전집 7

이백 시전집 7

19,040

'이백 시전집 7' 상세페이지 이동

이백 시전집 6

이백 시전집 6

10,240

'이백 시전집 6' 상세페이지 이동

이백 시전집 5

이백 시전집 5

11,840

'이백 시전집 5' 상세페이지 이동

이백 시전집 1 고풍 - 지식을만드는지식 시선집

이백 시전집 1 고풍 - 지식을만드는지식 시선집

22,240

'이백 시전집 1 고풍 - 지식을만드는지식 시선집' 상세페이지 이동

이백 시전집 2 등람 - 지식을만드는지식 시선집

이백 시전집 2 등람 - 지식을만드는지식 시선집

15,840

'이백 시전집 2 등람 - 지식을만드는지식 시선집' 상세페이지 이동

이백 시전집 3 행역 - 지식을만드는지식 시선집

이백 시전집 3 행역 - 지식을만드는지식 시선집

14,240

'이백 시전집 3 행역 - 지식을만드는지식 시선집' 상세페이지 이동

역 : 이백시문연구회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역 : 이백시문연구회
관심작가 알림신청
이백의 시문에 관심을 가진 연구자들이 모여서 이백의 시문을 전문적으로 연구하고 번역하는 모임이다. 2013년 2월 결성되었으며 매주 온·오프라인 모임을 통해 이백의 시문을 강독하고 토론하고 있다. 2017년 중국 안후이성 마안산시를 방문해 중국이백연구회와 학술 교류를 시작했다. 그간의 역서로는 『이백시전집 I(고풍)』, 『이백시전집 II(등람)』, 『이백시전집 III(행역)』, 『이백시전집 IV(회고)』, 『이백 시전집 Ⅴ 한적』, 『이백 시전집 Ⅵ 회사』 등이 있다.

이백시문연구회의 다른 상품

중국 고전시가 알기

중국 고전시가 알기

11,900

'중국 고전시가 알기' 상세페이지 이동

이백 시전집 8

이백 시전집 8

19,040

'이백 시전집 8' 상세페이지 이동

이백 시전집 7

이백 시전집 7

19,040

'이백 시전집 7' 상세페이지 이동

이백 시전집 6

이백 시전집 6

10,240

'이백 시전집 6' 상세페이지 이동

이백 시전집 5

이백 시전집 5

11,840

'이백 시전집 5' 상세페이지 이동

이백 시전집 1 고풍 - 지식을만드는지식 시선집

이백 시전집 1 고풍 - 지식을만드는지식 시선집

22,240

'이백 시전집 1 고풍 - 지식을만드는지식 시선집' 상세페이지 이동

이백 시전집 2 등람 - 지식을만드는지식 시선집

이백 시전집 2 등람 - 지식을만드는지식 시선집

15,840

'이백 시전집 2 등람 - 지식을만드는지식 시선집' 상세페이지 이동

이백 시전집 3 행역 - 지식을만드는지식 시선집

이백 시전집 3 행역 - 지식을만드는지식 시선집

14,240

'이백 시전집 3 행역 - 지식을만드는지식 시선집' 상세페이지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