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 소개(9명)

이전

저 : 김재인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김재인
관심작가 알림신청
철학자. 경희대학교 비교문화연구소 학술연구교수. 포스텍 융합문명연구원 《웹진X》 편집위원장. 디지털소사이어티 기획위원. 콜렉티브 휴먼 알고리즘 AI Five의 창립 멤버. 서울대학교 미학과를 졸업했고 동 대학원 철학과에서 석사(「니체의 ‘영원회귀’ 사상 연구」)와 박사(「들뢰즈의 비인간주의 존재론」) 학위를 받았다. 서울대학교 철학사상연구소 연구원과 고등과학원 초학제연구프로그램 연구원을 역임했고, 서울대, 경희대, 한국예술종합학교, 서울여대, 한국외대, 홍익대 등에서 강의했다.

주요 단독 저서로 『뉴노멀의 철학』(2021년 교육부 학술연구지원사업 우수성과 부총리 겸 교육부장관상), 『생각의 싸움』(2022년 원주시 올해의 철학책 선정), 『인공지능의 시대, 인간을 다시 묻다』(2017년 경향신문 올해의 저자, 제58회 한국출판문화상 본심 선정, 경기문화재단 ‘경기그레이트북스 100선’ 선정), 『혁명의 거리에서 들뢰즈를 읽자』 등이 있다.

공동 저서로는 『포스트 챗GPT』, 『호모 퍼불리쿠스와 PR의 미래』, 『이성과 반이성의 계보학』, 『인간을 위한 미래』, 『AI 시대, 행복해질 용기』, 『공동체 없는 공동체』, 『모빌리티 사유의 전개』, 『인공지능 시대의 예술』, 『철학, 혁명을 말하다』, 『처음 읽는 프랑스 현대철학』 등이 있다. 번역서로 『들뢰즈, 연결의 철학』, 『베르그손주의』, 『안티 오이디푸스』, 『천 개의 고원』 등이 있다.

김재인의 다른 상품

포스트휴먼과 융합

포스트휴먼과 융합

29,800

'포스트휴먼과 융합' 상세페이지 이동

들뢰즈, 연결의 철학

들뢰즈, 연결의 철학

17,000

'들뢰즈, 연결의 철학' 상세페이지 이동

논리적 영적독서

논리적 영적독서

11,700 (10%)

'논리적 영적독서' 상세페이지 이동

AI 빅뱅

AI 빅뱅

18,000 (10%)

'AI 빅뱅' 상세페이지 이동

포스트 챗GPT

포스트 챗GPT

16,020 (10%)

'포스트 챗GPT' 상세페이지 이동

호모 퍼블리쿠스와 PR의 미래

호모 퍼블리쿠스와 PR의 미래

46,000

'호모 퍼블리쿠스와 PR의 미래' 상세페이지 이동

베르그손주의

베르그손주의

16,000

'베르그손주의' 상세페이지 이동

인간을 위한 미래

인간을 위한 미래

15,300 (10%)

'인간을 위한 미래' 상세페이지 이동

저 : 김윤철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김윤철
관심작가 알림신청
작가, 전자 음악 작곡가. 현재 서울에 거주하며 활동하고 있다. 최근작은 유체역학의 예술적 잠재성과 메타 물질(포토닉 크리스탈), 전자 유체 역학의 맥락에 집중되어 있으며, 작품은 ZKM(독일), Ars Electronica(오스트리아), 국제 뉴미디어아트 트리엔날레(중국), VIDA 15.0(스페인), Ernst Schering Foundation(독일),Transmediale(독일), New York Digital Salon(미국), Electrohype(스웨덴), Medialab Madrid(스페인) 등 국제적으로 선보였다.

저 : 정문열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정문열
관심작가 알림신청
컴퓨터 과학을 전공했으며 현재 서강대학교 아트 & 테크놀로지 학과 교수이다. 지난 20년간 서강미디어랩(Sogang MediaLab, medialab.sogang.ac.kr)을 이끌어 오면서, 과학기술 연구개발을 하는 동시에 과학과 기술 속에 숨어 있는 신비로움을 발견하고 이를 표현하고자 했다. 특히 사람들이 산업사회, 정보사회로 이전하면서 잃어버렸던 자연과의 교감을 회복하고 경험하려는 작업을 하고 있다.

저 : 유원준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유원준
관심작가 알림신청
영남대학교 트랜스아트/미학미술사학과 교수다. 홍익대학교에서 예술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과학-기술 매체와 예술 융합의 다양한 지점에 관하여 연구하고 있다. 영화와 게임, 만화와 공연 예술 등 전통적인 시각예술의 범주를 넘어 문화예술 콘텐츠 전반에 관심이 있다. 한국콘텐츠진흥원 만화비평 대상(2019), 월간미술 학술비평 부분 대상(2022)을 수상했다. 2004년 미디어문화예술채널 앨리스온을 설립하였으며 문화관광부 광복 60주년 IT 프로젝트 팀장(2005), 아트센터 나비 교육팀장(2006∼2008)을, 주안미디어페스티벌(2011), 과학예술 융복합 프로젝트 GAS(과학기술정보통신부, 2016, 2017) 및 광주미디어아트페스티벌(2018), 아시아문화의전당 ‘아세안의 빛, 하나의 공동체’(2019) 총감독 등을 역임했다.
주요 저서로는 『매체미학, 예술과 기술 사이에서』(2022), 『뉴 미디어아트와 게임예술』(2014)이 있다. “포스트 코로나 시대, 경계적 주체성에 관한 예술작품 연구”(2023), “인간-기술 네트워크에 의한 지각 및 기억의 외재화 연구”(2022), “인터넷 아트의 미학적 가능성 연구 : 인터넷과 포스트-인터넷 환경을 중심으로”(2020) 등의 논문이 있다.

유원준 의 다른 상품

예술과 메타버스의 만남 (큰글자책)

예술과 메타버스의 만남 (큰글자책)

25,000

'예술과 메타버스의 만남 (큰글자책) ' 상세페이지 이동

예술과 메타버스의 만남

예술과 메타버스의 만남

12,000

'예술과 메타버스의 만남' 상세페이지 이동

서드 라이프 (큰글씨책)

서드 라이프 (큰글씨책)

30,000

'서드 라이프 (큰글씨책)' 상세페이지 이동

서드 라이프

서드 라이프

19,800

'서드 라이프' 상세페이지 이동

저 : 백용성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백용성
관심작가 알림신청
철학자, 평론가. 경희대학교 후마니타스 칼리지 객원교수, 대안공간 커뮤니티 스페이스 리트머스 디렉터를 역임했다. 국립아시아문화전당 아시아네트워크 전시 「아시아 쿨라 쿨라―링」의 전시감독을 맡았으며, 지은 책으로 『동서양의 문명과 과학적 사유』(공저) 등이 있다.

저 : 심혜련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심혜련
관심작가 알림신청
독일 베를린 훔볼트 대학에서 벤야민의 매체이론과 관련된 논문으로 박사 학위를 받았다. 현재 전북대학교 과학학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지은 책으로 『사이버스페이스 시대의 미학』 (살림, 2006)이 있으며, 옮긴 책으로 볼프강 벨시의 『미학의 경계를 넘어』 (향연, 2005)가 있다. 이 외에 『과학기술과 문화예술』 (한국학술정보, 2010), 『도시공간의 이미지와 상상력』 (메이데이, 2010), 『발터 벤야민: 모더니티와 도시』 (라움, 2010), 『철학, 삶을 묻다』 (동녘, 2009),『미학의 문제와 방법』 (서울대학교출판부, 2007), 『철학, 예술을 읽다』 (동녘, 2006), 『매체철학의 이해』 (인간사랑, 2005) 등의 공저와 예술, 과학기술, 도시공간 문제 등을 다룬 다수의 논문들이 있다.

심혜련의 다른 상품

일꾼과 이야기꾼

일꾼과 이야기꾼

22,500 (10%)

'일꾼과 이야기꾼' 상세페이지 이동

현대 기술·미디어 철학의 갈래들 (큰글자책)

현대 기술·미디어 철학의 갈래들 (큰글자책)

31,000

'현대 기술·미디어 철학의 갈래들 (큰글자책)' 상세페이지 이동

20세기의 매체철학 (큰글자책)

20세기의 매체철학 (큰글자책)

33,000

'20세기의 매체철학 (큰글자책)' 상세페이지 이동

감성적 근대와 한국인의 정체성

감성적 근대와 한국인의 정체성

33,250 (5%)

'감성적 근대와 한국인의 정체성' 상세페이지 이동

아우라의 진화

아우라의 진화

17,100 (5%)

'아우라의 진화' 상세페이지 이동

저 : 이영준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이영준
관심작가 알림신청
기계비평가이자 계원예술대학교 융합예술과 교수다. 인간보다 기계를 더 사랑하는 그는 정교하고 육중한 기계들을 보러 다니는 것이 인생의 낙이자 업이다. 일상생활 주변에 있는 재봉틀에서부터 첨단 제트엔진에 이르기까지, 독특한 구조와 재료로 돼 있으면서 뭔가 작동하는 물건에는 다 관심이 많다. 원래 사진 비평가였던 그는 기계에 대한 자신의 호기심을 스스로 설명해보고자 기계비평을 업으로 삼게 됐다. 그 결과물로 『기계비평: 한 인문학자의 기계문명 산책』(2006), 『페가서스 10000마일』 (2012), 『조춘만의 중공업』 (공저, 2014), 『우주 감각: NASA 57년의 이미지들』(2016), 『시민을 위한 테크놀로지 가이드』(공저, 2017), 『한국 테크노컬처 연대기』(공저, 2017) 같은 저서를 썼다. 또한 사진 비평에 대한 책(『비평의 눈초리』, 2008)과 이미지 비평에 대한 책(『이미지 비평의 광명세상』, 2012)도 썼다. 『사진은 우리를 바라본다』(1999), 『서양식 공간예절』(2007), 『xyZ City』(2010), 2010 서울사진축제, 『김한용-소비자의 탄생』(2011), 『우주생활』(2015) 등의 전시를 기획했다.

이영준의 다른 상품

디어 아마존

디어 아마존

18,000 (10%)

'디어 아마존' 상세페이지 이동

기계비평

기계비평

18,000 (10%)

'기계비평' 상세페이지 이동

한국 테크노컬처 연대기

한국 테크노컬처 연대기

14,250 (5%)

'한국 테크노컬처 연대기' 상세페이지 이동

우주 감각 : NASA 57년의 이미지들

우주 감각 : NASA 57년의 이미지들

16,200 (10%)

'우주 감각 : NASA 57년의 이미지들' 상세페이지 이동

저 : 최소영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최소영
관심작가 알림신청
홍익대학교 예술학과 강사로 있다. 홍익대학교 미학과에서 석사 학위와 박사 학위를 받았다. 매체미학을 전공했으며 사진, 영화, 디지털, 인공지능에 이르는 기술 매체와 이미지의 존재론적 특성, 기술과 지각의 상관관계 그리고 기술과 동시대 예술의 관계 등을 연구하고 있다. 주요 논문으로 “챗GPT 시대 인공지능기술의 의미 연구”(2024), “가속화된 정체 - 블랙홀에서의 탈출: 가타리와 슈타이얼의 ‘포스트-미디어’ 개념을 중심으로”(2023), “포스트 디지털 시대의 인공지능예술 연구”(2022), “포스트 디지털 시대의 예술과 이미지 연구: 히토 슈타이얼의 ‘빈곤한 이미지’ 개념을 중심으로”(2021), “컴퓨터의 하드웨어 옹호를 통한 ‘사물’에 대한 사유”(2021) 등이 있으며 단행본으로 ≪인공지능과 예술≫(2019, 공저)이 있다.

최소영 의 다른 상품

히토 슈타이얼

히토 슈타이얼

12,000

'히토 슈타이얼' 상세페이지 이동

히토 슈타이얼 (큰글자책)

히토 슈타이얼 (큰글자책)

25,000

'히토 슈타이얼 (큰글자책)' 상세페이지 이동

편 : 유현주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편 : 유현주
관심작가 알림신청
2009년에 홍익대학교 미학과 대학원에서 철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현재 한남대에서 강의를 하고 있으며, ‘생태미학예술연구소’ 대표이다. 지은 책으로 『대중문화와 미술: 수백 개의 마릴린 먼로와 수천 개의 모나리자』, 『지속가능한 도시를 위한 열린 대화: 도시와 나 그리고 우리를 위한 예술지침서』(공저), 『폭력 이미지 재난』(공저), 『열린 미학의 지평』(공저)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