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 소개(3명)

이전

편저 : 주희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편저 : 주희
관심작가 알림신청
朱熹
중국 남송시대 학자로 유학을 집대성하였다. 자는 원회(元晦), 중회(仲晦), 호는 회암(晦庵), 회옹(晦翁), 운곡노인(雲谷老人), 창주병수(滄洲病?), 둔옹(遯翁) 등으로 불렸으며, 시호는 문공(文公)이다. 복건성 우계에서 태어나 5세 때부터 문장 공부를 시작해 19세에 진사가 되었다. 21세부터 50대까지 여러 관직을 거쳤으나 현직에 있던 시기는 얼마 되지 않으며, 대부분 명예직이었다.
공자, 맹자의 학문을 공부했으며 주돈이, 정이, 정호의 사상을 이어받은 도학파의 일원이었다. 불교와 도교에 대항해 이(理)와 기(氣) 개념으로 합리적인 유학의 형이상학을 완성하였다. 그가 창시한 주자학(성리학)은 사대부 계층과 한족 중심이라는 한계를 지니고 있음에도 원, 명, 청대에 관학으로서 관원을 양성하는 기초 학문이 되었으며, 동아시아의 정치, 사상, 문화에 커다란 영향을 끼쳤다. 주희는 이기론 인간 내면의 본질을 철학적으로 규명한 심성론, 몸과 마음을 바르게 하여 사물의 이치를 구하는 학문 수양법인 거경궁리론을 주장하였으며, 향약과 사창법 등을 주창하여 민생 안정 등 현실적인 사회문제를 해결하려는 경세론을 펼쳤다.
『사서집주』를 저술하여 오경(『시경』·『서경』·『역경』·『예기』·『춘추』) 중심의 경학을 사서(『논어』·『맹자』·『대학』·『중용』) 중심으로 바꾸었으며, 『소학』을 집필하여 아동교육의 철학적 토대를 마련하고, 『주자가례』를 만들어 관혼상제의 일상생활 규범을 정초하였다. 이 외에도 여조겸과 함께 지은 『근사록』 등 80여 종의 책을 편찬하였다.
사후에는 문인들과 주고받은 문답을 모은 『주자어류』와 직접 쓴 글들을 모은 『주자문집』이 편찬되었다. 『주자대전』으로도 불리는 『주자문집』은 정집 100권, 속집 11권, 별집 10권, 부록 12권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그중 정집 24권부터 64권까지의 편지글[書]은 현실 정치에 대한 주희의 구체적인 활동과 생각을 엿볼 수 있는 귀중한 사료이다. 『주자 서한집: 첫째 권』은 『주자문집』 24, 25권에 실린 주희의 편지글을 번역한 것이다.

주희의 다른 상품

사정전훈의 자치통감강목 20

사정전훈의 자치통감강목 20

24,000

'사정전훈의 자치통감강목 20' 상세페이지 이동

사정전훈의 자치통감강목 19

사정전훈의 자치통감강목 19

23,000

'사정전훈의 자치통감강목 19' 상세페이지 이동

사정전훈의 자치통감강목 16

사정전훈의 자치통감강목 16

20,000

'사정전훈의 자치통감강목 16' 상세페이지 이동

사정전훈의 자치통감강목 14

사정전훈의 자치통감강목 14

25,000

'사정전훈의 자치통감강목 14' 상세페이지 이동

사정전훈의 자치통감강목 19-2

사정전훈의 자치통감강목 19-2

8,250

'사정전훈의 자치통감강목 19-2' 상세페이지 이동

사정전훈의 자치통감강목 19-1

사정전훈의 자치통감강목 19-1

8,250

'사정전훈의 자치통감강목 19-1' 상세페이지 이동

사정전훈의 자치통감강목 18-2

사정전훈의 자치통감강목 18-2

9,250

'사정전훈의 자치통감강목 18-2' 상세페이지 이동

공역 : 성백효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공역 : 성백효
관심작가 알림신청
충남(忠南) 예산(禮山)에서 태어나셨다. 가정에서 부친 월산공(月山公)으로부터 한문을 수학하셨고, 월곡(月谷) 황경연(黃璟淵), 서암(瑞巖) 김희진(金熙鎭) 선생으로부터 사사했다.
민족문화추진회 부설 국역연수원 연수부 수료,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한문교육과를 수료하였고, 현재 한국고전번역원 명예교수, 전통문화연구회 부회장을 역임하고 있으며, 사단법인 해동경사연구소 소장을 역임 중이다.
사서집주(四書集註), 『시경집전(詩經集傳)』, 『서경집전(書經集傳)』, 『주역전의(周易傳義)』, 『고문
진보(古文眞寶)』, 『근사록집해(近思錄集解)』, 『심경부주(心經附註)』, 『통감절요(通鑑節要)』, 『당
송팔대가문초(唐宋八大家文抄) 소식(蘇軾)』, 『고봉집(高峰集)』, 『독곡집(獨谷集)』, 『다산시문집(茶山詩文集)』, 『송자대전(宋子大全)』, 『약천집(藥泉集)』, 『양천세고(陽川世稿)』, ??우계집(牛溪集)??, 『여헌집(旅軒集)』, 『율곡전서(栗谷全書)』, 『잠암선생일고(潛庵先生逸稿)』, 『존재집(存齋集)』, 『퇴계전서(退溪全書)』, 『부안설 논어집주(附按說 論語集註)』, 『부안설 맹자집주(附按說 孟子集註)』, 『부 안설 대학·중용집주(附按說 大學·中庸集註)』, 『배우고 익히는 논어(전3권)』, 『최신판 논어집주(論語集註)』, 『최신판 맹자집주(孟子集註)』, 『최신판 대학·중용집주(大學·中庸集註)』, 『조선후기 한문비평(전2권)』 등을 번역하였다.

성백효의 다른 상품

사정전훈의 자치통감강목 15

사정전훈의 자치통감강목 15

23,000

'사정전훈의 자치통감강목 15' 상세페이지 이동

사정전훈의 자치통감강목 14

사정전훈의 자치통감강목 14

25,000

'사정전훈의 자치통감강목 14' 상세페이지 이동

(십삼경주소) 주역정의 4-2

(십삼경주소) 주역정의 4-2

10,000

'(십삼경주소) 주역정의 4-2' 상세페이지 이동

(십삼경주소) 주역정의 4-1

(십삼경주소) 주역정의 4-1

10,000

'(십삼경주소) 주역정의 4-1' 상세페이지 이동

(십삼경주소) 주역정의 3-2

(십삼경주소) 주역정의 3-2

8,000

'(십삼경주소) 주역정의 3-2' 상세페이지 이동

(십삼경주소) 주역정의 3-1

(십삼경주소) 주역정의 3-1

8,000

'(십삼경주소) 주역정의 3-1' 상세페이지 이동

(십삼경주소) 주역정의 1-2

(십삼경주소) 주역정의 1-2

8,750

'(십삼경주소) 주역정의 1-2' 상세페이지 이동

(십삼경주소) 주역정의 1-1

(십삼경주소) 주역정의 1-1

8,750

'(십삼경주소) 주역정의 1-1' 상세페이지 이동

공역 : 연석환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공역 : 연석환
관심작가 알림신청
延錫煥
전통문화연구회 집필위원

연석환의 다른 상품

사정전훈의 자치통감강목 13-2

사정전훈의 자치통감강목 13-2

9,000

'사정전훈의 자치통감강목 13-2' 상세페이지 이동

사정전훈의 자치통감강목 13-1

사정전훈의 자치통감강목 13-1

9,000

'사정전훈의 자치통감강목 13-1' 상세페이지 이동

사정전훈의 자치통감강목 11-2

사정전훈의 자치통감강목 11-2

8,750

'사정전훈의 자치통감강목 11-2' 상세페이지 이동

사정전훈의 자치통감강목 11-1

사정전훈의 자치통감강목 11-1

8,750

'사정전훈의 자치통감강목 11-1' 상세페이지 이동

사정전훈의 자치통감강목 13

사정전훈의 자치통감강목 13

22,000

'사정전훈의 자치통감강목 13' 상세페이지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