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 소개(2명)

이전

저 : 이건창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이건창
관심작가 알림신청
李建昌
19세기 후반 대내외적인 변혁의 시대에 관료이자 문장가로서 이름을 떨친 인물이다. 본관은 전주이고, 조선의 2대 왕 정종의 후손으로서 인조대 이경직(李景稷)은 판서, 이경석(李景奭)은 영의정까지 지낸 집안이었다. 그의 조상들은 숙종대 소론으로 좌정하여 경종?영조대까지 소론 탕평파로 활약하다가 노론의 공격을 받고 1755년 을해옥사 이후 조정에 진출하지 못하였다. 그는 학문적으로 양명학을 가학으로 물려받은 강화학파(江華學派)에 속하였다. 순조대 그의 조부 이시원(李是遠)이 문과에 급제하여 벼슬이 이조판서까지 이르렀지만, 1866년 병인양요 당시 그 형제가 자결하는 비극을 겪었다. 그는 15세에 조부의 순절(殉節)을 기리는 과거에 최연소로 합격하여 조정에 진출한 뒤 청현직을 두루 역임하였지만 현실 정치와 불화하여 세 번이나 유배당하는 곤경을 당했다. 조부 이시원의 작업을 이어서 ??당의통략??을 저술하여 그 집안의 정치적 입장을 정리하였다.

이건창의 다른 상품

원론

원론

14,250 (5%)

'원론' 상세페이지 이동

이건창전집 2

이건창전집 2

90,000

'이건창전집 2' 상세페이지 이동

이건창전집 1

이건창전집 1

90,000

'이건창전집 1' 상세페이지 이동

역 : 김용흠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역 : 김용흠
관심작가 알림신청
서울대학교 국사학과 학사, 연세대학교 대학원 문학석사?박사. 현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연구교수
주요논저|《조선후기 정치사 연구Ⅰ-인조대 정치론의 분화와 변통론》(2006), 《목민고?목민대방》(역서, 2012), 《조선의 정치에서 무엇을 볼 것인가-탕평론?탕평책?탕평정치》(2016), 《형감》(역서, 2019), 《대백록》(역서, 2020), 《조선후기 실학과 다산 정약용》(2020), 《동남소사》(역서, 2021), 《수문록》 1?2(역서, 2021?2022), 《황극편》 1(역서, 2022), 〈조선후기 노론 당론서와 당론의 특징-《형감(衡鑑)》을 중심으로〉(2016), 〈《경세유표》를 통해서 본 복지국가의 전통〉(2017)

김용흠의 다른 상품