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 소개(2명)

이전

저 : 정규영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정규영
관심작가 알림신청
丁奎英
다산(茶山) 정약용(丁若鏞)의 현손(玄孫)으로 경기도 양주에서 태어났다. 1900년 탁지부(度支部) 주사(主事)로 첫 관직생활을 시작한 이래 지계아문(地契衙門) 양무과장(量務課長) 사무대판(事務代辦), 탁지부 사세국(司稅局) 양지과장(量地課長) 사무대판(事務代辦), 탁지부 북청(北靑) 재무서장(財務署長) 등을 역임했고, 북청지방 금융조합 설립위원, 북청 국유지 소작인조합 설립위원으로 활동하다가 1910년 관직에서 물러났다. 이후 양주군 사립 광동학교(廣東學校) 교장을 역임했다.

역 : 송재소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역 : 송재소
관심작가 알림신청
1943년 경상북도 성주에서 태어났다. 서울대학교 문리대 영문학과와 같은 학교 대학원 국문학과를 졸업하고 「다산문학연구」로 문학박사학위를 받았다. 한국한문학회 회장을 지냈고, 성균관대학교 한문학과 교수로 정년을 맞았다. 현재 성균관대학교 명예교수, 퇴계학연구원 원장이자 다산연구소 이사로 활동하고 있다. 다산 정약용의 학문과 문학 세계를 알리는 데 오랫동안 힘써왔고, 우리 한문학을 유려하게 번역하는 것으로 정평이 나 있다. 저서로 『다산시 연구』, 『한시 미학과 역사적 진실』, 『주먹바람 돈바람』, 『한국 한문학의 사상적 지평』, 『몸은 곤궁하나 시는 썩지 않네』, 『한국한시작가열전』, 『시로 읽는 다산의 생애와 사상』, 『중국 인문 기행』(1~3) 등이 있고, 옮긴 책으로 『다산시선』, 『다산의 한평생: 사암선생연보』, 『역주 목민심서』(공역) 『역주 당시 삼백수』(공역), 『한국의 차 문화 천년』(공역), 『당시 일백수』 등이 있다.

송재소의 다른 상품

차시 일백수

차시 일백수

34,200 (5%)

'차시 일백수' 상세페이지 이동

중국 인문 기행 4

중국 인문 기행 4

20,700 (10%)

'중국 인문 기행 4 ' 상세페이지 이동

주시 일백수

주시 일백수

31,350 (5%)

'주시 일백수' 상세페이지 이동

당시 일백수

당시 일백수

31,350 (5%)

'당시 일백수' 상세페이지 이동

중국 인문 기행 3

중국 인문 기행 3

17,100 (5%)

'중국 인문 기행 3' 상세페이지 이동

중국 인문 기행 2

중국 인문 기행 2

16,200 (10%)

'중국 인문 기행 2' 상세페이지 이동

중국 인문 기행

중국 인문 기행

17,100 (5%)

'중국 인문 기행' 상세페이지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