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 소개(4명)

이전

그림 : 김동화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그림 : 김동화
관심작가 알림신청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만화가로, 1975년 소년한국일보에 『나의 창공』으로 데뷔했다. 대표작으로 『곤충소년』 『못난이』 『황토빛 이야기』 『기생 이야기』 『빨간 자전거』 등이 있다. 2003년, 2005년 두 차례에 걸쳐 각기 『황토빛 이야기』와 『빨간 자전거』로 ‘오늘의 우리만화상’을 수상했다.

김동화의 다른 상품

빨간 자전거 2

빨간 자전거 2

14,400 (10%)

'빨간 자전거 2' 상세페이지 이동

빨간 자전거 1

빨간 자전거 1

14,400 (10%)

'빨간 자전거 1' 상세페이지 이동

소나기

소나기

9,000 (10%)

'소나기' 상세페이지 이동

배따라기

배따라기

9,000 (10%)

'배따라기' 상세페이지 이동

날개

날개

9,000 (10%)

'날개' 상세페이지 이동

운수 좋은 날

운수 좋은 날

9,000 (10%)

'운수 좋은 날' 상세페이지 이동

원저 : 이무영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원저 : 이무영
관심작가 알림신청
李無影, 용구(龍九)
본명은 용구. 1908-1960. 소설가. 충북음성 출생. 휘문고등보통학교를 중퇴하고 1925년 일본으로 가서 세이조 중학교를 다니다가 일본 작가 가토 다케오의 문하에서 4년간 문학 수업을 했다. 1929년 귀국해 귀국하여 『의지 없는 영혼』, 『폐허』 등을 발표하였고 잠시 소학교교원으로 일했고 1932년 [동아일보]에 『지축을 돌리는 사람들』을 연재하면서부터 작가로서의 지위를 굳혔다. 그의 초기작품은 무정부주의적인 반역의 정열이 주조를 이루었다. 같은 해 극예술연구회 동인과 이듬해 이효석·정지용 등과 '구인회'의 동인이 되었다. 그 후 시골로 내려가 직접 농사에 종사하며 농촌 냄새가 풍기는 소박한 필치로 농부들의 세계를 유머러스하고도 사실적으로 묘사 『농민』, 『흙의 노예』 등을 발표하였다. 그때부터 본격적으로 농촌소설을 쓰기 시작하였다.

1934년 동아일보사에 입사했으나 1946년 일장기말소사건으로 그만두고 조선문학을 주재했다. 서울대, 연세대, 숙명여대 등의 강사를 거쳐 숙명여대, 단국대 교수를 지냈고, 1946년 전국문화단체총연합회 최고위원, 1951년 해군정훈감, 1955년 한국자유문학가협회부회장 등을 역임하였다. 일제 시대 때 농민문학 개척의 공으로 조선예술상을 받았고, 1956년 『농부전초』로 서울시 문화상을 받았다. 제 4회 서울특별시 문화상을 수상했고, 런던에서 열린 국제펜클럽대회에 한국 대표로 참석했다. 6·25전쟁 때는 종군 작가로 활약하였고, 자유문인협회 부위원장·문총 최고위원을 역임하였다. 한국의 농민문학의 선구자로 농촌을 제재로 한 소설을 많이 썼다. 1960년 심장마비로 별세하였다. 그 밖의 작품으로 『세기의 딸』, 『명일의 포도』, 『취향』, 『산가』, 『흙의 노예』, 『제1과 제1장』, 『농민』, 『농부전초』, 『먼동이 틀 때』, 『소설작법』 등이 있다.

이무영의 다른 상품

문학과지성사 한국문학전집 D세트

문학과지성사 한국문학전집 D세트

126,450 (10%)

'문학과지성사 한국문학전집 D세트' 상세페이지 이동

사실주의 문학 단편소설 1집 (큰글씨 특별판)

사실주의 문학 단편소설 1집 (큰글씨 특별판)

17,600

'사실주의 문학 단편소설 1집 (큰글씨 특별판)' 상세페이지 이동

영원한 여성 외

영원한 여성 외

18,000

'영원한 여성 외' 상세페이지 이동

이무영 BEST 단편소설 1집

이무영 BEST 단편소설 1집

16,300

'이무영 BEST 단편소설 1집' 상세페이지 이동

이무영 이선희 박찬모 소설 선집 (큰글자도서)

이무영 이선희 박찬모 소설 선집 (큰글자도서)

19,000

'이무영 이선희 박찬모 소설 선집 (큰글자도서)' 상세페이지 이동

무진기행

무진기행

13,500 (10%)

'무진기행' 상세페이지 이동

백치 아다다 외

백치 아다다 외

6,300 (10%)

'백치 아다다 외' 상세페이지 이동

소나기

소나기

9,000 (10%)

'소나기' 상세페이지 이동

원저 : 하근찬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원저 : 하근찬
관심작가 알림신청
河瑾燦
하근찬은 우리에게 『수난 이대』라는 단편으로 널리 알려진 작가이다. 그는 1931년 경상북도 영천에서 태어나 6·25 동란을 전후하여 5년간 초등학교 교사를 지냈다. 1955년 [신태양사] 주최 전국 학생 문예 작품 모집에 소설 [혈육]이 당선된 경력이 있었지만 그를 문단에 데뷔시킨 것은 1957년 한국일보 신춘문예에 당선되었던 단편 『수난 이대』였다.

1959년 교육 주보·교육 자료사 기자로 재직했으며, 1969년 본격적으로 작품활동을 시작했다. 그 후 꾸준히 작품 활동을 계속하여 이후 1970년 『족제비』로 제7회 한국문학상을, 1981년 『산에 들에』로 조연혁 문학상, 제1회 요산문학상을 받았으며 1989년 『작은 용』으로 유주현 문학상을 수상했다. 저서로는 『수난 이대』, 『나룻배 이야기』, 『흰종이 수염』, 『왕릉과 주둔군』, 『산울림』, 『검은 자화상』, 『제국의 칼』, 『달섬 이야기』, 『월례소전』등이 있다. 2007년 11월 25일 타계, 충청북도 음성군 진달래공원에 안장되었다.

하근찬의 다른 상품

하근찬 전집 12 산에 들에

하근찬 전집 12 산에 들에

22,500 (10%)

'하근찬 전집 12 산에 들에' 상세페이지 이동

하근찬 전집 8 산의 동화

하근찬 전집 8 산의 동화

19,800 (10%)

'하근찬 전집 8 산의 동화' 상세페이지 이동

하근찬 전집 4 화가 남궁 씨의 수염

하근찬 전집 4 화가 남궁 씨의 수염

22,500 (10%)

'하근찬 전집 4 화가 남궁 씨의 수염' 상세페이지 이동

하근찬 전집 11 월례소전

하근찬 전집 11 월례소전

26,100 (10%)

'하근찬 전집 11 월례소전' 상세페이지 이동

하근찬 전집 7 삽미의 비

하근찬 전집 7 삽미의 비

19,800 (10%)

'하근찬 전집 7 삽미의 비' 상세페이지 이동

하근찬 전집 6 기울어지는 강

하근찬 전집 6 기울어지는 강

24,300 (10%)

'하근찬 전집 6 기울어지는 강' 상세페이지 이동

하근찬 전집 5 낙도

하근찬 전집 5 낙도

19,800 (10%)

'하근찬 전집 5 낙도' 상세페이지 이동

하근찬 전집 9 야호 下

하근찬 전집 9 야호 下

18,000 (10%)

'하근찬 전집 9 야호 下' 상세페이지 이동

원저 : 오영수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원저 : 오영수
관심작가 알림신청
吳永壽, 월주月洲, 난계蘭溪.
경남 울주 출생. 8·15광복 후에 귀국, 경남여고에서 교편을 잡으면서 시와 소설을 <백민>과 <신천지>에 발표하기 시작했다. 1950년 서울신문에 단편 「머루」입선되면서 본격적으로 작품활동을 시작하여, 『갯마을』『메아리』등 잇달아 창작집을 간행했다.

어린이의 순진무구한 세계를 그린 『남이와 엿장수』, 『머루』(1950), 『대장간 두칠이』 등의 작품과 인정세태를 따스하게 그리면서 현실을 고발하고 있는 『화산댁이』(1952), 『박학도』(1955), 『여우』(1957), 『후조(候鳥)』(1958)등이 있다. 이러한 소설에서 그는 도시의 혼탁한 세태를 추한 것으로 보고 그것을 헹구어낼 수 있는 길은 오로지 때묻지 않은 인간의 아름다운 정이라고 해석하고 있다. 또한 자연 혹은 고향에 대한 회귀의식을 나타내고 있는 『갯마을』(1953), 『메아리』(1959), 『은냇골 이야기』(1961), 『수련』(1961), 『추풍령』(1967), 『망향수(望鄕愁)』(1972) 등의 작품이 있다.

주로 서민들의 소박한 삶을 그린 단편소설을 발표한 그는 1954년 조연현과 현대문학을 창간하기도 하였고, 한국문인협회 소설분과위원장을 역임했으며, 1979년 간염으로 작고하였다. 한국문학가협회상, 아세아자유문화상, 대한민국 예술원상과 문화훈장 등을 받았다. 1993년그의 문학정신을 기리기 위해 울산매일신문사에서 오영수 문학상을 제정하였다.

오영수의 다른 상품

한국 단편소설 베스트 37

한국 단편소설 베스트 37

14,220 (10%)

'한국 단편소설 베스트 37' 상세페이지 이동

소나기

소나기

15,750 (10%)

'소나기' 상세페이지 이동

소나기

소나기

9,000 (10%)

'소나기' 상세페이지 이동

초판본 오영수 단편집

초판본 오영수 단편집

16,000

'초판본 오영수 단편집' 상세페이지 이동

교과서 단편소설 읽기 (중)

교과서 단편소설 읽기 (중)

9,000 (10%)

'교과서 단편소설 읽기 (중)' 상세페이지 이동

요람기

요람기

8,550 (5%)

'요람기' 상세페이지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