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 소개(3명)

이전

저 : 이하준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이하준
관심작가 알림신청
오늘, 지금 인류 삶의 한가운데 등장한 ‘현실의 AI’와 ‘논제로서의 AI’에 대해 공학자와 함께한 짧고 간결한 생각여행을 기록했다. 20여 년 전에 베를린 자유대에서 아도르노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중앙대, 경희대, 한국외대 등 많은 대학에서 가르쳤고 연세대 철학연구소 전문연구원을 거쳐 한남대 탈메이지교양융합대학 철학교수로 일하고 있다. 한국연구재단 전문위원으로 지냈으며 현재 한국동서철학회 부회장과 대전인문예술포럼 회장을 맡고 있다. <대학지성 IN&OUT>의 편집기획의원으로도 활동하고 있다. 연구서인 <교양교육비판-교양교육의 현재와 미래를 위한 비판적 사유>(2022), <부정과 유토피아>(2019), <아도르노의 문화철학>(2007), <호르크하이머의 비판이론>(2011)과 소개서인 <아도르노: 고통의 해석학>(2007), <막스 호르크하이머, 도구적 이성비판>(2016)을 출간했다. 세종우수학술도서 <철학이 말하는 예술의 모든 것>(2014)과 세종우수교양도서 <그림도 세상도 아는 만큼 보인다>(2019)로 선정된 책을 포함, 다수의 인문교양 도서를 냈고 60여 편의 연구논문을 썼다. <지금, 우리는 어떻게 살고 있나>(2020), <#철학>(2021), <인문예술, 세상을 담다>(2022)를 포함해 영혼의 눈빛으로 태양을 바라보는 동학들과 공저 작업도 꾸준히 하고 있다.

이하준의 다른 상품

현대철학 매뉴얼

현대철학 매뉴얼

21,000

'현대철학 매뉴얼' 상세페이지 이동

교양교육 비판

교양교육 비판

29,000

'교양교육 비판' 상세페이지 이동

AI와 함께 떠나는 미래로의 여행

AI와 함께 떠나는 미래로의 여행

18,000

'AI와 함께 떠나는 미래로의 여행' 상세페이지 이동

아도르노와의 만남

아도르노와의 만남

29,000

'아도르노와의 만남' 상세페이지 이동

부정과 유토피아

부정과 유토피아

32,000

'부정과 유토피아' 상세페이지 이동

실존주의자들에게 인생의 즐거움을 묻다

실존주의자들에게 인생의 즐거움을 묻다

13,500 (10%)

'실존주의자들에게 인생의 즐거움을 묻다' 상세페이지 이동

저 : 소병선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소병선
관심작가 알림신청
한국외대 철학과 학사ㆍ석사를 마쳤다. 서양철학 공부를 주로 하다가 동양철학에 눈을 뜨게 되었다. 동서양 비교철학 연구를 위해 한국학중앙연구원에 진학했고 『주자학과 토미즘의 철학적 비교』주제로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오클랜드대학교 아시아학부에 초청(Visiting Scholar)되어 ‘왕양명과 둔스 스코투스의 비교연구’를 했다. 건국대학교 공공학연구소 상임연구원을 지냈다. 한국외대, 강원대, 세명대에 출강했고 현재는 한남대 탈메이지교양교육대학의 교원으로 학생들을 가르치고 있다. 주요 연구분야는 ‘동서양의 중세철학비교’이다. 현재 〈그리스철학과 제자백가〉를 집필 중이며 〈중세철학과 송명유학〉, 〈서양철학과 조선유학〉 출간도 계획하고 있다. 저자는 동서양 사유의 다름과 같음에서 그것을 융합하고 넘어서는 ‘새로운 철학의 구성’을 자신의 과제로 삼고 있다.

저 : 김상철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김상철
관심작가 알림신청
한국교육개발원에서 교육정책 연구 및 사업을 추진 중인 연구원이다. 고려대학교에서 『한국의 인성교육정책 변동과정 분석』으로 교육학 박사학위를 받았으며, 고려대 교육대학원에서 강의했다. 현재 한국교육정치학회 선임이사 및 사무국장이며, 학술지 《한국교육학연구》 학술위원으로 활동 중이다. 교육정책, 교육정치, 교육철학, 교육행정학 및 고등교육학 전반에 대해 관심을 갖고 수년간 관련 연구에 매진하고 있으며, 「인성과 교육의 관계적 의미 고찰」과 같은 학술논문들과 『한국의 대학평가(출간 예정)』와 같은 저서를 집필한 바 있다. 학부 및 석사과정에서 철학(인성론, 윤리학, 도덕철학)을 전공한 저자는 철학과 교육행정학의 학문 간 융합을 추구하고 있으며, 현재 우리 교육 현장에서 요구되는 ‘미래 사회가 필요로 하는 인성역량을 갖춘 민주시민 육성’을 목표로 이론?실제?연구의 조화를 꾀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