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 소개(2명)

이전

저 : 프랑코 모레티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프랑코 모레티
관심작가 알림신청
Franco Moretti
이탈리아 출신의 영문학자, 비교문학자, 문학이론가이자 문학역사학자이며 우리 시대의 대표적 문학비평가 중 한 명이다. 1950년 이탈리아 북부 손드리오에서 태어나 1972년 로마 대학교 현대문학과를 졸업하고 살레르노와 베로나 대학교에서 가르치다가 1990년 미국으로 이주하여 컬럼비아 대학교와 스탠퍼드 대학교에서 가르쳤다.

2000년부터 2016년까지 스탠퍼드 대학교 영문학과 교수로 재직하면서 스탠퍼드 소설연구센터를 설립하고 이를 문학실험실('스탠퍼드 문학랩')로 확장하여 디지털 문학연구의 산파 역할을 했다. 2016년 은퇴 후에는 스위스 로잔연방공대 ‘디지털인문학연구소’의 멤버로 활동하고 있다.

주요 연구 분야는 19세기와 20세기 문학, 독서사, 문학지리학, 소설과 내러티브 이론, 정량분석을 활용한 문학모델 개발 등으로, 문학에 통계학이나 지리학, 진화론과 같은 사회과학, 자연과학의 방법론을 도입한 것이 특징이다.

1983년에 발표한 비평집 『놀랍다고 여겨지는 기호들』은 셰익스피어 비극, 조이스의 모더니즘, 코넌 도일의 추리소설에 이르는 광범위한 주제를 역사학과 수사학의 관점에서 분석하여 루카치, 골드만, 벤야민, 아도르노의 문학사 계보를 잇는 획기적인 저작으로 평가받았다. 또한 프레드릭 제임슨, 마리오 바르가스 요사 등과 함께 ‘일 로만초(소설)’라는 총서를 기획하여 모든 시대의 소설 형식을 아우르는 시도를 했다.

주요 저서로 부르주아의 사회화에서 소설이 수행한 역할을 살핀 역작 『세상의 이치: 유럽 속의 교양소설(The Way of the World: The Bildungsroman in European Culture)』(1987, 2005), 근대 유럽 모더니즘의 형성과 자본주의 권력의 관계를 고찰한 『근대의 서사시: 괴테의 『파우스트』에서 마르케스의 『백 년의 고독』까지(The Modern Epic: The World-System from Goethe to Garcia Marquez)』(1996, 2001), 19세기 유럽 소설의 지형도를 그려낸 『유럽 소설 도감, 1800~1900』(1998), 『그래프, 지도, 나무 : 문학사를 위한 추상적 모델(Graphs, Maps, Trees: Abstract Models for a Literary History)』(2005, 2020), 디지털 문학연구의 논쟁을 담은 『멀리서 읽기』(2013), 『The Bourgeois: Between History and Literature』(2013), 『Far Country: Scenes from American Culture』(2020) 등이 있다.

역 : 이재연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역 : 이재연
관심작가 알림신청
울산과학기술원(UNIST) 기초과정부 교수다. 연세대학교 국문과를 졸업하고 미국 하버드대학교에서 한국문학 석사를, 시카고대학교에서 박사를 취득했다. 디지털인문학 문학 이론과 사례연구에 관심이 있다. 논문으로 「작가, 매체, 네트워크」(2014), 「키워드와 네트워크」(2016), 「생활과 태도」(2016) 등을 썼고, 현재 『Social Authorship in Periodicals: Writers, Texts, and Networks in Korea, 1917-1927』이라는 잡지를 통한 근대한국문학의 형성을 디지털 인문학 방법론으로 살피는 저서를 집필 중이고 이와 관련하여 프랑코 모레티의 『그래프, 지도, 나무』를 번역하였다.

이재연의 다른 상품

공학으로 인문학 읽기

공학으로 인문학 읽기

14,250 (5%)

'공학으로 인문학 읽기' 상세페이지 이동

탈유럽의 세계문학론

탈유럽의 세계문학론

27,000

'탈유럽의 세계문학론' 상세페이지 이동

세계 디지털 인문학의 현황과 전망 큰글씨책

세계 디지털 인문학의 현황과 전망 큰글씨책

32,000

'세계 디지털 인문학의 현황과 전망 큰글씨책' 상세페이지 이동

세계 디지털 인문학의 현황과 전망

세계 디지털 인문학의 현황과 전망

21,800

'세계 디지털 인문학의 현황과 전망' 상세페이지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